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주자학(성리학)
· ISBN : 9788974114572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5-11-12
책 소개
목차
동아시아철학입문총서 발간사
서문
성리학이란 무엇인가
1. 성리학의 개념과 그 집대성자, 주희
성리학의 다양한 명칭과 그 의미
송학(宋學)을 집대성하다
주희, 그는 누구인가
주희의 대표적 저술
2. 성리학의 이론적 체계
이기론적 체계
심성론적 체계
불교와 도교의 비판적 수용
사서의 확립 - 오경에서 사서로
3. 성리학의 형성
주돈이의 태극설 - 성리학의 선구자
장재의 기 철학
이정의 리 철학
주희, 이기철학의 완성
이기론
1. 리
리란 무엇인가
소이연과 소당연
리의 총합으로서의 태극
태극의 다양한 해석
리의 내용 - 사물이 있기 전에 먼저 리가 있다
리의 이중적 성격
2. 기
기란 무엇인가
기와 음양?오행의 관계
기가 가치개념과 연결된다
리와 대조되는 기의 성격
3. 리와 기의 관계
불상리와 불상잡
이선기후 - 리가 기보다 앞선다
왜 리를 기 앞에 두는가
리의 동정
리의 체용
리의 주재
4. 이일분수
이일분수란 무엇인가
통체일태극과 각구일태극
분수의 원인은 무엇인가
심성론
1. 심
심이란 무엇인가
심의 미발과 이발
심통성정
심과 성, 성과 정의 관계
2. 성
성이란 무엇인가
성즉리(性卽理)
본성이 선하다면 어째서 악이 존재하는가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성과 기질의 관계
사람의 성과 사물의 성은 같은가 다른가 -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
3. 정
정이란 무엇인가
사단과 칠정은 모두 똑같은 정인가
인식론
1. 격물치지
격물과 치지란 무엇인가
격물과 치지의 관계
격물의 방법과 절차
격물은 천하의 이치를 모두 궁구하는 것이 아니다 - 활연관통
물격(物格)과 지지(知至)
먼저 제대로 알아야 실천할 수 있다 - 선지후행(先知後行)
수양공부론
1. 성리학의 공부방법
격물궁리와 거경함양
미발공부와 이발공부
2. 인심과 도심
인심과 도심이란 무엇인가
인심은 악인가
3. 천리와 인욕
천리와 인욕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인욕을 억제하여 천리를 보존하는가
성리학이 유학사에 미친 영향
부록 : 성리학의 한국적 전개
1. 사단칠정논쟁
2. 인물성동이논쟁
3. 심설논쟁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