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미셸 푸코
· ISBN : 9788974185572
· 쪽수 : 774쪽
· 출판일 : 2008-02-25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
초판 서문
개정판 서문
01. 구조주의의 이념
1. 멀리서 그리고 바깥에서 본 사유
2. 동일화의 실체론에서 다양성의 관계론에로
3. 무의식의 논리, 무의식의 언어, 무의식의 놀이
4. 주체의 소멸과 반인간주의의 철학
02. 구조주의의 방법론적 특성
1. 구조언어학에서 출발하는 기초개념들
2. 구조주의의 언어학적 기저
3. 구조주의의 방법론적 원칙들
03. 레비-스트로쓰와 야생적 사유의 불변적 구조
1. 무의식의 법칙과 이항적 대립
2. 자연과 문화의 돌쩌귀로서 근친혼의 금지
3. 교차사촌 간의 결혼과 교환제도의 분석
4. 역사와 구조
5. 야생적 사유와 감각적 논리의 본질
6. 토테미즘에 대한 인류학적 분석
7. 구조주의의 인식이론
8. 신화란 무엇인가?
9. 구조주의의 미학적 성찰
04. 라깡과 무의식의 언어학
1. 정신분석학과 언어철학
2. '거울의 단계'와 주체의 형성
3. 자아의 균열과 '아버지의 이름'
4. 능기의 기호학
5. 언어활동으로서의 무의식
6. 욕망, 욕구, 그리고 요구
7. 운명과 진리
05. 푸코의 고고학적 인식, 그리고 역사, 철학적 비판
1. 광기의 역사와 몰이성의 불행한 역사
2. 임상의 역사와 그 구조론의 지층
3. 지식의 고고학
4. 담론의 규칙과 기능
5. 질서와 표상의 분류학
6. 역사와 인간시대의 철학적 특징
7. 근대 부르주아 사회의 생리와 그 비판
8. 성욕의 역사
9. 네오 모랄리스트냐, 네오 아나키스트냐?
06. 마르크시즘과 주조주의의 교차로에 있는 알튀세르
1. '이론'과 '대이론' 그리고 이데올로기의 문제
2. '이론적 실천양식'의 특성과 스피노자적인 인식이론
3. 헤겔과 마르크스
4. 다원결정의 구조와 잉여가치론
5. 인간이 없는 혁명이론
6. 국가장치론과 이데올로기의 재음미
07. 구조주의의 문제와 한국문화
1. 구조주의의 철학적 성찰
2. 구조주의에 대한 비판
3. 구조주의와 한국 인문사회과학의 연구방법을 위한 시론
주
색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지질학이나 정신분석학이나 마르크시즘을 공통으로 가로지르는 표상은 결국 무의식이다. 땅 속에 숨은 지층이나 인간 정신의 밑바닥에 있는 것으로 그려지는 무의식이나 역사와 사회의 하부구조를 중시하는 발상이나 다 같이 우리로 하여금 무의식의 세계를 연상시킨다.-p140 중에서
그(알튀세르)의 철학과 사상내용은 구조주의의 영향이어서 그런지 대단히 사변적이고, 분석적이며, 논리적 논증을 중요시하여서 사르트르의 후기 저작을 대하는 것보다 훨씬 혁명의 투사적 전의가 약화되어 있다.-p538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