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74353438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04-05-10
목차
추천의 글
개정증보판 서문
머리말
제1장 비교종교학의 학문적 접근 방법론
Ⅰ. 비교종교학이란
Ⅱ. 종교의 역사적 연구와 비교 연구
Ⅲ. 종교의 분류
A. 막스 뮬러(Max M웞ler, 1823-1900)의 분류 B. 헤겔(G.W.F. Hegel, 1770-1831)의 분류
C. 타일러(Edward B. Tylor, 1832-1917)의 분류 D. 저자(최정만)의 분류 F. 결어
제2장 종교의 정의
Ⅰ. 어원적 정의
Ⅱ. 존재론적 정의
Ⅲ. 기능적 정의
Ⅳ. 서술적 정의
A. 지적(知的) 정의 B. 감정적 정의 C. 의지적 정의 D. 가치 개념적 정의
Ⅴ. 총체적 정의
A. 유진 리맨(Eugene Lyman)의 정의 B. 워렌 네비우스(Warren Nevius)의 정의
C.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정의
제3장 종교의 성질
Ⅰ. 종교의 보편성
Ⅱ. 종교의 타당성
A. 과학자들이 종교의 타당성을 주장한다 B. 철학자들이 종교의 타당성을 주장한다
C. 종교를 반대하는 사상에도 종교의 타당성이 있다
Ⅲ. 종교의 공유성
A. 초인간적 능력에 대한 신앙 B. 종교 의식의 유사성 C. 종교적 교훈의 유사성
제4장 종교의 기원
Ⅰ. 기원 연구의 목적
Ⅱ. 종교 기원 학설
A. 불안 심리 B. 소원성취설 C. 승려 계급 조작설 D. 상추설 E. 신감지설
F. 양심설 G. 감정의존설 H. 사회현상설 I. 종교신수설 J. 계시의존설
제5장 종교 연구의 역사
Ⅰ. 19세기 이전의 종교 연구
Ⅱ. 19세기 이후의 종교 연구
A. 언어학·문헌학적 접근 B. 인류학(Anthropology)·토속학(Ethnography)적 접근
C. 고고학(Archaeology)적 접근 D. 종교사학적 접근
제6장 종교와 다른 문화 영역과의 관계
Ⅰ. 종교와 과학
Ⅱ. 종교와 철학
Ⅲ. 종교와 도덕
Ⅳ. 종교와 예술
제7장 종교학과 타학문과의 관계
Ⅰ. 종교학과 신학의 관계
Ⅱ. 종교학과 종교철학의 관계
Ⅲ. 종교학과 종교사학의 관계
Ⅳ. 종교학과 종교사회학의 관계
Ⅴ. 종교학과 종교인류학의 관계
Ⅵ. 종교학과 종교심리학의 관계
제8장 원시 부족종교
Ⅰ. 원시 부족종교의 현황과 성격
Ⅱ. 자연 숭배의 원시 부족종교
Ⅲ. 애니미즘
Ⅳ. 서물 숭배
Ⅴ. 샤머니즘
제9장 유대교
Ⅰ. 유대교 개관
A. 선민 B. 약속의 땅 C. 율법 D. 회당(The Synagogue)
Ⅱ. 유대교의 명칭과 성격
A. 헬레니즘적 유대교(Hellenistic Judaism) B. 랍비적 유대교(The Rabbinic Judaism)
Ⅲ. 유대교의 분파
A. 바리새파(The Pharisees) B. 사두개파(The Sadducees) C. 엣세네파(The Essenes)
Ⅳ. 유대교 전통의 흐름
Ⅴ. 유대교의 개혁
Ⅵ. 유대교의 절기와 축제
A. 신년(New Year: Rosh Hashanah) B. 속죄일(Yom Kippur: The Day of Atonement)
C. 장막절(Sukkot: the Feast of Tabernacles) D. 부림절(Purim) E. 유월절(Pesach: Passover) F. 오순절(Shavuot: Pentecost)
Ⅶ. 유대교의 경전
Ⅷ. 유대교의 교리와 영향
A. 여호와-이스라엘-언약 B. 낙원과 부활 C. 죄의 문제
D. 음식 및 의복 문제와 안식일 E. 역사와 생명에 대한 가치 F. 결혼과 출생
Ⅸ. 결론
제10장 조로아스터교(拜火敎)
Ⅰ. 조로아스터교 개관
Ⅱ. 조로아스터의 생애
Ⅲ. 조로아스터의 순교와 그에 대한 숭배
Ⅳ. 조로아스터교의 경전
A. 대 아베스타(The Great Avesta) B. 소 아베스타(The Little Avesta)
C. 종교시 D. 팔라비(Pahlavi) 문서들
Ⅴ. 조로아스터교의 확산과 페르시아 제국
Ⅵ. 이슬람의 침략과 조로아스터교
Ⅶ. 조로아스터교의 신앙
A. 신앙의 배경 B. 예배의 대상: 아후라 마즈다 C. 창조 신앙 D. 유일신론 E. 세계관
F. 영혼(Fravashis)관 G. 내세관 H. 구원관 I. 도덕관
Ⅷ. 조로아스터교의 의식들
A. 예배 의식 B. 새 제사장 세우기 C. 순결 의식
Ⅸ. 결론
제11장 힌두교(印度敎)
Ⅰ. 기원
Ⅱ. 힌두 사상의 정체성과 역사적 전개
A. 힌두 사상의 정체성 B. 힌두 사상의 역사적 전개 C. 힌두교의 개혁 운동
Ⅲ. 힌두교의 신관
A. 다신교 종교 B. 힌두교의 신들
Ⅳ. 힌두교의 세계관
A. 순환적 세계관 B. 힌두교와 기독교의 세계관 비교
Ⅴ. 힌두교의 경전
A. 베다 B. 우파니샤드 C. 라마야나 D. 마하바라타 E. 바가바드기타 F. 푸라나
Ⅵ. 힌두교의 축제
Ⅶ. 결론
A. 힌두교 비판 B. 힌두교권에 대한 기독교 선교 전략
제12장 이슬람교(回敎)
Ⅰ. 명칭
Ⅱ. 이슬람교의 창시자
A. 고아 출신 청년 무함마드(35세까지) B. 종교에 심취해 가는 무함마드(35-40세)
C. 이슬람교의 시작(40-52세) D. 성전(聖戰, Hegira)과 신정 정치(52-60세)
E. 이슬람의 세계화(60-62세)
Ⅲ. 이슬람교의 경전
Ⅳ. 이슬람교의 신앙과 신학
A. 최후의 예언자 무함마드
B. 이슬람의 신학적 기초: 이슬람의 다섯 기둥(五行 혹은 五柱)
C. 이슬람교의 여섯 믿음(六信) D. 이슬람의 신관
Ⅴ. 이슬람교의 종파
A. 순니파(Sunnites) B. 쉬아파(Shiites) C. 수퓌파(Sufis) D. 기타의 소수 종파들
Ⅵ. 이슬람교의 문화
A. 정치 B. 언어, 과학, 예술, 건축, 문학 C. 가족 제도와 여성의 지위
Ⅶ. 이슬람 세계를 향한 기독교 선교
A. 신관 B. 경전 C. 그리스도 D. 국가별 선교 전략
Ⅷ.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비교
A. 유사점 B.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차이점
제13장 자이나교와 시크교
Ⅰ. 자이나교
A. 자이나교 개관 B. 교조 바르다마나(Vardhamana) C. 자이나교의 흥망성쇠
D. 자이나교의 경전들 E. 자이나교의 교리 F. 자이나교의 신앙 생활
Ⅱ. 시크교
A. 시크교 개관 B. 시크교는 구루의 종교(Religion of Gurus) C. 시크교의 초기 교세 확장 D. 종교 개혁과 종교 전쟁 E. 시크교의 경전과 황금 사원 F. 시크교의 교리(Doctrines)
Ⅲ. 결론
제14장 불교(佛敎)
Ⅰ. 불교의 형성
A. 불교 형성의 배경 B. 석가모니의 생애
Ⅱ. 불교의 경전
Ⅲ. 불교의 교의(신학)
A. 신관(神觀) B. 인간관(人間觀) C. 세계관(世界觀) D. 진리관(眞理觀)
E. 수행관(修行觀) F. 내세관
Ⅳ. 한국의 불교
Ⅴ. 불교와 기독교의 비교
A. 신앙의 대상 B. 신관 C. 십계명 D. 윤회와 부활 E. 치유 활동 F. 교육 방법
G. 고(苦)와 죄(罪) H. 석가와 예수의 권위 문제 I. 열반과 천국 J. 불교의 해탈과 구원
Ⅵ. 아시아 국가 불교권 선교 현황
A. 대만 B. 몽골 C. 일본 D. 중국 E. 캄보디아 F. 태국
Ⅶ. 결론
제15장 유교(儒敎)
Ⅰ. 유교와 그 실존적 의미
A. 종교로서의 유교 B. 유술, 유학, 유교, 유가
Ⅱ. 유교의 역사적 고찰
A. 중국 고대 사회 B. 유교의 출현 C. 한제국(漢帝國)의 정통 사상으로서의 유교
D. 유교 전통의 부활 E. 서양 사상이 유교에 끼친 영향
Ⅲ. 유교의 신학적 이해
A. 유교의 신관 B. 유교의 우주관 C. 유교의 음양오행관
D. 유교의 인간관 E. 유교의 세계관
Ⅳ. 유교의 경전과 변화
A.유교의 경전 B. 유교의 삼대 변경 C. 오늘날의 유교
Ⅴ. 결론
제16장 도교(道敎)
Ⅰ. 도교의 일반적 성격
A. 신비, 은둔, 수동, 소극, 여성적인 도교 B. “도”(道,Tao)란 무엇인가?
C. 자연(우주)과 인간의 조화, 균형
Ⅱ. 도교의 기원
A. 노자 B. 장자(莊子)
Ⅲ. 도교의 경전
Ⅳ. 도교의 분파
A. 철학적 도교 B. 종교적 도교 C. 교단 도교 D. 민간 도교
Ⅴ. 도교의 영향
Ⅵ. 결론
A. 민간 전설에 미친 영향 B. 문학 예술에 미친 영향
제17장 신도교(神道敎)
Ⅰ. 신도교 개관
Ⅱ. 신도교의 형성
A. 일본의 고대 신화 B. 신도의 발전
Ⅲ. 신도교의 종류
A. 가정신도(Family Shinto) B. 종파신도(Sectarian Shinto) C. 국가신도(State Shinto)
Ⅳ. 신도의 세 가지 개념
A. 일본인들의 신 숭배 개념 B. 국가에 대한 충성 C. 순결한 일본 정신의 함양
Ⅴ. 신도교와 기독교
A. 경전 B. 신관 C. 인간관과 죄관 D. 구원관 E. 예배
Ⅵ. 결론
제18장 천도교(天道敎)
Ⅰ. 한국 현대사와 천도교의 이해
Ⅱ. 천도교의 시작
A. 교주 최제우 B. 천도교의 포교 활동
Ⅲ. 동학의 리더십 계승
A. 폭력과 비폭력의 갈등 B. 최시형과 전봉준의 만남 C. 손병희와 3.1 독립 운동
Ⅳ. 동학의 교리
A. 천도교 교리 개관 B. 천도교의 신관 C. 천도교의 구원관 D. 천도교의 세계관
Ⅴ. 천도교와 기독교
A. 하나님(天主) 개념 비교 B. 수운 최제우의 기독교 이해
Ⅵ. 결론
참고 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