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74426415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10-02-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PART 1. 지식창조형 교육시스템 개혁에 한국의 미래가 달려 있다
산업화 시대의 교육시스템 이제는 버려라
풀빵교육으로 국민소득 3만 달러 어렵다
이제는 인재를 천재로 키워야 할 때
교육주의에서 학습주의로 패러다임 전환해야
지식창조형 교육시스템 개혁에 한국의 미래가 달렸다
PART 2. 과거의 교육시스템, 산업화 시대에는 유효했다
전쟁의 폐허 속에서 만들어낸 한강의 기적
스스로 놀라는 한국의 경제발전 모습
교육 부문 경이로운 양적 성장
급속한 경제발전의 원동력 높은 교육열에서 기인
교육이 경제발전에 얼마나 기여했을까
한국교육의 성과는 세계적으로 자랑할만 해
PART 3. 교육시스템 바꿔야 위기 극복 가능하다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
국가경쟁력의 원천은 결국 교육과 사람이다
PART 4. 창조교육만이 강한 국가 만든다: 4대 교육혁명론
교육의 틀 깨기: 4대 교육혁명
교육시스템 바꾸기: 시스템 혁명
학교교실의 틀 깨기: 교실혁명
대학의 틀 깨기: 대학혁명
모든 국민의 교육 틀 깨기: 평생학습혁명
참고자료
저자소개
책속에서
특히 지금과 같은 교육시스템으로 대망의 3만 달러 고지에 오를 수 있느냐에 대해선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회의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다. 3만 달러 달성을 위해선 상품의 고급화와 글로벌 경쟁력이 핵심이지만 과학기술을 끌어올리고 고급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의 부재는 3만 달러 고지를 점령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중략) 이러한 지적들은 결국 교육의 경쟁력을 높이려면 종래의 산업사회시대의 관점에서 벗어나 각자의 창의력으로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길러낼 수 있을 때에만 우리 국민의 소득 3만 달러 달성도 가능하다는 말일 것이다. - Part 1. 지식창조형 교육시스템 개혁에 한국의 미래가 달려 있다 중에서
한강의 기적’을 이루어낸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국민소득 1만 달러를 달성한 나라가 됐다. 우리나라는 1962년부터 국가주도의 경제개발계획을 추진한 이래 1995년 1만 달러를 달성까지 33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날 선진국 대열에 들어선 국가들은 우리나라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그 기간은 길었다. 영국은 1769년 산업혁명 이후 218년이 지난 1987년에야 1만 달러에 도달했고, 미국 역시 1850년 산업화를 시작한 이래 1978년 1만 달러를 달성하기까지에는 128년이라는 세월이 소요됐다. 우리의 경쟁국인 일본은 1867년 메이지유신을 시작한 이래 114년이 지난 1981년에 1만 달러 국가가 되었다. 이 때문에 우리는 자주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을 ‘압축성장’이라고 표현했다. 그만큼 짧은 기간 동안에 선진국이 달성했던 성장을 압축적으로 단기간에 달성했다는 의미가 될 것이다. - Part 2. 과거의 교육시스템, 산업화 시대에는 유효했다 중에서
국가 전반에 걸쳐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결국 교육시스템 개혁을 주장하고 있다. OECD는 ‘늙은 한국’을 피하고 ‘젊은 한국’을 만들기 위해선 교육시스템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하면서 사교육비 부담이 한국 저출산 현상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고 주장한다. (중략) 일하는 사람이 줄고 부양해야 하는 노인은 더 빨리 늘어나는 사회가 그 부담을 견뎌내는 방법은 국민 한 명 한 명을 어느 나라 누구와 경쟁해도 뒤지지 않을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 있는 인재를 키워내는 수밖에 없다. - Part 3. 교육 시스템 바꿔야 위기 극복 가능하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