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꾸란의 이해

꾸란의 이해

(정통 이슬람과 민속 이슬람)

공일주 (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2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꾸란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꾸란의 이해 (정통 이슬람과 민속 이슬람)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88974644932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08-04-30

책 소개

이슬람의 원줄기인 코란 연구를 통하여 무슬림들의 세계관world-view를 바르게 알아 이슬람 세계와 비즈니스, 교육과 문화, 수주와 계약, 외교와 친선 등 이슬람 국가와의 협력과 교류를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준다. 이론과 현장이 조화를 이루도록 공식 이슬람과 민속 이슬람을 모두 다뤘다.

목차

머리말/ i

제1부 공식 이슬람
제1장. 코란 정경이 되기까지/ 1
코란, 개론적 의미/ 3
무함마드/ 7
코란, 계시/ 10
코란의 편집과 메카, 메디나 계시/ 12
코란의 문체와 표현/ 15
코란, 아랍어 글자로 기록되기까지/ 17
코란, 이슬람 문화의 핵/ 23
기초적인 용어/ 25

제2장 코란 번역과 주석/ 29
코란 주석서와 번역/ 31
코란 주석/ 47
코란 번역의 정확성과 명확성/ 56

제3장 코란의 어휘 연구/ 63
알라와 초자연계/ 65
기본적 의미와 관계적 의미/ 70
코란의 핵심 어휘/ 72
코란 이후의 체계/ 74
믿음과 구원/ 80
알라와 인간/ 86
이슬람 공동체/ 88
보이지 않는 세계와 보이는 세계/ 90
종말론적 개념/ 92
알라의 개념/ 94
아라비아의 다신교들의 알라 개념/ 96
유대교인과 기독교인/ 98
다신교도들이 이해한 유대 기독교인들의 알라 개념/ 100
아랍시의 역할/ 103
하니프의 알라/ 106
창조의 개념/ 108
인간의 운명/ 110
파라다이스와 지옥/ 115
표시/ 119
신의 인도/ 120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서 두아/ 122
무슬림의 기도 순서/ 123
계시의 의미/ 125
진의 세계/ 134
개인의 종교적 신앙과 형식화된 종교그룹/ 140
윤리/ 142

제4장. 코란의 주제 연구/ 147
코란의 순서와 아랍어 명칭/ 149
코란의 본문연구/ 151
해석되지 않는 불가사의한 글자/ 153
무효화(대체)/ 155
코란의 책별 주제/ 171
제5장. 코란과 성경/ 241
서구의 코란 번역/ 243
다시 해석하는 코란 구절/ 245
성경과 코란, 어휘적인 의미 차이/ 248
성경과 코란, 신학적인 의미 차이/ 253
하디스와 마태 복음의 몇 구절/ 260
성경의 아브라함과 코란의 이브라힘/ 263
성경과 코란, 비교 연구/ 266
기독교- 이슬람 용어 차이/ 276

제2부 민속 이슬람
제1장. 민속 이슬람/ 279
민속 이슬람 정의/ 281
수피의 왈리/ 284
민속 이슬람에서 재해석된 여섯 가지 믿음/ 287
민속 이슬람에서 다섯 가지 기둥의 재해석/ 290
운세와 점 보기/ 294
민속 무슬림의 실태조사/ 296
수피와 순니, 시아 그리고 민속 이슬람/ 312
신비주의자들의 모범, 무함마드/ 319

코란과 이슬람 1문 1답/ 347

찾아보기/ 325

저자소개

공일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주교육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B.A.) 및 동 대학원(M.A.)을 졸업한 후, 카르툼국제아랍어 교육대학원(M.A.), 옴두르만대학교 문과대학원(Ph.D.), 요르단복음주의신학대학교(M.Div., Th.M.), AGST/ ACTS(D.Miss.)에서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초빙연구원, 요르단대학교 교수, 요르단복음주의신학대학교 교수, 카이로 대학교 방문교수, Petrescue Bible Institute 교수, 주안대학원대학교 겸임교수,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중동아프리카연구소 소장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와 학술 활동 국내에서 출간한 26권의 책과, 아랍어로 저술하거나 아랍어로 번역되어 해외에서 출간된 8권의 책이 있다. 또한, 〈아랍어 의미연구와 꾸란의 의미번역〉, 〈이슬람 사상에서 타즈디드의 함의와 개념〉 등 60여 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하였다. 저서 중 『아랍문화의 이해』, 『이슬람 문명의 이해』, 『이슬람의 수피즘과 수쿠크』는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추천 교양도서로 선정되었으며, 『이슬람과 IS』는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우수도서로, 『한국의 무슬림』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우수도서로 선정되었다. 2024년에는 Tim Green의 Come Follow Me (Study Book 및 Advisor Guide)를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머리말
2008년 초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이란 등지에서 한국이 도입한 원유는 전체 원유 수입의 80% 이상에 달하고 있다. 이처럼 중동 이슬람 국가와 자원외교가 절실한 외교 통상부는 2007년 중동 소사이어티(Middle East Society)를 설립할 거라고 발표하고 중동과의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이슬람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중동 소사이어티가 한국 내 모스크 건립을 지원하는 것도 사업 중 하나로 소개하였다. 2007년 한국에서는 아프간에서 한국인 피랍 사건이 터지자 한국에 중동 전문가가 없다고 언론의 비난이 빗발쳤다. 사실 중동 전문가들이 양성되기 어려운 국내 여건이 있었고 실질적인 전문가 양성을 위한 기초적인 학술 연구 지원과 코란과 이슬람학에 대한 연구가 적었다.
2007년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이란 단어는 한국 언론에 자주 등장하여 우리에게 어느 정도 익숙한 단어이다. 그러나 탈레반이란 단어는 원래 코란을 배우는 학생들이란 아랍어 단어에서 연유된 것으로서 이슬람 근본주의 무장세력을 가리킨다. 탈레반이 이슬람의 종교단체로서 그들이 일삼는 테러 때문에 많은 온건 무슬림들로부터 비난을 받고 있다. 탈레반은 엄격한 이슬람법을 적용, TV 시청과 음악을 금하고 8세 이상의 여성에게는 엄격한 이슬람식 복장을 요구했으며, 여성에게 교육과 취업을 금하고 코란을 읽게 했다 .
사실 코란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이슬람의 여러 이데올로기와 오늘의 이슬람 세계를 이해하기 어렵다. 더구나 국내에서는 이슬람과 중동에 대한 언론 취재가 한 두 학자들에게 치중 되어 이슬람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한국 국민이 이해하지 못하여 향후 한국의 대 이슬람 외교와 무역, 교류와 민간 활동 등에서 시행착오와 그에 따른 비용은 실로 엄청날 것으로 예상된다.
노무현 정부 시절 국내 이슬람 연구가 반미와 결탁되면서 한국인이 가져야 할 이슬람에 대한 중립적이고 객관적 시각을 잃어버려 앞으로 세계와 이슬람, 한국과 이슬람 국가 간의 이해를 바로 정립하는데 엄청난 시간과 국가적 손실을 감당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지금 유럽에서 골머리를 앓고 있는 무슬림 이주민들과 근로자들의 권리 주장과 근무시 히잡 착용 문제, 이슬람 문화를 존중하지 않는다고 무슬림들이 해당 정부에 대하여 시위와 법정 싸움을 제기하고 또 유럽인들의 표현의 자유와 무함마드 모욕이 대결한 네덜란드 풍자만화 사건 등 무슬림과 이슬람 문화 유입으로 유럽과 미국, 호주 등 무슬림 이주민과의 예기치 않은 사회적 문제가 일고 있다.
몇 년 전 두바이에서는 교육과 비즈니스, 행정에서 세계 경제 상황에 적응될 수 있도록 이슬람법이 진일보 해석되어 다양한 비즈니스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여론이 들끓었다. 2008년 3월 20일 BBC아랍어 방송에서는 사우디 아라비아가 전투적인 이슬람(militant Islam)에 대항하기 위하여 4만 명의 사우디 이맘(모스크의 기도 인도자)들을 재훈련하고 있다고 전한다. 무슬림 이맘들에 대한 재훈련은 요르단을 비롯하여 여러 이슬람국가들이 이슬람 사회의 관용과 중용을 고무시키기 위하여 몇 년 전부터 시행해 온 프로그램이다. 사우디 종교성과 국민 대화 센터가 중심이 되어 이슬람의 전통을 온건한 방향으로 재해석하자는 것인데 사실은 이슬람의 전투성Islamic militancy이 치안 유지라는 방편만으로는 안 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이 같은 처방을 내 놓았으나 이슬람의 온건화가 시행될지는 미지수다. 사우디 이맘들이 무슬림 청년들에게 그동안 지하드의 세계화와 비무슬림에 대한 증오심을 키워온 것이 비난 받아왔고 약 1,000명의 사우디 이맘들이 지난 몇 년 동안 과격 선동 혐의로 이맘직에서 파직된 바 있다. 2008년 3월 둘째 주에는 무슬림들은 그들의 종교를 바꿀 수 없다는 이슬람의 정통교리에 의문을 제기한 두 명의 리버럴한 무슬림을 사우디 정부가 참수한 바 있다.
사실, 코란의 이해는 무슬림들의 세계관world-view를 바르게 알기 위한 것이다. 무슬림들이 어디에서 왔으며 그들이 선과 악, 정의와 불의의 기준이 무엇이며 그들이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들이 지향하는 방향이 무언지를 아는 것이다. 그런데 무슬림의 신앙과 그들의 세계관을 더 잘 이해하려면 코란 중심의 공식 이슬람은 물론 매일 무슬림들의 삶 속에 녹아 있는 민속 이슬람도 알아야 이슬람 세계의 전체를 균형 있게 파악할 수 있다.
이 책은 코란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언어학적 연구와 이슬람 신학적 연구)와 코란이 실제 아랍 무슬림들에게 어떻게 활용되는지 일상생활 속에서 무슬림들의 민간 신앙에 대한 실태 조사도 겸하였다. 즉 이론과 현장이 조화를 이루도록 공식 이슬람과 민속 이슬람을 모두 다룬 것이다. 정통적인 공식 무슬림은 진리를 강조하고 민속 무슬림은 능력이 누가 센가에 더 많은 관심을 갖는다. 사실 민속 무슬림들이 적게는 35% 그리고 많게는 75% (이슬람국가마다 차이를 보이는데 수단의 경우 국민의 상당수가 수피이지만, 사우디 아라비아는 이슬람 신비주의에 저항한다)를 차지함에도 한국에는 민속 이슬람에 대한 연구가 아직까지 미진하였다.
이슬람의 원줄기인 코란 연구를 통하여 이슬람 세계와 비즈니스, 교육과 문화, 수주와 계약, 외교와 친선 등 다양한 아시아간의 협력과 교류에서 이 책이 안내서가 되기를 바라며 이 책의 출간을 흔쾌히 허락한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와 이 책의 자료 분석을 도와준 아내와 딸, 그리고 이 책의 교정을 보아준 이승은 님과 김태준 님에게 감사를 표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