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74646233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0-09-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i
힌두교의 삼신론/1
Ⅰ. 머리말 / 1
Ⅱ. 브라흐마(Brahm?) / 3
Ⅲ. 비쉬누(Vi??u) / 9
Ⅳ. 시바(?iva) / 14
Ⅴ. 뜨리무르띠(Trim?rti) / 18
Ⅵ. 맺음말 / 24
라마 설화를 통해서 본 라마의 화현관/29
Ⅰ. 머리말 / 29
Ⅱ. R?ma(라마)의 개념 / 30
Ⅲ. 라마의 화현(Avat?ra) / 41
Ⅳ. 맺음말 / 47
라마설화에 나타난 다르마(Dharma)의 의미/53
Ⅰ. 머리말 / 53
Ⅱ. 리따(?ta) / 55
Ⅲ. 다르마(Dharma)의 의미 / 60
Ⅳ. 발미끼(V?lm?ki)의 다르마 / 65
Ⅴ. 끝맺는 말 / 72
뚤씨다쓰(Tuls?d?s)의 박띠(Bhakti) 사상(思想)/77
Ⅰ. 들어가는 말 / 77
Ⅱ. 까르마(Karma) / 80
Ⅲ. 갸나(J??na) / 82
Ⅳ. 박띠(Bhakti) / 84
Ⅴ. 뚤씨다쓰의 철학 사상 / 90
Ⅵ. 나가는 말 / 94
Yoga 철학의 倫理學的 意味/103
Ⅰ. 들어가는 말 / 103
Ⅱ. 요가의 기원 / 105
Ⅲ. 요가의 성격 / 107
Ⅳ. 요가의 심리와 윤리 / 119
Ⅴ. 신에 대한 요가의 입장 / 124
Ⅵ. 끝맺는 말 / 126
베단따 철학의 형이상학적 의미/133
Ⅰ. 들어가는 말 / 133
Ⅱ. 베단따 철학의 배경 / 134
Ⅲ. 베단따 철학의 발달 / 136
Ⅳ. 베단따의 형이상학 / 143
Ⅴ. 베단따의 학파의 사상 / 154
Ⅵ. 끝맺는 말 / 159
S??khya 철학의 이원론적 의미/165
Ⅰ. 들어가는 말 / 165
Ⅱ. 쌍캬 철학의 개요 / 166
Ⅲ. 이원론(二元論)적 인식 / 169
Ⅳ. 진화론(進化論)적 의미 / 180
Ⅴ. 해탈론(解脫論) / 187
Ⅵ. 쌍캬 철학의 문제 / 192
Ⅶ. 맺는 말 / 197
니야야(Ny?ya)의 인식론적 의미/203
Ⅰ. 들어가는 말 / 203
Ⅱ. 인식론(認識論) / 204
Ⅲ. 형이상학적 의미 / 222
Ⅳ. 나가는 말 / 227
바가와드기따의 인식론적 의미/231
Ⅰ. 들어가는 말 / 231
Ⅱ. 기따의 가르침 / 232
Ⅲ. 기따의 인신론 / 241
Ⅳ. 기따의 신관 / 252
Ⅴ. 나가는 말 / 256
참고문헌/277
찾아보기/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