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글로벌 전망 2030

글로벌 전망 2030

(러시아의 전략적 시각)

알렉산드르 딘킨 (지은이), 김현택, 이상준 (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650원 -5% 0원
1,350원
24,300원 >
27,000원 -0% 0원
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글로벌 전망 2030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글로벌 전망 2030 (러시아의 전략적 시각)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88974647070
· 쪽수 : 488쪽
· 출판일 : 2012-01-20

책 소개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세계경제 및 국제관계 연구소(IMEMO)에서 집필한 글로벌 전망 2030을 번역한 것으로 핵심적 세계 정치.경제 동향이 러시아에게 어떤 문제와 가능성을 제시하는지를 보여준다. 세계 발전 동향, 그리고 이 동향이 이데올로기, 경제, 사회관계, 정치 등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지를 밝히고 있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3
서론/ 17

제1부 이데올로기와 글로벌 거버넌스/ 39

제1장 이데올로기적 과정/ 41
1.1. 이데올로기적 근거
1.2. 세계의 주요 이데올로기
1.3. 지배 이데올로기 간의 관계
1.4.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과정
1.5. 종교의 균형
1.6. 기존 이데올로기 체계의 진화
1.7. 새로운 이데올로기의 형성
1.8. 대안적 세계화 모델의 이데올로기
1.9. 이데올로기와 국제관계
1.10. 국제체계에서의 문화 간 상호작용
1.11. 글로벌 거버넌스 이데올로기

제2장 글로벌 거버넌스/ 79
2.1. 글로벌 거버넌스의 개념과 조건
2.2. 글로벌 거버넌스의 행위주체
2.3. 글로벌 거버넌스의 대상과 분야
2.4. 글로벌 거버넌스의 제도 및 기구
글로벌 거버넌스와 중국
제도적 변화
주요 행위자들 간의 대립
UN 개혁에 대한 전망
글로벌 시민 사회
2.5. 글로벌 거버넌스의 내용: 목적과 과제
2.6. 글로벌 거버넌스의 형태와 방법의 진화
2.7. 글로벌 거버넌스의 발전 전망
국제 관료제의 진화
글로벌 거버넌스 구상의 중심지
정보기술의 역할
글로벌 거버넌스의 동향

제2부 세계 경제/ 109

제3장 세계 경제의 역학구도/ 111
3.1. 글로벌 위기의 여파
3.2. GDP 성장 전망
3.3. GDP 구조
3.4. 자본축적
3.5. 인구변동과 노동자원
3.6. 노동생산성

제4장 장기적 발전 요소/ 126
4.1. 세계화
세계 무역
다국적기업
외국인직접투자(FDI)
세계 엘리트 기업의 지형도 변화
FDI 산업 분야별 구조
‘직접투자’의 개념 변화
경영의 진화
금융시장의 발전
FDI 외 상품의 발전
금융 시스템의 성숙도 제고
4.2. 혁신
GDP의 기술집약도
기술적 우선과제
기술집약적 사업
R&D를 비롯한 기업 혁신기능의 국제화

제5장 주요 산업 부문 및 분야/ 147
5.1. 서비스 부문
주요 동향
‘지적’ 서비스
정보통신기술
5.2. 공업
분야
일반 동향
상품시장 발전 동향
글로벌 경쟁과 효율성
5.3. 에너지
일반 동향
석탄
석유
천연가스
원자력에너지
재생에너지
5.4. 농업

제6장 전략적 규제 방향/ 170
6.1. 국제무역
6.2. 세계금융
6.3. 환경
개발의 생태화
기후의 변동
기후 보존을 위한 개별국의 방안

제3부 글로벌 사회문제/ 183

제7장 전반적 사회발전 동향/ 185
7.1. 정치 시스템 및 권력기관, 시민사회
국내정세전망
정보기술과 정치적 진화
7.2. 기업의 사회적 책임: 자선사업에서 시민기업으로
7.3. 근로관계 및 조율시스템

제8장 세계 인구동향/ 207
8.1. 전체동향
8.2. 선진국 인구전망
8.3. 이주문제

제9장 교육 및 보건, 빈곤문제/ 217
9.1. 세계 교육제도
전체동향
교육 내용 및 방법론 개선
평생교육 확대
글로벌 교육 공간의 형성 및 국가 간 교육제도의 표준화
노동력의 이동성 증대
9.2. 세계 보건제도
9.3. 세계 빈곤문제

제4부 국제관계 시스템 및 안보리스크/ 229

제10장 국제정치 발전 동향/ 231
10.1. 국제정치 시스템의 질적 변화
전환기의 종료
세계화의 효과
국제관계의 주요 행위자
국제관계 시스템의 잠재적 분열요소
10.2. 국제정치 시스템의 구성
새로운 시스템 구축
다극체제
통합, 지역화, 국제레짐
국제 리더십
10.3. 국제정치 행동의 결정 요인
경제
안보와 힘의 요소
군비통제
내정 상황 및 대외관계
협력의 중요성

제11장 분쟁과 극단적 시나리오/ 260
11.1. 국제분쟁의 전개과정
핵보유강국
기타 핵보유국
인도-파키스탄
인도-중국
11.2. 국제분쟁
이란
중앙아시아
기타 지역
11.3. 복합유형의 분쟁

제12장 안보위협/ 272
12.1. 군사력 역할
핵무기
미사일방어체제(MD)
정밀무기
항공우주분야 정보 및 군사장비
무기거래
12.2. 위험기술 및 원료 확산
핵확산
북한
이란
핵 테러
미사일기술
기타 대량살상무기(WMD) 및 군사기술
화학무기
생물무기
방사능무기
12.3. 국제테러
12.4. 새로운 안보위협
기후
자원전쟁

제5부 세계발전의 중심 및 기타 지역/ 289

제13장 미국/ 291
13.1. 발전속도 및 특징
13.2. 경제구조의 변화
13.3. 인구증가와 인간 잠재능력 향상
교육의 역할
보건
13.4. 순환적?파생 문제
13.5. 사회?경제제도의 기능 변화
기업부문
영리 및 비영리 경제 분야의 결합
13.6. 세계경제관계
13.7. 국내 정치발전의 주요 경향
13.8. 대외정치의 주요 방향
대외정치에서 다국적기업, 영리 및 비영리단체
미국과 NATO

제14장 유럽연합(EU)/ 324
14.1. 사회?경제 발전
14.2. EU 국가 및 지역 간 격차 해소
14.3. 제도적 구조의 진화
14.4. 주요 외교정책의 벡터
14.5. EU 주요 국가 및 지역의 발전 특성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북유럽
중동부 유럽

제15장 아시아 태평양 지역/ 370
다국적기업과 지역통합
15.1. 중국
경제 현대화
국내정치 안정
대외정치 노선
15.2. 일본
경제동향
혁신시스템 재편
대외경제 부문
국내정치 변화의 분기점
15.3. 한반도: 변화와 통일의 시나리오
통일의 단계
경제성장 둔화 ? 통일의 부담
중국˙일본과의 ‘3각체제’ 구축

제16장 동남아시아와 호주/ 399
16.1.아세안(ASEAN)
ASEAN과 국제노동분업
인구
지역통합
주요 국내정치 경향
ASEAN에 대한 위협
ASEAN과 러시아
16.2. 호주
세계 경제의 원료기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인구와 이민
경제 전략
에너지
대외경제부문
지역통합 참여
정치발전

제17장 인도와 남아시아/ 410
17.1.인도
경제동력
인구변화
현대화와 사회의 질적 발전 문제
정당정치 구조의 진화
사회정치 경향과 위협요소
17.2.파키스탄
주요 사회경제적 지향점
파키스탄의 당면 과제
17.3.남아시아 기타 국가들

제18장 중동과 아프리카/ 416
18.1.중동
경제동력
인구와 이민 동향
정치전망
이슬람 요소
지역통합
미래의 도전과 위협요소
18.2.북아프리카
경제동력
인구와 이민 동향
지역통합
미래의 도전과 위협요소
18.3.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경제동력
인구와 이민 동향
사회정치 전망
빈곤문제
대외경제관계와 대외요소
지역통합
미래의 도전과 위협요소

제19장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431
19.1.지역 동향
경제동력
인구 및 노동시장
구조적 변화
혁신
정치 체제
역내지역 간 분쟁 가능성
대외관계
대외정책의 지향점
대외 경제 분야
19.2 브라질
경제 동향
사회 및 국내 정치 상황
대외경제 관계
세계강국의 위상
19.3 멕시코
경제 동향
사회 국내 정치 상황
대외 경제 분야
국제 사회에서의 입지

결론/ 445
러시아에 주는 시사점: 위기와 기회/ 447

통계지표/ 456
통계지표 해제/ 456

집필진 및 한국어판 번역진/ 476

역자후기/ 481

저자소개

알렉산드르 딘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8년 모스크바 출생 1976년 IMEMO 경제학 박사 1989년 경제학 국가 박사 및 정교수 2000년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준회원 2006년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정회원 2006년 IMEMO 소장 취임 현재 IMEMO 소장, 모스크바 국제대학교 경제학부장, 총리실 산하 러시아 국가 경쟁력 위원회 위원, 고등과학인증위원회 위원 등의 직책을 맡고 있는 러시아의 대표적 경제학자로, 러시아 주요 일간지 논설위원 및 국영 TV 해설위원으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기술혁명의 새로운 단계』(1991),『이노베이션 경제』(2001),『비즈니스 그룹과 러시아 경제 현대화』(2001),『2020 세계 경제 전망』(2007)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현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를 졸업하고 미국 캔자스주립대학교 대학원 슬라브어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외대 노어과 교수로 문학과 문화 관련 과목을 강의하면서, 『붉은 광장의 아이스링크: 문화로 읽는 오늘의 러시아』(공저)와 『사바틴에서 푸시킨까지: 한국 속 러시아 발자취 150년』(공저), 「살라모프의 『콜리마 이야기』: “새로운 산문”의 탄생」 등 여러 단행본과 논문을 발표했다. 한국계 러시아 작가 아나톨리 김과 공동으로 『춘향전』을 러시아어로 번역 출간하기도 했으며, 2010년 러시아 정부가 수여하는 ‘푸시킨 메달’을 받았다.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소장 직을 역임했고, 2018년 현재 한국외대 대외부총장 직을 맡고 있다.
펼치기
이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와 KAIST 경영학과 졸업 후, 대우전자에서 근무하였다.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IMEMO에서 국제경제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국민대학교에서 러시아 정치경제 관련 과목을 강의하면서,《러.중 관계와 한반도(공저, 근간)》, “포스트 크라이시스와 한.러 경제협력” 등 러시아 경제에 관련된 단행본과 논문을 다수 집필하였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