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88974647070
· 쪽수 : 488쪽
· 출판일 : 2012-01-20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3
서론/ 17
제1부 이데올로기와 글로벌 거버넌스/ 39
제1장 이데올로기적 과정/ 41
1.1. 이데올로기적 근거
1.2. 세계의 주요 이데올로기
1.3. 지배 이데올로기 간의 관계
1.4.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과정
1.5. 종교의 균형
1.6. 기존 이데올로기 체계의 진화
1.7. 새로운 이데올로기의 형성
1.8. 대안적 세계화 모델의 이데올로기
1.9. 이데올로기와 국제관계
1.10. 국제체계에서의 문화 간 상호작용
1.11. 글로벌 거버넌스 이데올로기
제2장 글로벌 거버넌스/ 79
2.1. 글로벌 거버넌스의 개념과 조건
2.2. 글로벌 거버넌스의 행위주체
2.3. 글로벌 거버넌스의 대상과 분야
2.4. 글로벌 거버넌스의 제도 및 기구
글로벌 거버넌스와 중국
제도적 변화
주요 행위자들 간의 대립
UN 개혁에 대한 전망
글로벌 시민 사회
2.5. 글로벌 거버넌스의 내용: 목적과 과제
2.6. 글로벌 거버넌스의 형태와 방법의 진화
2.7. 글로벌 거버넌스의 발전 전망
국제 관료제의 진화
글로벌 거버넌스 구상의 중심지
정보기술의 역할
글로벌 거버넌스의 동향
제2부 세계 경제/ 109
제3장 세계 경제의 역학구도/ 111
3.1. 글로벌 위기의 여파
3.2. GDP 성장 전망
3.3. GDP 구조
3.4. 자본축적
3.5. 인구변동과 노동자원
3.6. 노동생산성
제4장 장기적 발전 요소/ 126
4.1. 세계화
세계 무역
다국적기업
외국인직접투자(FDI)
세계 엘리트 기업의 지형도 변화
FDI 산업 분야별 구조
‘직접투자’의 개념 변화
경영의 진화
금융시장의 발전
FDI 외 상품의 발전
금융 시스템의 성숙도 제고
4.2. 혁신
GDP의 기술집약도
기술적 우선과제
기술집약적 사업
R&D를 비롯한 기업 혁신기능의 국제화
제5장 주요 산업 부문 및 분야/ 147
5.1. 서비스 부문
주요 동향
‘지적’ 서비스
정보통신기술
5.2. 공업
분야
일반 동향
상품시장 발전 동향
글로벌 경쟁과 효율성
5.3. 에너지
일반 동향
석탄
석유
천연가스
원자력에너지
재생에너지
5.4. 농업
제6장 전략적 규제 방향/ 170
6.1. 국제무역
6.2. 세계금융
6.3. 환경
개발의 생태화
기후의 변동
기후 보존을 위한 개별국의 방안
제3부 글로벌 사회문제/ 183
제7장 전반적 사회발전 동향/ 185
7.1. 정치 시스템 및 권력기관, 시민사회
국내정세전망
정보기술과 정치적 진화
7.2. 기업의 사회적 책임: 자선사업에서 시민기업으로
7.3. 근로관계 및 조율시스템
제8장 세계 인구동향/ 207
8.1. 전체동향
8.2. 선진국 인구전망
8.3. 이주문제
제9장 교육 및 보건, 빈곤문제/ 217
9.1. 세계 교육제도
전체동향
교육 내용 및 방법론 개선
평생교육 확대
글로벌 교육 공간의 형성 및 국가 간 교육제도의 표준화
노동력의 이동성 증대
9.2. 세계 보건제도
9.3. 세계 빈곤문제
제4부 국제관계 시스템 및 안보리스크/ 229
제10장 국제정치 발전 동향/ 231
10.1. 국제정치 시스템의 질적 변화
전환기의 종료
세계화의 효과
국제관계의 주요 행위자
국제관계 시스템의 잠재적 분열요소
10.2. 국제정치 시스템의 구성
새로운 시스템 구축
다극체제
통합, 지역화, 국제레짐
국제 리더십
10.3. 국제정치 행동의 결정 요인
경제
안보와 힘의 요소
군비통제
내정 상황 및 대외관계
협력의 중요성
제11장 분쟁과 극단적 시나리오/ 260
11.1. 국제분쟁의 전개과정
핵보유강국
기타 핵보유국
인도-파키스탄
인도-중국
11.2. 국제분쟁
이란
중앙아시아
기타 지역
11.3. 복합유형의 분쟁
제12장 안보위협/ 272
12.1. 군사력 역할
핵무기
미사일방어체제(MD)
정밀무기
항공우주분야 정보 및 군사장비
무기거래
12.2. 위험기술 및 원료 확산
핵확산
북한
이란
핵 테러
미사일기술
기타 대량살상무기(WMD) 및 군사기술
화학무기
생물무기
방사능무기
12.3. 국제테러
12.4. 새로운 안보위협
기후
자원전쟁
제5부 세계발전의 중심 및 기타 지역/ 289
제13장 미국/ 291
13.1. 발전속도 및 특징
13.2. 경제구조의 변화
13.3. 인구증가와 인간 잠재능력 향상
교육의 역할
보건
13.4. 순환적?파생 문제
13.5. 사회?경제제도의 기능 변화
기업부문
영리 및 비영리 경제 분야의 결합
13.6. 세계경제관계
13.7. 국내 정치발전의 주요 경향
13.8. 대외정치의 주요 방향
대외정치에서 다국적기업, 영리 및 비영리단체
미국과 NATO
제14장 유럽연합(EU)/ 324
14.1. 사회?경제 발전
14.2. EU 국가 및 지역 간 격차 해소
14.3. 제도적 구조의 진화
14.4. 주요 외교정책의 벡터
14.5. EU 주요 국가 및 지역의 발전 특성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북유럽
중동부 유럽
제15장 아시아 태평양 지역/ 370
다국적기업과 지역통합
15.1. 중국
경제 현대화
국내정치 안정
대외정치 노선
15.2. 일본
경제동향
혁신시스템 재편
대외경제 부문
국내정치 변화의 분기점
15.3. 한반도: 변화와 통일의 시나리오
통일의 단계
경제성장 둔화 ? 통일의 부담
중국˙일본과의 ‘3각체제’ 구축
제16장 동남아시아와 호주/ 399
16.1.아세안(ASEAN)
ASEAN과 국제노동분업
인구
지역통합
주요 국내정치 경향
ASEAN에 대한 위협
ASEAN과 러시아
16.2. 호주
세계 경제의 원료기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인구와 이민
경제 전략
에너지
대외경제부문
지역통합 참여
정치발전
제17장 인도와 남아시아/ 410
17.1.인도
경제동력
인구변화
현대화와 사회의 질적 발전 문제
정당정치 구조의 진화
사회정치 경향과 위협요소
17.2.파키스탄
주요 사회경제적 지향점
파키스탄의 당면 과제
17.3.남아시아 기타 국가들
제18장 중동과 아프리카/ 416
18.1.중동
경제동력
인구와 이민 동향
정치전망
이슬람 요소
지역통합
미래의 도전과 위협요소
18.2.북아프리카
경제동력
인구와 이민 동향
지역통합
미래의 도전과 위협요소
18.3.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경제동력
인구와 이민 동향
사회정치 전망
빈곤문제
대외경제관계와 대외요소
지역통합
미래의 도전과 위협요소
제19장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431
19.1.지역 동향
경제동력
인구 및 노동시장
구조적 변화
혁신
정치 체제
역내지역 간 분쟁 가능성
대외관계
대외정책의 지향점
대외 경제 분야
19.2 브라질
경제 동향
사회 및 국내 정치 상황
대외경제 관계
세계강국의 위상
19.3 멕시코
경제 동향
사회 국내 정치 상황
대외 경제 분야
국제 사회에서의 입지
결론/ 445
러시아에 주는 시사점: 위기와 기회/ 447
통계지표/ 456
통계지표 해제/ 456
집필진 및 한국어판 번역진/ 476
역자후기/ 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