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야기
· ISBN : 9788974834470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0-11-30
책 소개
목차
제1장 나는 이렇게 영화를 시작했다
내 인생의 첫 영화 '울트라 Q'
J호러, 신인 발굴의 등용문
허구 세계에 매혹된 꼬마
중학교 영화연구부 시절
영화 언어의 열쇠를 준 '포세이돈 어드벤처'
열두 편의 영화를 만들고 졸업한 고등학생
인디 프로듀서 롤 모델, 가도카와 하루키
오바야시 노부히코 감독이 준 희망
패기 넘치던 대학 시절 자주영화
제2장 무서운 것 없던 신입 프로듀서 시절
감독에서 프로듀서로 전향하다
프로듀서는 꼭 운전면허가 있어야 하나?
월급은 받았지만 갑갑했던 도쿄 생활
프로듀서 데뷔작의 흥행 참패
'꿈꾸는 듯 자고 싶어'로 베니스영화제에 초청
나의 확고한 상업영화 지향성
제작비 10억 엔의 '제도이야기' 프로듀서를 맡다
1927년 긴자 거리 세트에 2억 엔 투자
패기라곤 찾아볼 수 없는 일본 영화계
프로듀서 이치세의 필살기는?
제3장 엔터테인먼트 천국 홍콩을 가다
'천녀유혼'의 충격
'공작왕'의 제작 과정에서 느낀 문화 차이
홍콩의 뿌리 깊은 ‘엔터테인먼트 지상주의’
대타로 감독한 '제도대전'의 실패
감독의 사고방식 vs 프로듀서의 사고방식
홍콩을 넘어 할리우드로
제4장 영화로 돈을 벌 수 없으면 의미가 없다
미국 법인 ‘오즈라픽처스’ 설립
3주는 미국에서, 3주는 일본에서
할리우드 변방에서 제작한 ‘V 시네마’
비고 모텐슨, 러셀 크로우 캐스팅
‘일본 오타쿠’ 사뮤엘 하디다와의 만남
할리우드의 색다른 자본 조달 구조
상품인가 작품인가의 문제
청빈한 프로듀서가 믿을 만한 프로듀서인가?
제5장 '링', 죽기 아니면 까무러치기
새로운 발상 ‘오메가 프로젝트’의 설립
멀티플렉스와 일본 영화 산업의 지각 변동
'링', 배수의 진을 치고 제작에 임하다
J호러 최강의 콤비, 나카타 히데오와 다카하시 히로시
최종 편집권은 프로듀서인 나에게 있다
여배우 발탁에 뛰어난 감각
'링'의 흥행 근원은 휴대전화
시미즈 다카시의 신세대 호러 감각
제6장 '주온', 전대미문의 흥행기록
100만 달러에 팔린 '링'의 리메이크권
제작위원회 방식의 한계
대기업 배급 방식의 대안 찾기
초저예산 호러비디오 '주온'의 성공
'주온', '주온 2' 연속 개봉 마케팅
‘리메이크의 왕’ 로이 리와의 만남
샘 레이미에게 한 수 배우다
할리우드 테스트 스크리닝의 폐해
아시아적인 감각으로 세계를 꿰뚫다
할리우드 영화를 일본에서 찍는 이점
2004년 핼러윈 시즌을 사로잡은 '그루지'
제7장 나는 아직 할리우드에서 성공한 것이 아니다
폭스와 ‘퍼스트 룩’ 계약을 맺다.
폭스를 선택한 세 가지 이유
폭스가 나에게 기대하는 것
일본 영화펀드의 문제점
일본 영화 ‘제작비 급등’이라는 거짓말
제작자는 최선을 다해 그럴듯하게
관객도 대충 속아주지 말아야 한다.
내가 롯폰기 힐스에 사는 이유
다시 시작된 일본·미국 양다리 프로듀서
도전은 이제 막 시작됐을 뿐
리뷰
책속에서
일본 영화계에는 영화라는 게 어차피 ‘자기만족’을 위한 것이라는 분위기가 매우 강했다. 그런 패배주의적인 태도 이면에는 ‘남들은 몰라줘도 나만 좋으면 그만’이라는 엘리트 의식이 깃든 탓도 있지만 어쨌든 자신의 일에 자부심을 느끼지 못하는 분위기였던 것은 틀림없다.
오락왕의 자리는 TV에게 빼앗기고, 영화관에는 관객이 들지 않아 흥행 수입도 오르지 않는다. 예산은 점점 줄고, 감독은 어차피 흥행할 리도 없다며 ‘작가주의’라는 명목으로 자기만족만을 추구하는 지루한 영화를 만든다. 이런 악순환 가운데 ‘재미있는 영화가 보고 싶다’는 단순한 욕구를 가진 관객은 점점 무시당한다. 나에겐 일본 영화계가 이렇게 보였다. 이런 업계의 관행에 절망을 느끼고 있던 나에게 ‘관객을 위해 열심히 일한다’는 단순명쾌한 발상은 충격이었다.
이를테면 우위썬(오우삼) 감독처럼 할리우드에 진출한 중국계 감독을 보면 알겠지만, 미국 시장에서 성공한 아시아 크리에이터는 반드시 어딘가에 지역적인 멋을 담고 있다. 그 점이 미국인에게 신선하게 느껴졌기 때문에 할리우드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세계 시장에서 승부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우리만이 표현할 수 있는 지역적인 감성을 잃지 않으면서 엔터테인먼트로서의 순도를 높여가는 것이다.
‘오타쿠 문화론’으로 유명한 오카다 도시오는 자신의 저서에 다음과 같은 글을 썼다. ‘왜 일본에서는 특촬 괴수영화가 발전한 반면, 미국은 그렇지 않은 걸까? 그 이유는 일본인 특유의 ‘가정하는 문화적 전통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즉, 일본 간객은 인형 옷을 뒤집어 쓴 괴수가 미니어처 세트를 부수는 장면을 보며 ‘대도시를 파괴하는 거대 괴수’로 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미국인의 눈에는 단순히 인형이 장난감을 부수는 것으로밖에 안 보일 것이다. 때문에 미국 영화는 디지털 기술을 구사하여 오로지 리얼리티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화해왔다는 이야기다. 탁월한 통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