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현대사회문화론
· ISBN : 9788974835354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2-09-03
책 소개
목차
첫 번째 추천사/인터넷 혁신의 수혜자는 누구인가_윤종수
두 번째 추천사/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철학과 사회적 합의를 위하여_정지훈
프롤로그/오픈 인터넷과 민주주의 2.0
Part 1 이용자 없이는 인터넷도 없다
TED는 왜 사랑받는가
누구를 위한 디지털 혁명인가
슈퍼스타K에는 스타가 없다
망 중립성에 대한 왜곡과 진실
웹은 죽지 않았다, 아직은
구글의 개방 역시 악할 수 있다
Part 2 불법이 문제인가 악법이 문제인가
인터넷보다 더 위험한 인터넷 규제
타블로와 인터넷을 모두 구하라
디지털 혁명의 이란성 쌍둥이, 불법 복제와 소셜 미디어
참여 문화는 범죄가 아니다
Part 3 열린 인터넷 열린 창조성 그리고 열린 사회
자스민의 꽃은 아직 피지 않았다
디지털 네이티브의 자유 없이는 기업가 정신도 없다
인터넷 포르노, 소외된 남성의 그늘
누가 우리의 마크 주커버그를 죽였나
스티브 잡스와 죽은 인문학의 사회
인터넷의 미래를 지키기 위한 조건
에필로그/연결된 21세기를 위한 새로운 사회계약 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TED처럼 인터넷상에서 자유롭게’ 공개되고‘자발적’으로 공유되며 또한 그 문제점을 스스로 발견해서 개선해나가는 하나의 사회적 흐름이 대중적으로 뿌리내린다는 것은 희망의 증거다.
비키는 이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웹 2.0의 성공 스토리를 써나가고 있다. 공급자 중심의 관점으로는 이용자 참여로 서비스의 틀을 만들어가는 오픈과 소셜의 전 세계 IT 트렌드를 앞서나가기는커녕 따라잡기도 어렵다. 동시에 이 같은 트렌 드는 기술적인 관점에서보다 팬 문화, 참여 문화와 같은 문화적인 트렌드에서 이해할 수 있는 것이 더 많다.
인터넷은 새로운 산업일 뿐 아니라 새로운 사회다. 누구나 소비자일 뿐 아니라 창조자가 될 수 있는 혁신의 기반이다. 그러 나 한국형 망 중립성 논의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은 그러한 인터넷의 미래가, 적어도 이 땅에서는 산업 내 이해관계자 간 이 해 조정의 문제로 국한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