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청소년, 성, 그리고 미디어

청소년, 성, 그리고 미디어

(성에 대한 사실들?)

데이비드 버킹엄, 새라 브래그 (지은이), 배현석, 배은결 (옮긴이)
知&智(지앤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청소년, 성, 그리고 미디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청소년, 성, 그리고 미디어 (성에 대한 사실들?)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88975813276
· 쪽수 : 463쪽
· 출판일 : 2007-07-15

목차

역자서문
저자서문

제1장 ─ 도입
1. 위험에 처한 아동기?
2. 우려의 원인?
3. 이슈의 선별
4. 과거 연구
5. 출발점

제2장 ─ 음란한 이야기하기: 조사방법
1. 날조되는 공중, 성지향성에 대한 상상의 지형
2. 조사 참여자 규정하기
3. 일기와 스크랩북
4. 인터뷰
5. 연구자들의 역할
6. 결론

제3장 ─ 삶 그리고 배우기
1. 학교 내부의 비밀
2. 가족 및 다른 사람들의 로맨스
3. 알 필요가 있는 것과 없는 것
4. 성교육
5.“그들이 말할 때 정말 당황스러워요”(챈텔, N, 14, P)
6. 미디어로부터 배우기
7. 정체성 배우기
8. 결론

제4장 ─ 소년과 소년, 소년과 소녀, 소녀와 소녀들의 만남─성별, 성지향성,
그리고 이행
1. 미디어의 역할
2. 이야기할 수 있는 장소?
3. 자아 이미지
4. 극적인 남성성?
5.‘세상살이’: 소비와 성별 정체성
6.“게이인체 해볼까요?” - 문화적 유행과 ‘게이가 된다는 것’의 현대적 의미
7. 결론

제5장 ─ 공개 전시된 신체: 핀─업, 포르노, 그리고 팝 스타
1. 핀-업 걸(보이)
2. 남자만?
3.‘약간의 교육’
4. 불쾌함
5. 남자 바라보기
6. 움직이는 신체
7. 결론

제6장 ─ 더러운 세탁물: 사적인 삶, 공적인 고백
1. 토크 쇼에 대한 이야기
2. 거리 유지하기
3. 이야기 치료?
4. 문제, 문제
5. 공중의 시선


제7장 ─ 의견 발표회Show and Tell─텔레비전 드라마에서 배우기
1. 연속 드라마, 성, 그리고 비밀
2. 연속 드라마의 교육
3. 판단하기: 비난과 설명
4. 단지 웃음만을 위해?
5. 드라마를 통한 가르침
6. 결론: 삶을 위한 준비?

제8장 ─ 가족 시청: 당혹감, 교육, 그리고 성애물
1.“그것 참 당혹스러운데 ...”
2. 엄마와 함께 시청하기
3. 성별과 규제
4.‘성애물’ 행동으로 옮기기
5. 결론

제9장 ─ 거실居室 지배: 도덕성으로부터 윤리로
1. 걱정하는 부모들
2. 효과에 대한 부모들의 이야기
3. 규제에 대한 부모들의 견해
4.‘교육적’ 양육
5. 협상되는 다원주의
6. 이상적인 양육의 결과
7. ‘부모들의 과잉보호’: 아동들의 견해
8. 결론 412

제10장 ─ 결론
1. 종합적인 연구결과
2. 후속 연구를 위한 이슈들
3. 정책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데이비드 버킹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소년 미디어, 어린이와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미디어 교육, 미디어 교육 정책 등을 연구해 온 세계적인 학자이자 저술가이자 컨설턴트다. 25건이 넘는 연구 프로젝트 책임을 맡았고, 영국 내외 여러 기관의 미디어 교육 정책 자문 위원으로 일했다. 런던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수, 런던대학교 아동·청소년 및 미디어 연구소 소장, 러프버러대학교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직을 역임했다. 현재는 러프버러대학교 명예 교수이자 서식스대학교 객원 교수, 노르웨이어린이연구소 객원 교수다. 『우리 아이들은 어떻게 소비자로 키워지는가』(2013)를 비롯해 30여 권의 저서를 집필했고, 220편 이상의 논문과 및 단행본 챕터를 저술했다. 홈페이지(www.davidbuckingham.net)를 통해서도 저술 활동을 활발히 이어 가고 있다.
펼치기
새라 브래그 (엮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런던대학교 교육연구소의 아동, 청소년 및 미디어 연구센터 연구원이자 서쎅스 대학교(Sussex University) 연구원이다. 그녀는 청소년과 공포영화와 같은 ‘폭력’ 미디어, 미디어 교육 그리고 청소년들의 학교 참여권에 대해 연구한다.
펼치기
배현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4년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1986년 연세대학교 동 대학원(신문방송학 전공)에서 석사 과정을 마쳤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방송위원회(현 방송통신위원회) 연구원을 거쳐, 1998년 미시건 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Dept. of Telecommunication)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8년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객원교수를 지낸 후, 1999년부터 지금까지 동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미디어의 효과, 특히 교육적 오락물(Entertainment-Education)과 보건 커뮤니케이션이며,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편집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역서: 『저항과 설득』(2013), 『커뮤니케이션 정책의 기초: 전자 미디어 규제의 원칙과 과정』(2012), 『미디어 메시지 분석: 양적 내용분석방법(개정판)』(2011, 공역), 『방송시장의 경제적 규제: 진화하는 기술과 정책적 과제』(2011), 『국제 커뮤니케이션(개정판)』(2009), 『교육적 오락물과 사회 변화: 역사, 연구 및 실제』(2008), 『미디어 효과의 기초』(2005)
펼치기
배은결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USC(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애넨버그 커뮤니케이션 학부(Annenberg Communication School)에 전액 장학생으로 입학했다. 2008년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속 외국어고등학교를 졸업했다. 2007년에는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Ed-Media 학회에 참여하여 ‘미디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역서로는 <청소년, 성, 그리고 미디어: 성에 관한 사실들>(공역, 2007)이 있고 The effects of emotion and issue involvement on entertainment-education viewers’ intention to register as cornea donors, The impact of students’ goals and perspectives on instructional use of multimedia and computer: A case of college preparatory high school in South Korea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사랑, 성 및 관계에 대해 학습하는 것은 어느 정도 변경할 수 없는‘사회화’형식은 아니라고 우리는 주장하고자 한다. 그것은 불규칙하고 불확실한 과정으로, 종종 단편적이고 모순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그것은 하나의 사회현상으로, 대인관계 속에서 발생하며 지속적인 사회적 정체성의 구축을 포함한다. 그러나 아동들에게 있어, 이것은 대체로 대리적인 과정이다. 10세 아동들의 분명 복잡해 보이는 낭만적 생활과 일부 14세 아동들의 보다 진지한 관계에도 불구하고, 우리 표본 가운데 보다 어린 아동들 대부분은‘어른들’의 성세계에 참여하기보다는 관찰하는데 그쳤다. 그리고 일부 나이가 많은 축에 속하는 아동들이 지적했듯이, 단순히 가르침을 통해 성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것은 그 양에 있어 한계가 있었다. - 본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