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75814211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11-07-31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지은이의 말
들어가면서
중국어의 신조어와 유행어
PART_1. 신조어 속의 중국 사회
중국어 인물지칭 관련 신조어 양상
중국어 신조어 중의 群體名詞 ‘~~族’과 사회현상
중국어 외래어의 중국화에 관한 고찰
PART_2 . 중국 사회 속의 신조어
‘중국어’와 ‘중화어中華語
‘개미족蟻族’과 ‘88만 원 세대’
친절과 배려
중국 신세대의 부와 가난
‘셀 수 있는’ 맥주, ‘셀 수 없는’ 요구르트
중국에도 ‘소녀시대’는 있다
‘신나는 작업’ 뒤의 명암
아이 낳을 ‘자유’
‘NBA’냐 ‘美國職業籃球聯賽’냐?
권력과 권리
한한韓寒, 그는 누구인가?
‘산자이문화山寨文化’, 모방이냐 가짜냐?
엑스포 뒤켠의 ‘농민공農民工’
‘韓國’과 ‘南韓’, ‘朝鮮’과 ‘北韓’
‘역사상 가장 순결한 사랑’ 이야기
중국 캠퍼스 점묘點描
중국의 골칫거리 ‘벌거벗은 관리裸官’들
취업난 속의 ‘곡선취업曲線就業’ 현상
‘간簡’과 ‘번繁’의 논쟁
《신화자전新華字典》의 진화
‘양가오체羊羔體’ 논란
색깔을 품은 신조어들
참고문헌
부록
개혁.개방 중 중국어 어휘의 새로운 변화
저자소개
책속에서
현대 중국어 신조어의 또 다른 현상으로 기존의 어휘에 새로운 뜻을 첨가하여 다른 의미로 사용하거나 다른 말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愛人’이란 말은 원래 연애 상대자를 의미하였는데 현대 중국사회가 남녀평등을 강조하여 부녀자의 지위가 향상됨으로써 남자는 다시금 자신의 아내를 ‘賤內’?‘家裏的’라고 부르지 않고 ‘我愛人’이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부녀자들도 더 이상 남편을 ‘夫君’?‘當家的’라고 부르지 않고 ‘我愛人’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렇게 되자 연애 대상자에 대한 호칭은 ‘朋友’라는 단어로 대체될 수밖에 없었다.
즉 ‘女朋友’?‘男朋友’로 각각 그 상대를 지칭하게 되었다. 또 ‘同志’라는 호칭은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에는 ‘先生’?‘太太’?‘小姐’라는 호칭을 대신하여 사용하였고, 외국 손님 혹은 귀국한 해외 거주자들에게만 ‘先生’?‘太太’?‘小姐’를 사용하였다.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을 거치자 ‘師傅’라는 호칭이 공장에서 사회로 확대 사용되었으며 개혁?개방으로 온 사회가 들끓고 있는 오늘날 ‘先生’?‘太太’?‘小姐’가 사교의 경우에 빈번히 쓰이고 있다. 그런데 한 가지 흥미로운 것은 최근 ‘同志’라는 호칭을 다시 쓰자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