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중국문학론
· ISBN : 9788975818592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2-12-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루쉰(魯迅) 집교(輯校)《고소설구침古小說鉤沈》해제
일러두기
고소설구침서(古小說鉤沈序)
1. 《청사자靑史子》
2. 《어림語林》〔일명《배계어림裴啓語林》〕
3. 《곽자郭子》
4. 《투기妬記》〔일명《투부기妬婦記》〕
5. 《이문기異聞記》
6. 《현중기玄中記》〔일명《곽씨현중기郭氏玄中記》〕
7. 《이림異林》〔일명《육씨이림陸氏異林》〕
8. 《조비지괴曹毗志怪》
9. 《집이기集異記》〔일명《곽계산집이기郭季産集異記》〕
10. 《신이기神異記》〔일명《왕부신이기王浮神異記》〕
11. 《속이기續異記》
12. 《녹이전錄異傳》
13. 《잡귀신지괴雜鬼神志怪〔일명《잡귀신지雜鬼神志》·《잡귀괴지雜鬼怪志》〕
14. 《상이기祥異記》
15. 《선험기宣驗記》
16. 《정이기旌異記》〔일명《정이기精異記》·《적이전積異傳》〕
본문 속 인물 찾아보기
책속에서
이 책은 위진육조魏晉六朝 시기 고소설 자료의 보고인 루쉰魯迅의 《고소설구침小說鉤沈》을 역주한 것이다.《고소설구침》은 루쉰이 흩어지고 일부가 없어진 중국의 고소설집을 여러 전적典籍에서 찾아내어 집록輯錄하고 교감校勘한 책으로, 그가 쓴 《중국소설사략中國小說史略》과 함께 중국 고대소설 연구의 역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처럼 루쉰은 중국 현대소설의 걸출한 작가이면서 중국 고대소설에 대해서도 뛰어난 업적을 이룬 보기 드문 학자였다. 이 책의 번역과 역주 작업은 향후 이 시기 소설 작품의 감상과 연구에 큰 도움이 되며, 한국 고소설 연구에서도 같은 시대 또는 유사한 주제의 작품을 비교 연구하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특히 백화문白話文으로 번역한 백화본도 출현하지 않은 상황에서, 집교본輯校本《고소설구침》을 교감문校勘文까지 번역하고 자세하게 주를 붙여 번역을 시도한 것은 이 책이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