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의 시와 그림 그리고 정치

중국의 시와 그림 그리고 정치

(그 미묘한 예술)

알프레다 머크 (지은이), 우재호, 박세욱 (옮긴이)
영남대학교출판부
3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의 시와 그림 그리고 정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의 시와 그림 그리고 정치 (그 미묘한 예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75815133
· 쪽수 : 582쪽
· 출판일 : 2015-12-05

책 소개

이 책은 산수화의 문헌적 근거를 살펴보고 어떻게 해석해야할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현재 중국회화와 시가문학으로 확연하게 구분되어 있는 학문분야에 이 책은 두 분야의 동질성을 모색하기 위해 융합을 시도한 매우 중요한 연구서이다.

목차

머리말
그림 설명
역대왕조의 간략연표

제1장 소상(瀟湘)의 천 년 눈물
순(舜)임금과 그의 부인들 . 굴원(屈原) . 송옥(宋玉) .
가의(賈誼) . 왕일(王逸) . 유신(庾信) . 심전기(沈佺期) .
장열(張說) . 이백(李白) . 두보(杜甫) . 한유(韓愈) . 유종원(柳宗元) .

제2장 결정적 순간 : 신종(神宗)의 통치(1067-85년)
송초(宋初)의 정치 문화 . 신종(神宗)의 신법(新法) 시행 .
새로운 시작을 축하하는 그림(1072년) .
황제에게 충언하는 그림(1074년) . 충신 송적(宋迪)의 경우 .
낙양으로의 유배 . 오대시안(烏臺詩案, 1079년)

제3장 그림의 시화(詩化)
두보(杜甫)의 의의 . 시의 암호화 .
송적(宋迪)의 '소상팔경(瀟湘八景)' .
종조부 해와 동시대의 이성(李成) .
화가로서의 송적(宋迪)과 송도(宋道) . 소식(蘇軾)의 의의 .
'소상팔경(瀟湘八景)' 제목의 문학적 특징

제4장 유배, 귀환, 불협화음
부당한 유배 : 안락(雁落) . 집행유예 : 귀범(歸帆) .
산시(山市)와 두보의 '가을 날 기부에서, 마음을 노래하여 정 감사님과
이 빈객님에게 보내드리는 시 100운(秋日夔府詠懷奉寄鄭監李賓客一百韻)'

제5장 근심에 직면하여 : 저녁, 밤, 가을
강천모설(江天暮雪) . 동정추월(洞庭秋月) .
소상야우(瀟湘夜雨) . 연사만종(煙寺晩鐘) .
어촌낙조(漁村落照) . 떨어지는 나뭇잎[목엽하(木葉下)] .
산수평원(山水平遠)

제6장 소식(蘇軾)과 왕선(王詵) : 연강첩장도(煙江疊?圖)
소식 시의 암호 . 왕선의 차운시(次韻詩) . 소식의 취필(醉筆) .
왕선의 화답시(和答詩) .
왕선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연강첩장도(煙江疊?圖)' .
4편 시의 필사본

제7장 황정견(黃庭堅)의 슬픔
이력(履歷)과 정치적 유배 . 송풍(松風, 1102년) .
황정견의 서예 . 선승(禪僧) 중인(仲仁)의 매화 그림(1104년)

제8장 선화(宣和) : 조정의 시각적 수사
휘종(徽宗)의 즉위 . 선화(宣和)의 회화(繪畵) .
평화와 질서의 시대 .
황제에게 올리는 글 : 곽사(郭思)와 한졸(韓拙)

제9장 왕홍(王洪)의 '소상팔경(瀟湘八景)'
선승(禪僧) 각범혜홍(覺範惠洪) .
시인처럼 그림을 그린 왕홍(王洪) . 애호가

제10장 전통의 새로운 해석
'소상와유도(瀟湘臥遊圖)' . 마원(馬遠)과 '소상팔경(瀟湘八景)' .
마원(馬遠)과 장자(張?)의 시회(詩會) .
계속되는 위기, 유배, 위학(僞學) . 빈풍(?風)의 '칠월(七月)' .
승려 목계(牧溪)와 옥간(玉澗)

에필로그
부록
- 두보의 시와 번역
- 두보시의 운자(韻字)로 쓴 소식과 왕선의 화운시(和韻詩)
- 두보의 운자에 맞춘 황정견의 차운시
- 불승(佛僧)들이 쓴 소상팔경 시
참고문헌
역자후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알프레다 머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소상 팔경의 의미: 송대 시와 그림(The meaning of the Eight Views of Hsiao-Hsiang: poetry and painting in Sung China)”(1995)이란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1년까지 뉴욕 메트로폴리탄 예술 박물관, 아시아 예술분야에서 근무했으며 이후 남편인 크리스 머크(Chris Murck)를 따라 북경에 거주하면서, 북경대학 역사과 그리고 중앙미술학원 인문연구소에서 강의를 하였고, 고궁박물원 자료정보센터 고문, 부속 고대 서화 센터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A Chinese garden court: the Astor court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Wen Fong과의 공저, 1980), Words and Images: Chinese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Wen Fong과의 공저, 1991) 등이 있다.
펼치기
우재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을 졸업하였고, 중국 南開大學 교환교수, 華中師範大學 방문학자와 國立臺灣大學 연구교수 등을 지냈으며, 지금은 영남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과 및 대학원 동아시아문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역저서로 『退溪全書12』(共譯, 1993), 『袁宏道詩歌硏究』(1995), 『唐代文人列傳』(共譯, 1998), 『中國佛敎文化』(2001), 『古文眞寶(前集 2001: 後集 2003)』(共譯), 『孟子譯註』(2002), 『魏晉南北朝文人列傳』(共譯, 2005), 『商君書』(2005), 『孟子』(2007), 『중국의 시와 그림 그리고 정치』(共譯, 2015) 등이 있다. 2020년 현재는 주로 중국 시가와 서예 관련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펼치기
박세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 고전문학과 예술, 특히 동서양 문물교류를 중심으로 공부하는 강사다. 현재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에 소속되어 학술연구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연관 도서로 『실크로드』, 『제번지역주』, 『8세기 말 중국에서 인도로 가는 두 갈래 여정』, 『파리에서 둔황까지』, 『진랍풍토기역주』, 『도이지략역주』,『영애승람역주』, 『성사승람역주』, 『지봉 이수광이 바라본 세계』, 『유구변증설: 타이완과 오키나와』, 『통보 60년의 여정』(공역) 등을 펴낸 바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그림의 시적 메시지-‘시의(詩意)’ 또는 ‘시의(詩義)’-를 이해하는 것은 왜 지식인들이 그림을 그렸는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문인화에서 무엇이 문학적인지 확인하는 것은 물질적인 현실성보다는 그림의 이데아가 더 중요하다는 문인 사대부들의 주장을 명백히 보여준다. 이는 수세기에 걸쳐 약간의 스케치와 시각적으로 구분이 불가능한 그림들에서 나왔다고 하는 접근법이다. 또한 왜 문인학자들이 자신들의 수묵 유희가 숙달된 장인의 더욱 완성된 그림들보다 훨씬 우위에 있다고 주장하는가를 설명하게 도와준다. 깊은 학식이 없는 전문 화가는 비록 그들이 순수하게 시각적 예술로서 그림에 대한 기술적 측면에서는 회화 능력이 더 크다고 할지는 모르지만, 학자들의 독창적인 문자 놀이를 이해한다는 것은 기대할 수 없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