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75815133
· 쪽수 : 582쪽
· 출판일 : 2015-12-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그림 설명
역대왕조의 간략연표
제1장 소상(瀟湘)의 천 년 눈물
순(舜)임금과 그의 부인들 . 굴원(屈原) . 송옥(宋玉) .
가의(賈誼) . 왕일(王逸) . 유신(庾信) . 심전기(沈佺期) .
장열(張說) . 이백(李白) . 두보(杜甫) . 한유(韓愈) . 유종원(柳宗元) .
제2장 결정적 순간 : 신종(神宗)의 통치(1067-85년)
송초(宋初)의 정치 문화 . 신종(神宗)의 신법(新法) 시행 .
새로운 시작을 축하하는 그림(1072년) .
황제에게 충언하는 그림(1074년) . 충신 송적(宋迪)의 경우 .
낙양으로의 유배 . 오대시안(烏臺詩案, 1079년)
제3장 그림의 시화(詩化)
두보(杜甫)의 의의 . 시의 암호화 .
송적(宋迪)의 '소상팔경(瀟湘八景)' .
종조부 해와 동시대의 이성(李成) .
화가로서의 송적(宋迪)과 송도(宋道) . 소식(蘇軾)의 의의 .
'소상팔경(瀟湘八景)' 제목의 문학적 특징
제4장 유배, 귀환, 불협화음
부당한 유배 : 안락(雁落) . 집행유예 : 귀범(歸帆) .
산시(山市)와 두보의 '가을 날 기부에서, 마음을 노래하여 정 감사님과
이 빈객님에게 보내드리는 시 100운(秋日夔府詠懷奉寄鄭監李賓客一百韻)'
제5장 근심에 직면하여 : 저녁, 밤, 가을
강천모설(江天暮雪) . 동정추월(洞庭秋月) .
소상야우(瀟湘夜雨) . 연사만종(煙寺晩鐘) .
어촌낙조(漁村落照) . 떨어지는 나뭇잎[목엽하(木葉下)] .
산수평원(山水平遠)
제6장 소식(蘇軾)과 왕선(王詵) : 연강첩장도(煙江疊?圖)
소식 시의 암호 . 왕선의 차운시(次韻詩) . 소식의 취필(醉筆) .
왕선의 화답시(和答詩) .
왕선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연강첩장도(煙江疊?圖)' .
4편 시의 필사본
제7장 황정견(黃庭堅)의 슬픔
이력(履歷)과 정치적 유배 . 송풍(松風, 1102년) .
황정견의 서예 . 선승(禪僧) 중인(仲仁)의 매화 그림(1104년)
제8장 선화(宣和) : 조정의 시각적 수사
휘종(徽宗)의 즉위 . 선화(宣和)의 회화(繪畵) .
평화와 질서의 시대 .
황제에게 올리는 글 : 곽사(郭思)와 한졸(韓拙)
제9장 왕홍(王洪)의 '소상팔경(瀟湘八景)'
선승(禪僧) 각범혜홍(覺範惠洪) .
시인처럼 그림을 그린 왕홍(王洪) . 애호가
제10장 전통의 새로운 해석
'소상와유도(瀟湘臥遊圖)' . 마원(馬遠)과 '소상팔경(瀟湘八景)' .
마원(馬遠)과 장자(張?)의 시회(詩會) .
계속되는 위기, 유배, 위학(僞學) . 빈풍(?風)의 '칠월(七月)' .
승려 목계(牧溪)와 옥간(玉澗)
에필로그
부록
- 두보의 시와 번역
- 두보시의 운자(韻字)로 쓴 소식과 왕선의 화운시(和韻詩)
- 두보의 운자에 맞춘 황정견의 차운시
- 불승(佛僧)들이 쓴 소상팔경 시
참고문헌
역자후기
찾아보기
책속에서
그림의 시적 메시지-‘시의(詩意)’ 또는 ‘시의(詩義)’-를 이해하는 것은 왜 지식인들이 그림을 그렸는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문인화에서 무엇이 문학적인지 확인하는 것은 물질적인 현실성보다는 그림의 이데아가 더 중요하다는 문인 사대부들의 주장을 명백히 보여준다. 이는 수세기에 걸쳐 약간의 스케치와 시각적으로 구분이 불가능한 그림들에서 나왔다고 하는 접근법이다. 또한 왜 문인학자들이 자신들의 수묵 유희가 숙달된 장인의 더욱 완성된 그림들보다 훨씬 우위에 있다고 주장하는가를 설명하게 도와준다. 깊은 학식이 없는 전문 화가는 비록 그들이 순수하게 시각적 예술로서 그림에 대한 기술적 측면에서는 회화 능력이 더 크다고 할지는 모르지만, 학자들의 독창적인 문자 놀이를 이해한다는 것은 기대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