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한국미술
· ISBN : 9788975858192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8-05-14
책 소개
목차
서문 004
머리말 049
1장. 조선시대 감로탱화 055
1. 감로탱화의 내용과 구성 059
1) 감로탱화의 의미와 조성 배경 062
(1) 감로의 의미와 제명 062
(2) 조성 배경 064
2) 소의경전 070
(1) 유가집요구아난다라니염구궤의경 074
(2) 우란분경 080
2. 도상의 구성 082
1) 도상 형식과 변천 083
2) 도상 구성 085
(1) 상단 086
(2) 중단 090
(3) 하단 092
2장. 감로탱화에 나타난 시간성과 공간성 103
1. 불교적 세계관으로 본 시간성과 공간성의 체계 105
1) 삼세의 시간성 106
2) 삼계의 공간성 109
2. 시간성과 공간성의 상호관계와 의의 115
1) 관련 의례절차에 따른 시간성과 공간성 116
(1) 수륙재의촬요 116
(2) 운수단 126
(3) 석문의범 143
2) 고혼의 여정에 따른 시간성과 공간성의 흐름과 전개 145
(1) 지옥 147
(2) 아귀 149
(3) 칭양성호 152
(4) 벽련대반 154
(5) 연화화생 156
3장. 조형적 관점에서 본 시간성과 공간성의 표현 159
1. 시간성과 공간성이 갖는 조형적 의미 162
1) 시간성과 공간성의 상호관계 163
2) 화면에 구현된 시?공간 표현의 상호관계 168
(1) 동양미술에서의 시?공간 표현-삼원법 169
(2) 서양미술에서의 시?공간 표현-원근법 171
(3) 현대예술에서의 시?공간 표현-영화적 시각 179
2. 시간성과 공간성 표현을 통해 본 감로탱화의 양식변천 183
1) 화면에 나타난 시?공의 가상공간 183
2) 화면에 나타난 시간성과 공간성 표현의 변천 186
(1) 의례의 진행 시간에 따른 공간 속의 도상 190
(2) 시간성과 공간성 표현의 양식 변천 213
3. 감로탱화의 시·공간성 표현이 갖는 예술사적 의의 225
맺음말 229
보론 237
감로탱화에 나타난 풍속화와 민화의 조형성과 예술적 의의
1. 감로탱화에 나타난 풍속화 240
1) 풍속화의 도상 241
2) 감로탱화와 풍속화의 작품 분석 243
(1) 17세기와 18세기의 풍속화 243
(2) 18세기와 19세기의 작업의 분화에 의한 다양한 인물상 245
3) 감로탱화에 나타난 풍속화의 미술사적 의의 258
2. 감로탱화에 나타난 민화 259
1) 민화의 개념 260
2) 민화의 도상 261
3) 감로탱화와 민화의 작품 분석 263
(1) 인물화 264
(2) 산수화 267
(3) 동물화 270
(4) 화조화 274
(5) 책거리 276
4) 시감로탱화에 나타난 민화의 미술사적 의의 277
주 280
참고문헌 326
그림 목록 339
표 목록 348
찾아보기 349
저자소개
책속에서
“감로탱화에서 가장 주목받는 것은 화면 중앙을 차지하고 있는 아귀(餓鬼)다. 보통 악행을 저지른 이를 가리켜 ‘아귀 같은 놈’이라는 표현을 종 종 쓰는데, 아귀는 ‘죽은 자’라는 뜻의 ‘귀신’을 의미한다. ‘귀’ 자에 굶주림을 뜻하는 ‘아’ 자가 덧붙여진 말이다. 아귀는 추하고 말랐으며, 입에서 불을 내뿜고 목은 바늘처럼 가늘어 음식을 삼키지 못한다. 머리카락은 흐트러지고 손톱과 어금니가 길어 그 모습이 가히 공포감을 준다. 아귀는 우리 자신이며, 조상이고, 구원 받아야 할 대상이다.”
“불교의례로 가장 많이 성행한 수륙재는 조선이 건국되면서 민심의 안정을 꾀하기 위해 왕실에서 설행되었으며, 재의 대상이었던 아귀와 당시 사회상을 살펴 감로탱화의 연계성을 갖고자 하였다. 이러한 불교의례는 국가의 안녕과 서민을 위한 제도적 장치로 그 기능적인 의의가 컸다.”
“종교는 인간존재의 유한성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고 죄업을 소멸시켜 죽음을 넘어서려는 능력의 세계이다. 불교는 구원의 방법으로 천도재를 한 방편으로 택한다. 이때 죽음과 관련된 모든 불교의례는 ‘천도’라는 궁극적 목적으로 수렴되며, 불교신자가 아닌 이들이라 하더라도 실제적인 믿음과 무관하게 ‘망자의 극락천도’는 의례적 상황 속에서 간혹 축제로 전이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