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종교미술
· ISBN : 9791165160531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0-11-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005
1장 괘불탱화
1. 괘불탱화의 내용과 구성 116
1) 괘불탱화의 의미와 제명 117
2) 괘불탱화의 조성배경 121
3) 소의경전(所依經典) 126
2. 도상의 형식과 구성 129
1) 도상 형식 131
2) 도상 구성 132
(1) 『묘법연화경』 134
(2) 『묘법연화경』에 근거한 도상 구성인 136
2장 괘불재 의식
1. 불교의례와 영산재 148
1) 영산재 149
2) 괘불탱화의 이운의식 151
2. 영산재 의식집 153
1) 영산재 의식 절차 155
2)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의 의식 절차 159
3) 『석문의범』의 의식 절차 164
3장 괘불탱화의 도상
1. 도상의 유형 170
1) 영산회상 도상 171
2) 삼신불 도상 173
3) 삼세불 도상 175
4) 오신불회 도상 176
5) 보관노사나불 도상 178
2. 괘불탱화의 시기별 도상 180
1) 17세기 괘불탱화 180
2) 18세기 괘불탱화 183
3) 19세기 괘불탱화 188
4) 20세기 괘불탱화 191
4장 괘불탱화의 지역별 도상 유형
1. 지역별 도상의 유형 분석 198
1) 경기도와 서울지역의 괘불탱화 198
2) 충청도 지역의 괘불탱화 206
3) 경상도 지역의 괘불탱화 209
4) 전라도 지역의 괘불탱화 214
5) 강원도 지역의 괘불탱화 221
2. 도상의 양식 변천 222
5장 괘불탱화의 현대적인 의의
1. 괘불탱화의 조형적인 요소 228
1) 인물 230
2) 꽃과 구름 231
3) 새와 동물 234
2. 현대적인 색채를 지닌 도상 237
1) 천은사 괘불탱화 237
2) 백양사 괘불탱화 238
3) 표충사 괘불탱화 239
3. 20세기 걸개그림과 괘불탱화의 예술사적 의의 240
1) 걸개그림 244
2) 괘불탱화의 예술사적 의의 035
맺음말 256
주 262
참고문헌 275
찾아보기 284
저자소개
책속에서
“괘불이란 ‘부처를 내건다’는 뜻이며, 괘불재라 하면, 부처를 바깥에 내걸고 야외에서 불교행사를 베풂을 의미한다. 괘불은 괘불대에 현괘(懸掛)되었을 때, 비로소 예배대상으로서 격을 갖추게 된다. 대부분 괘불탱화의 화기에 ‘영산회괘불’, ‘영산괘불(靈山掛佛)’ 등으로 기입된 것은 괘불탱화가 영산도량을 지칭하기 때문이다.”
“괘불재와 가장 관련이 깊은 의식은 영산회이다. 영산회란 『법화경』을 설했던 인도 영취산에서 가진 설법모임으로, 그때의 광경을 재현한 것이 불교의식 중 하나인 영산회〔靈山齋〕 의식이다. 괘불이 걸림으로써 의식이 치뤄지는 현실의 도량은 영축산의 석가정토를 상징하게 된다. 따라서 영산회 의식에는 전각 안에 봉안되어 있던 괘불을 야외로 옮겨오는 ‘괘불이운’이, 현실의 도량에 불보살의 강림을 재현하는 의식절차의 하나로 등장한다.”
“영산회상도는 ‘삼존불’ 형식이다. 삼존불은 석가모니와 좌우 협시보살인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기본 도상이다. 그런데 1683년에 제작된 곡성 「도림사 괘불탱화」(그림 15)는 석가모니와 좌우에 관세음보살과 보현보살이 있는 석가삼존도이다. 도림사에서 괘불탱화를 제작할 당시 문수보살 대신 관세음보살을 그려 넣은 것은 사찰이 추구하는 의식과 대중의 바람으로 이루어진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