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국제통상론

국제통상론

강영문 (지은이)
전남대학교출판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국제통상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국제통상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무역
· ISBN : 9788975987083
· 쪽수 : 331쪽
· 출판일 : 2009-02-20

책 소개

국제통상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 최근 국제통상환경 및 국내외 사례들을 이론과 국제규범에 접목한 책. 국제통상의 심도 깊은 학습을 위해 국제통상의 기초적인 내용을 선행 학습할 수 있게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최근 국제통상의 제방문제를 접근한다.

목차

머리말 5

제1장 국제통상입문 15
1. 국제통상의 개념 15
2. 국제통상과 무역의 관계 16
3. 국제통상의 특수성 18
4. 국제통상의 주체 20
5. 국제통상의 객체 21

제2장 국제통상환경의 변화 - 22
1. 세계화 23
1) 세계화의 등장배경 24
2) 세계화의 영향 28
2. 시장경제체제의 강화 28
3. 세계경제의 다극화 28
4. 지식기반사회 30
1) 지식기반 사회의 개념 30
2) 지식정보사회의 변화 31
5. 디지털경제 32
1) 디지털경제의 출현배경 32
2) 디지털경제의 특징 33
3) 디지털제품의 특징 35
6. 국제협력증대 37
7. 문화우위시대 37
1) 문화란 37
2) 문화의 특성 38
3) 문화의 보편성이란 39
4) 문화적 자기인식 39
5) 한류와 국제통상 39

제3장 UR 이전 국제통상의 변천과정 - 45
1. 중상주의 시대 46
2. 자유무역주의 시대 46
3. 제국주의 시대 47
4. 세계대전 이후 자유주의 47
5. 신보호무역주의 47
1) 신보호무역주의의 출현배경 48
6. GATT 체제 49

제4장 WTO 체제 - 52
1. WTO 출범 계기 52
2. WTO 체제의 특징 54
3. WTO의 운영체계 56
4. WTO 체제가 한국경제 및 무역에 미치는 영향 58
5. New Round 58
1) 뉴라운드(도하개발아젠다)의 개념 및 의미 59
2) 뉴라운드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60

제5장 자유무역협정과 지역주의 - 64
1. 지역주의란 64
2. 지역주의의 출현배경 65
3. 지역주의가 국제통상에 미치는 영향 66
1) 긍정적인 부분 66
2) 부정적인 부분 66

제6장 신통상 이슈와 국제통상 - 69
1. 신통상 이슈의 국제통상과 연계 69
2. GREEN ROUND(GR) 70
1) GREEN ROUND란 70
2) 그린라운드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71
3. Blue Round(BR) 73
4. Competetion Round(CR) 75
5. Technology Round(TR) 75
6. 부패라운드 76
7. 신통상이슈와 한국 79
1) BR과 한국 79
2) CR과 한국 79
3) TR과 한국 79

제7장 국제통상법 - 80
1. WTO협정(Agreement)의 기본원칙 80
1) 최혜국대우의 원칙(Most-Favoured Nation Treatment) 80
2) 내국민대우의 원칙(National Treatment; NT) 80
3) 시장접근보장의 원칙(Market Access) 81
4) 투명성의 원칙(Transparency) 81
2. WTO협정의 구성체계 83
1) 다자간 무역협정(MTA; multilateral Agreement on Trade) 84
2) 다수국간 무역협정(PTA; Plurilateral Trade Agreement) 85
3. 반덤핑법 85
1) 국제통상에서 덤핑의 개념 85
2) 반덤핑관세의 부과요건 및 제소절차 86
3) UR 反덤핑규정 (Anti-dumping Duties CODE) 87
4) 국제통상에서 반덤핑제소 증가 원인 87
5) 반덤핑관세와 한국 88
4. 긴급수입제한조치 89
5. 관세평가협정 90
1) 관세평가란 90
2) 관세와 경제효과 91
3) WTO 관세평가협정 91
6. 보조금 94
7. 상계관세 95
8. 섬유협정(Agreement on Textile and Clothing) 96
1) 섬유협정과 한국 98
9. 위생 및 검역조치 협정 98
1) 농축산물 교역 증대와 위생 및 검역조치 98
2) WTO 위생 및 검역조치 협정 98
3) WTO 위생 및 검역조치 협정의 평가 100
10. 무역에 관한 기술장벽협정 104
1) 무역에 관한 기술장벽이란 104
2) 표준화 104
3) WTO의 TBT협정 105
4) TBT협정과 한국 106
11. 무역관련 투자조치 협정 108
1) 무역관련 투자조치협정이란 108
2) 협정의 원칙 108
3) TBT협정의 평가 109
12. 선적전 검사 109
1) 선적전 검사란 109
2) 선적전 검사제도의 필요성 110
3) 선적전 검사제도의 의무사항 110
4) 선적전 검사제도의 활용과 평가 111
13. 농산물협정 112
1) 국내 농산물보조금 112
2) 농수산물 수출보험 113
3) 도하개발아젠다 농업협상 113
14. 지적재산권 115
1) 지적재산권 개요 115
2) WTO 지적재산권협정 118
15. WTO 서비스무역협정 119

제8장 통상마찰과 분쟁해결 - 123
1. WTO의 분쟁해결 123

제9장 국제통상관계 - 129
1. 국제통상관계 기초개념 129
1) 무역결합도지수 129
2) 수출경합도 129
3) 수출집중도 129
4) 무역의존도 130
5) 수입자유화율 130
2. 미국통상 130
1) 미국통상 개요 130
2) 미국의 수출입 131
3) 미국의 통상정책 134
4) 미국의 통상압력의 유형 138
5) 미국의 통상법 142
6) 미국 통상정책 및 주요 통상법 144
7) 한·미 통상관계 150
3. NAFTA 153
1)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의 개요 153
2) 미국이 NAFTA를 추진한 이유는 153
3) NAFTA의 미래 153
4. 일본통상 154
1) 일본경제 154
2) 일본의 수출입 161
3) 일본의 통상정책 164
4) 한·일 통상관계 165
5. EU 통상 171
1) EU 개요 171
2) EU의 형성과정 176
3) EU의 운영 매커니즘 179
4) 유로화 181
5) 한·EU 통상관계 182
6. APEC 185
7. AFTA(아세안 자유무역지대) 187
8. 중국통상 192
1) 중국경제정책의 변화 192
2) 중국의 경기과열 논쟁 193
3) 중국의 WTO가입 194
4) 중국의 올림픽 개최 195
5) 중국 소비시장의 변화 197
6) 한·중통상관계 198
9. 한국의 통상정책 206
1) 통상정책의 의의 206
2) 한국의 통상정책 206
3) 한국의 권역별 대외의존도 211
4) 자유무역협정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212
5) 한국의 통상전략 215

참고문헌 222
부 록 230
찾아보기 327

통상에세이
美·中 ‘환율전쟁’…“나 먼저 살자” 19
중국도 ‘작은 정부’ … 28개부처 확 줄인다 27
선진권, 5년내 중국-인도 주도 신흥-개도권에 밀린다 30
디지털 세상의 변화 34
KBS가 만든 ‘겨울연가’ 팔아 일본이 40배 더 벌었다 43
남미국가연합-2조달러 거대시장 남미국가연합 출범 67
세계 최고 기술, “한국에는 하나도 없다” 75
국민 80%가 ‘부패수준 심각’ 응답 78
유전자변형농산물 홍수 식탁의 불신 여전 101
유전자조작 옥수수 몰려온다 103
이머징국가 내 ‘기술 양극화’ 심화… 107
한국, WTO 분쟁패널 의장직 첫 진출 128
일본 대 한국 13:0 200년 앞선 투자의 힘 160
소국이면서 대국 꿈꾸고 “몸은 동양, 마음은 서양” 170
동유럽 국가, 핫머니 유출로 ‘한숨’ 175
유럽의 국가브랜드 마케팅 180
유럽연합을 다시 생각하자 184
EU식 통합 닻 올린 아세안 10개국 5억명 ‘하나로’ 191
美, 對中 무역적자와 전쟁 벌인다 205
20세기 국가 이미지로는 21세기 선진 Korea 어렵다 211
국가 브랜드가치 높이기 213
다국적기업, 한국서 배운 ‘성공 노하우’ 들고 세계로 간다 220

저자소개

강영문 (지은이)    정보 더보기
ㆍ동국대학교 무역학과 졸업(상학사) ㆍ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무역학과 졸업(경영학석사) ㆍ동국대학교 대학원 무역학과 졸업(경영학박사) ㆍ(주) 대신경제연구소 증권분석실 근무 ㆍ(주) 대신경제연구소 경제동향분석실 근무 ㆍVisiting Scholar, 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한국학술진흥재단 해외방문교수) ㆍVisiting Scholar, Nanyang Technology University, Singapore ㆍ한아세안학술교류학자 선정(2011년)(외교통상부 지원) ㆍ과학창의 앰배서더(미래창조과학부 주최) ㆍ선거관리위원회 선거방송토론위원 ㆍ무등일보 경제칼럼니스트 ㆍMBC 라디오 경제코너 해설자 ㆍ한국공정무역학회 편집위원 ㆍ국제 e-비즈니스학회 학술위원 ㆍ한국국제통상학회 이사 ㆍ한국협상학회 상임이사 ㆍ관세청 이의신청 심의위원 ㆍ중소기업중앙회 무역자문위원 ㆍ전남대학교 창업보육센터장 ㆍ전남대학교 경상학부장 ㆍ전남대학교 국제통상학과 교수 주요 수상실적 ·전남대학교 교육우수교수 선정(2008년, 2015년) (Best Teaching Professor) 주요 저서 ㆍ동남아 인도문화와 비즈니스(전남대학교출판부, 2017) ㆍ동남아 불교문화와 비즈니스(전남대학교출판부, 2016) ㆍ동남아 이슬람문화와 비즈니스(전남대학교출판부, 2015) ㆍ동남아 화교비즈니스(전남대학교출판부, 2014) ㆍ동남아 경제의 그늘과 무지개(전남대학교출판부, 2013) ㆍ국제협상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전남대학교출판부, 2013, 제2판) ㆍ아세안 FTA(전남대학교출판부, 2012) ㆍ글로벌 물류경영(우용출판사, 2011, 전정판) ㆍ해상무역보험(전남대학교출판부, 2011) ㆍ강영문교수의 동남아 지역연구(두남, 2010) ㆍ무역과 매너의 만남(우용출판사, 2010, 전정판) ㆍe유통경영(우용출판사, 2010, 전정판) ㆍ국제통상론(전남대학교출판부, 2009) ㆍ온오프라인 유통관리(두남, 2008, 개정판) ㆍ전자물류와 물류관리(두남, 2005) ㆍ유통물류와 e비즈니스(두남, 2004, 개정판) ㆍe무역과 국제매너(학문사, 2004)
펼치기

책속에서

제1장 국제통상 입문

1. 국제통상의 개념
국제통상 = 무역의 확대된 개념(국제통상 > 무역)
일반적으로 국제통상은 국제무역의 확대된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통(通)이란 막혀있는 것을 통하도록 한다는 의미이다. 상(商)이란 상품을 사고 파는 상거래를 의미하며, 광의적인 의미로는 경제활동을 뜻한다. 결국 국제통상이란 국제간의 상거래를 원활하게 하기위해 국제간의 상거래를 인위적으로 가로막고 있는 불분명하고 비합리적인 제도 등의 제약요인을 개선하기 위한 과정 및 활동이다. 국제통상활동은 한 국가가 어떠한 목적하에서 국경을 통과하는 경제활동(상품, 서비스, 생산요소의 국가간 이동 등)에 대한 제약을 가할 때에 여타 국가 또는 기구가 이를 해소할 목적으로 취하는 각종조치를 말한다 (강인수외, 1999).
국제통상은 경제와 상거래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요인들이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아시아지역을 휩쓸고 있는 한국문화 열풍인 한류는 단순한 문화적인 요인을 넘어 우리나라의 아시아통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중동과 남미지역의 반미감정 등과 같은 정치적, 사회적 요인들도 국제통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처럼 국제간의 상거래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국제통상은 상적요인, 경제적 요인 뿐만 아니라 정치적, 문화적, 사회적 요인에 의해 제약을 받기도 하고 도움을 받기도 한다.
국제통상학이란 국제간의 통상관계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국제통상학은 국제통상현상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강구한다. 국제통상학은 다른 여러 학문의 영역과 연관되어 있다. 국제통상학은 여러 분야에서 분리되어 연구되었던 국제통상관련 연구를 하나의 영역에서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 본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