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원가정보의 생산과 관리적 이용

원가정보의 생산과 관리적 이용

(Cost-Managerial Accounting)

정경수
전남대학교출판부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원가정보의 생산과 관리적 이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원가정보의 생산과 관리적 이용 (Cost-Managerial Accounting)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생산/품질/물류관리
· ISBN : 9788975987816
· 출판일 : 2010-01-25

책 소개

기업의 경영자는 물론이고 원가정보를 필요로 하는 모든 구성원들이 원가의 기초개념이 무엇인지 정확히 이해하고 의사결정을 위한 제품원가정보의 생산과 이용에 관한 이론과 기법을 실무적으로 적용하는데 적합한 도서이다.

목차

제1부 원가관리회계의 기초개념
제1장 원가관리회계의 역할
제 1 절 원가정보의 필요성과 회계정보시스템 19
1. 원가정보의 필요성 19
2. 회계와 회계정보시스템 20
3. 재무회계와 관리회계 22
제 2 절 원가관리회계의 역할 24
1. 원가회계의 의의 24
2. 원가회계와 관리회계의 관계 25
3. 원가관리회계의 역할 26
4. 경영자의 역할과 회계담당자 27
제 3 절 경영환경의 변화와 원가관리회계의 동향 29
1. 경영환경의 변화 29
2. 원가관리회계의 새로운 주제 31
3. 가치사슬과 기업경영 31
토의문제 33
연습문제 33

제2장 원가의 개념과 분류
제 1 절 원가의 일반적 개념 36
1. 원가의 정의 36
2. 원가의 특성 38
3. 총원가와 단위당 원가 39
제 2 절 원가의 분류 39
1. 원가의 추적가능성에 따른 분류 40
2. 제조원가의 형태에 따른 분류 41
3. 제조활동과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 43
4. 자산화의 용이성에 따른 분류 44
5. 원가행태에 따른 분류 45
6. 통제가능성에 따른 분류 50
7. 원가의 측정범위에 따른 분류 50
8. 의사결정과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 51
토의문제 55
연습문제 55

제3장 원가의 흐름과 집계
제 1 절 원가의 흐름 62
1. 제조기업의 경영활동과 재고자산 62
2. 제조원가의 흐름 64
3. 제품원가의 계산절차 65
제 2 절 제조원가의 회계처리 68
1. 직접재료원가 68
2. 직접노무원가 69
3. 제조간접원가 70
4. 재공품과 제품 71
제 3 절 재무제표의 작성 75
1.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 75
2. 제조원가명세서 76
토의문제 79
연습문제 79

제2부 제품원가계산시스템

제4장 원가의 배부
제 1 절 원가배부의 개요 89
1. 원가배부의 의의와 목적 89
2. 원가배부의 기준 91
3. 원가배부의 과정 92
제 2 절 부문공통원가와 보조부문원가의 배부 94
1. 부문공통원가의 배부 94
2. 보조부문원가배부의 의의 96
3. 보조부문원가의 배부방법 97
4. 단일배부율법과 이중배부율법 102
제 3 절 제조간접원가의 배부 104
1. 제조간접원가배부의 의의 104
2. 제조간접원가 배부기준과 배부방법 105
3. 제조간접원가 배부율의 종류 106
토의문제 109
연습문제 109

제5장 개별원가계산
제 1 절 개별원가계산의 의의 117
1. 원가계산의 종류 117
2. 개별원가계산의 개요 119
3. 개별원가계산의 특징 120
제 2 절 개별원가계산의 절차 121
1. 작업지시서와 작업원가표 121
2. 개별원가계산의 회계처리 123
제 3 절 제조간접원가의 배부 128
1. 제조간접원가의 특징과 배부기준 128
2. 제조간접원가의 실제배부 129
3. 제조간접원가의 예정배부 130
4. 배부차액의 회계처리 132
제 4 절 개별원가계산의 종류 138
1. 실제개별원가계산 138
2. 정상개별원가계산 140
3. 표준개별원가계산 141
토의문제 143
연습문제 143

제6장 종합원가계산
제 1 절 종합원가계산의 기초 150
1. 종합원가계산의 의의 150
2.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의 비교 152
3. 완성품환산량과 완성도 153
제 2 절 종합원가계산의 절차와 회계처리 155
1. 종합원가계산의 절차 155
2. 종합원가계산의 회계처리 157
제 3 절 단일공정 종합원가계산 159
1. 평균법 160
2. 선입선출법 163
3. 평균법과 선입선출법의 비교 167
제 4 절 공정별 종합원가계산 169
1. 전공정원가 169
2. 평균법 171
3. 선입선출법 173
4. 원가흐름의 회계처리와 제조원가명세서 175
제 5 절 공손품의 회계처리 177
1. 정상공손과 비정상공손 177
2. 정상공손원가의 배부 180
3. 공손품의 처분가치가 있는 경우 185
토의문제 187
연습문제 187

제7장 결합원가계산
제 1 절 결합제품과 원가계산 194
1. 결합원가계산의 의의 194
2. 결합원가계산과 관련된 기본개념 195
제 2 절 결합원가의 배부방법 196
1. 물량기준법 197
2. 상대가치판매법 198
3. 순실현가치법 200
4. 균등이익률법 202
5. 복수분리점의 결합원가 배부 203
6. 분리점이후의 추가가공 여부의 결정 206
제 3 절 부산물 회계 208
1. 부산물의 의의 208
2. 부산물의 회계처리 208
토의문제 211
연습문제 211

제8장 변동원가계산
제 1 절 변동원가계산의 기초 216
1. 변동원가계산의 의의 216
2. 변동원가계산의 포괄손익계산서 217
3. 변동원가계산의 유용성과 한계 220
제 2 절 전부원가계산과 변동원가계산의 영업이익비교 221
1. 판매량이 변동되는 경우 영업이익의 비교 221
2. 생산량이 변동되는 경우 영업이익의 비교 228
3. 영업이익차이의 조정 231
제 3 절 제조간접원가차이 233
1. 예정배부율과 배부차이 233
2. 정상원가계산에서 영업이익의 조정 234
제 4 절 전부원가계산과 기준조업도 238
1. 기준조업도의 유형 238
2. 조업도차이 239
토의문제 242
연습문제 242

제9장 활동기준원가계산과 역류원가계산
제 1 절 활동기준원가계산의 기초 249
1. 전통적 원가계산에서 원가배부 249
2. 활동기준 원가계산의 의의 252
3. 활동기준 원가계산의 도입배경 253
제 2 절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절차 255
1. 활동수준의 분석과 구분 255
2. 활동중심의 설정과 활동원가의 집계 258
3. 활동별 원가동인의 선택 259
4. 활동별 제조간접원가 배부율의 계산 261
5. 활동원가의 제품별 배부 262
6. 전통적 원가계산제도와 활동기준 원가계산의 비교 263
제 3 절 활동기준 원가계산의 유용성과 한계 264
1.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유용성 264
2. 활동기준원가계산의 한계 265
3. 활동기준원가계산의 효익이 큰 기업의 유형 266
제 4 절 적시생산시스템과 역류원가계산 269
1. 적시생산시스템의 의의 269
2. 적시생산시스템의 특징 270
3. 역류원가계산 272
토의문제 276
연습문제 277

제10장 표준원가계산
제 1 절 표준원가계산의 개요 284
1. 표준원가계산의 의의 284
2. 표준원가계산의 목적 285
3. 표준원가계산의 종류 287
4. 표준원가의 설정 288
제 2 절 원가차이분석 292
1. 원가차이분석의 기본모형 292
2. 직접재료원가차이 293
3. 직접노무원가차이 295
4. 변동제조간접원가차이 297
5. 고정제조간접원가차이 299
6. 제조간접원가차이의 분석 301
제 3 절 표준원가계산의 회계처리 304
1. 원가흐름과 회계처리 304
2. 원가차이의 조정 310
토의문제 315
연습문제 315

제3부 원가정보의 관리적 이용

제11장 원가의 추정
제 1 절 원가함수와 조업도 325
제 2 절 원가함수의 추정방법 327
1. 공학적 방법 327
2. 계정분석법 328
3. 고저점법 329
4. 회귀분석법 330
제 3 절 학습곡선 333
1. 학습효과와 학습곡선 333
2. 학습곡선모형 335
3. 학습곡선의 적용 341
토의문제 344
연습문제 344

제12장 원가-조업도-이익의 분석
제 1 절 원가-조업도-이익분석의 기초 350
1. 원가-조업도-이익(CVP)분석의 의의 350
2. CVP분석의 기본가정과 한계 351
3. CVP분석의 기본개념 353
제 2 절 손익분기점분석 357
1. 손익분기점의 계산 357
2. 목표이익과 손익분기점 362
3. 안전한계 364
4. 영업레버리지 분석 365
5. 민감도 분석 368
제 3 절 손익분기점의 확장 370
1. 법인세를 고려한 CVP분석 370
2. 여러 제품의 CVP분석 371
3. 현금흐름분기점 376
4. 준고정원가의 CVP분석 379
토의문제 380
연습문제 381

제13장 의사결정과 관련원가: 단기적 특수의사결정
제 1 절 의사결정의 유형과 과정 386
1. 의사결정의 유형 386
2. 의사결정과정 387
제 2 절 관련원가의 분석 388
1. 관련원가와 관련수익 388
2. 관련원가의 분석방법 389
제 3 절 의사결정의 유형 393
1. 특별주문의 수락여부 393
2. 부품의 외부구입 또는 자가제조의 결정 395
3. 보조부문의 유지 또는 폐지 397
4. 제품라인의 유지 또는 폐지 400
5. 결합제품의 판매 또는 추가가공여부 401
6. 자원이 제약이 있는 경우 402
7. 제품가격의 결정 406
토의문제 411
연습문제 412

제14장 종합예산
제 1 절 예산의 의의와 종류 420
1. 예산의 의의 420
2. 예산의 종류 422
제 2 절 예산의 기능 424
1. 예산의 순기능 424
2. 예산의 역기능 426
제 3 절 종합예산과 변동예산 426
1. 종합예산의 의의와 구성 427
2. 변동예산 428
제 4 절 종합예산의 편성절차 430
1. 판매예산 432
2. 제조예산: 생산량예산 433
3. 제조원가예산 434
4. 매출원가예산 437
5. 판매비와 관리비예산 437
6. 예산포괄손익계산서 438
7. 현금예산 439
8. 예산재무상태표 440
토의문제 441
연습문제 441

제15장 책임회계와 성과평가
제 1 절 책임회계제도의 의의와 종류 449
1. 책임회계제도의 의의 449
2. 책임회계제도의 전제조건 450
3. 책임중심점의 종류 451
4. 고정예산과 변동예산 452
제 2 절 원가중심점의 성과평가 456
1. 원가중심점의 성과평가의 의의 456
2. 가격차이와 능률차이 456
3. 배합차이와 수율차이 분석 458
제 3 절 수익 및 이익중심점의 성과평가 461
1. 이익중심점의 성과평가의 의의 461
2. 매출가격차이와 매출조업도차이 463
3. 매출배합차이와 수량차이 464
4. 시장점유율차이와 시장규모차이 467
제 4 절 투자중심점의 성과평가 469
1. 투자중심점의 성과평가의 의의 469
2. 투자수익률분석 469
3. 잔여이익분석 472
토의문제 474
연습문제 474

부록
1. 원가계산준칙 483
2. 찾아보기 490

책속에서

제1부 원가관리회계의 기초개념

제1장 원가관리회계의 역할
원가관리회계는 제품원가계산, 원가관리와 통제, 성과평가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내부경영자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장에서는 원가정보의 필요성과 회계정보시스템,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의 차이점, 원가관리회계의 역할, 그리고 경영환경의 변화와 원가관리회계의 최근의 동향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절 원가정보의 필요성과 회계정보시스템

1. 원가정보의 필요성
현대사회는 영리조직과 비영리조직, 공기업과 사기업 등 다양한 형태의 조직과 단체를 형성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각 조직이나 단체들은 자신들의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경영활동을 수행한다. 다양한 조직 중에서 대표적인 형태는 영리조직인 기업이라고 할 수 있으며, 기업운영의 책임자인 경영자는 기업의 성장발전과 기업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노력하며 다양한 경영활동을 수행한다. 기업의 경영자는 기업의 목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목표를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필요로 한다.
오늘날과 같은 글로벌 경쟁시대에서 기업이 존속 발전하기 위해서 회계정보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경영활동이 불확실성하에 이루지게 되므로 경영자는 과거의 경영성과를 평가하고 미래성과를 예측하기 위하여 기업의 경영활동에 관한 보다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한다. 기업은 이익의 추구와 기업가치 극대화라는 본질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품을 생산 판매하거나 서비스를 시장에 제공하게 된다. 경영자는 제품의 생산량과 판매가격을 결정할 때 제품원가에 대한 정보는 물론, 시장수요예측이나 경쟁사의 판매전략, 경제정책과 환경의 변화 등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최선의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기업은 여러 가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지만 주요 영업활동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기업과 완성품을 구매하여 판매하는 상품매매기업, 제품을 제조하여 판매하는 제조기업으로 분류된다. 서비스업은 재화를 판매하지 않고 용역을 제공하므로 제조업이나 상품매매업과는 그 본질을 달리한다. 제조기업과 상품매매업의 차이는 제품원가계산에 있다. 제조기업은 상품매매업과는 달리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제품을 직접 제조하여 판매하게 되므로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를 집계하고 계산하여 정보이용자에게 보고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재료와 노동력 등 다양한 생산요소들이 투입되며 이때 투입된 모든 생산요소들의 경제적 가치를 집계하고 측정하여 제품원가를 산출한다. 원가(costs)는 재화나 용역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소비되는 일체의 경제적 가치이며, 제품원가는 기업의 이익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원천이 된다. 기업의 매출이익은 판매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하여 계산된다. 이 경우 만일 경영자들이 제품의 원가에 대하여 정확히 알지 못한다면 경영계획을 수립하거나 통제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며 기업이 추구하는 이익극대화의 목표는 달성될 수 없을 것이다.
원가에 대한 지식이나 원가회계는 경영자 외에도 기업이나 다른 모든 조직과 단체에서 일하는 모든 관리자와 구성원들에게 필요하다. 왜냐하면 조직의 구성원들은 누구나 자신이 속한 조직이나 단체의 자원을 사용하게 되며, 자원의 사용이 곧 원가이기 때문이다. 어떤 자원이 사용되며, 자원을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지 알기 위해서는 원가가 무엇이며 어떻게 발생되는지를 알아야 한다. 즉 원가의식(cost mind)이 누구에게나 필요하다. 따라서 생산경제의 주체인 기업의 경영자나 관리자는 물론이고 국가나 공공단체의 공직자, 그리고 소비경제의 주체인 일반개인이나 가정주부들에게도 원가의 개념이 필요하다.
기업조직의 경우를 예로 들면, 원가회계는 회계분야뿐 아니라 모든 부서의 구성원에게 필요하다. 예를 들면 기획부서에서는 기업의 미래 사업계획의 수립과 예산편성, 연구개발에 의한 투자안의 평가, 미래손익의 추정 등에 원가관리회계의 지식이 필요하다. 구매부서에서는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구입을 위해 원가를 추정하고 납품업체와 가격협상을 하기 위해서 원가회계의 지식이 필요하다. 판매부서에서는 마케팅과 판매활동에 대한 원가와 효익을 비교 분석하고, 생산부서에는 제품생산과정에서 원가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 원가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2. 회계와 회계정보시스템
오랜 기간 동안 회계는 조직의 경영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해 왔으며, 회계정보의 필요성은 조직의 변화에 따라 변화해 왔다. 기업의 규모가 작은 노동집약적 기업에서는 경영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의 내용이 비교적 단순하였다. 그러나 기업규모가 확대되고 경영내용이 복잡해지면서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회계정보는 양적으로 많아지고 질적으로 복잡하게 되었으며, 경영자는 물론 기업과 이해관계를 갖는 이해관계자들은 기업의 활동에 대한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다.
회계(accounting)는 기업의 경제활동을 화폐단위로 기록·측정·요약하여 정보이용자들의 합리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다. 즉, 회계는 기업내부의 경영자에게 경영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외부의 주주와 채권자, 거래처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자원의 효율적 사용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회계는 정보이용자들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업에서는 회계정보이용자들에게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계산체계를 설계하고 운영하게 되는데 이를 회계시스템(accounting system)이라고 한다. 시스템은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구성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것이다. 회계시스템은 기업의 영업활동과 거래를 인식 측정하여 의사결정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로 변환시키므로 기업회계의 본질은 정보시스템(information system)이다. 기업의 영업활동과 거래가 유용한 정보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회계시스템에서 정한 자료의 수집, 분류, 처리, 요약을 통하여 가능하게 된다. 회계정보는 재무상태표나 포괄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와 같은 일반목적의 재무보고서를 통하여 외부이용자에게 제공되며, 제품제조원가의 계산과 원가차이분석, 성과보고서와 같은 특수목적의 보고서를 통하여 내부이용자에게 제공된다.
회계정보시스템은 기업의 경제적 활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많은 양의 재무적 자료를 복식부기와 원가회계라고 하는 회계처리방법을 이용하여 기업내부와 외부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한정된 사회적 자원(social resources)의 효율적 배분이 가능하도록 유용한 정보로 가공한다. 회계정보시스템을 그림으로 표시하면 <그림 1-1>과 같다.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기업의 경제활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재무적 자료를 의사결정에 유용한 재무회계정보나 관리회계정보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복식부기와 원가회계 모두가 필요하지만, 재무회계정보는 복식부기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고, 관리회계는 원가회계와 원가정보에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회계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회계정보의 유형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① 실적기록정보(score keeping information)를 제공한다. 실적기록정보는 경영활동을 기록 측정하여 이해관계자들에게 보고함으로써 내부 또는 외부이해관계자가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판단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이다. 이 정보는 재무회계나 관리회계의 기초가 되는 정보며, 재무제표는 실적기록정보로부터 작성된다.
② 주의환기정보(attention directing information)를 제공한다. 주의환기정보는 내부경영자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이다. 주의환기란 계획이나 목표를 실적과 비교하고 차이를 명확히 함으로써 경영자의 관심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이는 일상적인 영업활동에 대하여 계획이나 목표, 표준과 실제성과를 비교하고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주의환기정보는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경영활동의 계획과 통제에 유용한 정보이며 경영자가 특정한 업무에 관심을 갖도록 하는 예외에 의한 관리(management by exception)를 가능하게 한다.
③ 문제해결정보(problem solving information)를 제공한다. 문제해결은 미래에 선택할 수 있는 여러 대안 중에서 어느 안이 최선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문제해결정보는 경영자가 장기적 계획을 수립하거나 특별의사결정을 하는데 유용한 정보로서 여러 대안의 결과를 계량화하여 최선의 선택을 하도록 한다.
회계정보시스템은 기업내외의 정보이용자에게 재무회계정보와 관리회계정보를 제공한다. 실적기록정보는 재무회계에서나 관리회계에서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정보이지만, 주의환기정보와 문제해결정보는 관리회계에서만 사용되는 회계정보이다.

3. 재무회계와 관리회계
회계정보의 이용자는 정보접근의 용이성에 따라 내부이용자와 외부이용자로 구분할 수 있다. 내부이용자는 경영자이며, 최고경영자는 물론 중간관리자와 하위관리자도 직무수행과 관련된 회계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내부이용자에 포함된다. 외부이용자는 주주와 채권자, 거래처, 종업원, 소비자, 정부기관 등 기업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위하여 회계정보를 이용하는 다양한 외부의 이해관계자들이며, 경영자이외의 대부분의 정보이용자가 포함된다. 회계는 정보이용자에 대한 보고목적과 대상에 따라 재무회계와 관리회계로 구분할 수 있다.
(1) 재무회계
재무회계(financial accounting)는 기업의 외부이해관계자에게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회계이다. 재무회계는 일반회계(general accounting)라고도 하며, 재무제표의 작성과 보고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회계이다. 재무회계에 의하여 작성되는 재무제표는 모든 회계의 기본이 되고 있다. 이 경우에 재무제표의 하나인 포괄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와 재무상태표에서 재고자산의 금액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원가회계정보가 필요하게 된다.
재무회계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주된 이용자는 기업외부의 다양한 목적을 가진 이해관계자이다. 따라서 기업이 제공하는 재무회계정보를 외부이용자들이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경제활동을 이해하고 회계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회계정보를 이해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하며, 기업내부의 정보생산자는 일정한 회계원칙에 따라 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한다. 재무회계에서는 다양한 외부이해관계자에게 회계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GAAP)이 적용되며, 일정한 양식에 의하여 정기적으로 보고된다. 재무회계에서 기업의 외부이용자에게 주로 재무제표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며, 재무회계가 제공하는 정보의 성격은 기본적으로 기업의 과거 경영활동에 관한 정보이며 정기적으로 보고된다.
(2) 관리회계
관리회계(managerial accounting)는 기업의 내부경영자에게 경영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회계이다. 경영자는 경영관리목적으로 원가정보를 포함하여 다양한 회계정보를 필요로 한다. 특히 기업의 목표달성을 위한 경영계획의 수립과 통제, 성과평가를 위하여 재무회계와는 다른 관점에서 회계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관리적으로 이용하게 된다. 즉 관리회계는 내부의사결정자인 경영자의 의사결정, 통제 및 성과평가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회계이며, 주로 원가회계에서 제공하는 제품원가정보를 이용한다.
관리회계가 재무회계와 구분되는 점은 회계정보의 보고목적과 대상이 다르다는 점이다. 관리회계는 기업이나 단체를 운영하는 최고경영자나 중간관리자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재무회계는 기업에 관심을 갖고 있는 외부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회계정보를 제공한다. 관리회계는 내부경영자에 대한 정보제공이 주된 목적이므로 관련된 회계정보를 산출하는데 반드시 적용되어야 할 일정한 규범이 있는 것이 아니며,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정보를 경영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또한 재무회계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과거의 기업 활동을 요약한 정보이나 관리회계정보는 주로 미래의 경영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의사결정에 필요한 미래 지향적 정보이다.

제2절 원가회계의 의미와 역할

1. 원가회계의 의의
원가회계(cost accounting)는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에 필요한 원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품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정보를 식별하여 측정하고 분류 요약하는 회계분야이다. 즉, 원가회계는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원가의 계산과 측정을 주로 다루며, 재무상태표의 재고자산을 평가하고 포괄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를 결정한다. 또한 예산편성, 가격결정, 경영활동의 통제, 성과평가 등과 같은 관리적 의사결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원가정보를 제공하는 회계분야이다. 원가정보의 주된 이용자는 기업내부의 경영자이며, 원가회계는 경영자들의 일상적 영업의사결정과 전략적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현대원가회계가 관리회계라고 불리는 이유는 원가회계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주된 이용자가 경영자들이기 때문이다.
원가회계정보를 올바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규범이 있어야 하며 이러한 규범 중의 하나가 원가계산준칙이다. 재무회계에서 재무제표작성을 위한 원가정보가 사용되기 때문에 기업의 원가계산방식을 최소한으로 규정하는 원가계산준칙이 존재하며, 기업은 원가회계에서 이 준칙을 적용하여야 한다. 원가계산준칙은 원가계산에 대한 주요 용어와 방법만을 정리하였으며, 기업의 제품생산과 생산과정 등의 구체적인 내용에 따라서 자체 원가계산방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원가회계는 외부보고의 재무회계보고서와 내부관리의 관리회계보고서의 작성을 위한 원가정보를 제공한다. 원가회계정보는 재무 및 관리회계 활동을 지원하는 기초적 자료이다. 재무회계에서 원가회계의 역할은 주로 매출원가나 기말재고자산의 금액을 산정하는데 있다. 관리회계에서의 역할은 경영계획의 수립과 통제, 경영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의 제공을 위한 기초적 자료가 된다는 것이다.
회계시스템에서 원가회계의 역할은 과거에는 주로 재무제표의 작성에 필요한 정보의 제공이었다. 그러나 현대회계에서는 원가정보의 관리적 이용이 더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특히 원가회계는 제품의 가격결정, 제품의 생산 또는 중단이나 외부구입여부, 부품의 직접생산 또는 외부구입, 설비의 구입여부, 생산방법의 계속유지 또는 변경, 특정사업부분의 확장 또는 축소, 종업원의 승진과 업적평가, 기업 활동의 낭비적 요인의 평가 등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현대적 의미의 원가회계는 외부공표용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내부관리용 경영계획을 수립 통제하며, 장·단기적 특수한 의사결정에 필요한 원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생산과 영업활동에 대한 원가자료를 집계·배분·분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원가회계는 재무회계뿐만 아니라 관리회계목적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회계분야로 발전되어 온 것이다.

2. 원가회계와 관리회계의 관계
기업내부에서 경영자가 이용하는 정보는 주로 제품원가에 관한 정보이므로 관리회계는 원가회계와 비슷한 내용이다. 그러나 원가회계는 제품의 원가계산과 측정, 원가의 배분, 성과의 측정과 평가를 위한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관리회계는 제품원가정보를 비롯하여 회계정보의 관리적 이용과 경영의사결정을 위한 관리적 기법을 다루는 회계이다. 즉 원가회계는 원가의 측정과 계산을 다루며 관리회계는 계산된 원가를 의사결정에 사용하는 기법을 다룬다. 원가의 계산과 활용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본서에서는 원가관리회계의 이름으로 원가회계와 관리회계의 기본적 분야를 모두 다루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원가회계와 관리회계라는 용어가 구별없이 사용된다. 우리나라 회계교과서는 원가회계와 관리회계란 명칭을 분리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외국회계교과서는 명칭이 관리회계이든 원가회계이든 구분하지 않고 원가회계와 관리회계의 모든 주제를 다루고 있다. 현대원가회계가 관리회계라고 부르는 이유는 원가회계담당자들이 제공하는 원가정보의 주된 이용자가 경영자들이기 때문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