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우주/해양/조선 기타공학
· ISBN : 9788975989971
· 쪽수 : 354쪽
· 출판일 : 2012-02-20
책 소개
목차
제1장_지구의 탄생과 미세조류
1. 지구탄생과 미세조류 16
가. 지구 탄생과 바다의 형성 16
나. 지구사 7대 사건과 생명의 진화 17
다. 현생생물의 출현과 미세조류의 진화, 그리고 천이 22
2. 지구의 일 년 달력 27
제2장_미세조류의 다양성과 환경
1. 미세조류의 다양성 32
가. 미세조류의 정의 32
나 미세조류의 다양성과 주요 분류군 33
1) 남조류 34
2) 착편모조류와 규조류 35
3) 녹조류 39
4) 기타 미세조류 40
2. 미세조류와 환경 44
가. 미세조류의 성장을 지배하는 환경인자 44
1) 빛 환경 46
2) 이산화탄소 50
3) 영양염류 52
나. 미세조류의 부유적응 55
제3장_경이로운 미세조류의 다양한 세계
1. 개요 60
2. 태고 신비의 미세조류 남조류 60
가. 살아 있는 화석 스토로마톨라이트 60
나. 인류문명의 원동력 철광상 62
다. 지구의 대기조성 65
라. 생물성장의 원동력 질소고정과 수소생성 66
마. 황사 69
3. 원석조류와 백악의 절벽 71
4. 미세조류와 석유 74
5. 기상현상의 발전기 미세조류 76
제4장_미세조류의 산업적 이용
1. 미래 유용자원으로서 미세조류 80
2. 인류의 에너지, 환경 및 식량문제와 미세조류 82
가. 기본 개념 82
나. 미세조류의 산업적 응용 85
1) 산업적 응용의 장ㆍ단점 85
2) 생산된 바이오매스의 활용방법 92
3) 산업적 미세조류 활용의 현황 93
3 미세조류와 바이오테크 95
가. 색상에 의한 바이오테크의 구분 95
나. 미세조류와 관련된 바이오테크 분야 97
제5장_화이트바이오테크(White Biotechnology, WBT)
1. 개요 100
2. 바이오에너지 생산 102
가. 수소 생산 102
나. 바이오디젤(bio-diesel) 105
1) 오일을 생산하는 미세조류 106
2) 미세조류 활용의 효율성 112
3) 바이오디젤의 종류 113
4) 바이오디젤의 공정 125
다. 바이오알코올 131
1) 바이오알코올의 필요성 131
2) 미세조류에 의한 바이오알코올 생산 137
3. 바이오연료 개발의 국제 동향 142
가. 미세조류에 의한 바이오연료 개발의 세계 기업 142
나. 바이오디젤 분야 143
1) 미국 143
2) 아시아와 대양주 149
3) 유럽 152
다. 바이오알코올 분야 153
1) 미국, 브리질 등 북ㆍ남미 153
2) 아시아 157
3) 유럽 160
4) 기타 163
라. 국내의 바이오연료 사용 및 개발 현황 164
1) 바이오디젤 164
2) 바이오알코올 산업 현황 166
마. 해조류 이용 바이오알코올 생산 170
1) 이용과 개발 여건 170
2) 국내ㆍ외 기술 동향 174
바. 국내 바이오연료 관련 연구 현황 176
4. 바이오연료 연구개발의 전망 178
가. 연료소비량 178
나. 원유가 179
다. 시장 규모 180
라. 생산량 181
마. 생산단가 182
제6장_그린바이오테크(Green Biotechnology, GBT)
1. 개요 188
2. 환경 분야의 응용 188
가. 이산화탄소의 저감 189
1) 미세조류와 이산화탄소 생물고정 191
2) 생물 펌프와 알칼리 펌프 194
3) 미세조류의 대량배양과 이산화탄소 196
나. 수질정화 및 관리 200
3. 농ㆍ수산분야의 응용 202
가. 농업분야 202
나. 수산업분야 204
다. 식량 및 기타 분야 207
제7장_레드바이오테크(Red Biotechnology, RBT)
1. 개요 210
2. 뉴트라스티칼 개념 210
3. 미세조류의 산업 유용 물질 212
가. 바이오매스 213
1) 스피루리나와 남조류 215
2) 클로렐라와 녹조류 216
나. 단백질 217
다. 지방산 222
1)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AA) 222
2) 도코사헥사에노산(docosahexaenoic acid, DHA) 223
3) 에이코펜타에노산(eicosapentaenoic acid, EPA) 224
라. 탄수화물 225
마. 색소 구성 물질 227
1) 카로티노이드 227
2) 아스타산틴 230
3) 루테인 232
4) 기타 색소 233
바. 비타민류와 미네랄 234
사. 효소, 독성 물질 등의 생리활성물질 237
1) 효소 및 효소저해물질 238
2) 항에이즈바이러스 물질 239
3) 독성 생리활성물질 239
제8장_미세조류의 대량배양과 수확
1. 미세조류 배양 262
2. 미세조류 배양과정과 배지 266
3. 미세조류의 대량배양 268
4. 미세조류의 대량배양 방법 269
가. 밀폐형 배양시스템 269
나. 개방형 배양시스템 273
다. 밀폐형과 개방형 배양시스템의 장ㆍ단점 278
5. 수확방법 280
가. 응집 침전 281
나. 원심분리 282
다. 여과법 284
6. 미세조류 바이오 산업의 전망 285
맺음말 288
참고문헌 291
국문 색인 334
영문 색인 342
생물명(학명) 색인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