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군사학
· ISBN : 9788975994555
· 쪽수 : 540쪽
· 출판일 : 2012-11-20
책 소개
목차
제1부 군사고전 입문
Ⅰ.고전적 전쟁이론은 유용한가
Ⅱ.고전적 전쟁이론의 비교분석
1.머리말
2.전쟁의 본질과 철학
3.이상과 현실-유혈없는 승리와 결정적 전투의 추구-
4.공격 목표로서의 중심의 개념
5.정치의 우위와 야전지휘관
6.지휘관의 자질
7.맺음말
Ⅲ.전쟁이론이란 무엇인가
제2부 손무의 『손자병법』연구
Ⅳ.손무의 『손자병법』연구
1.머리말
2.손자병법의 배경
3.전쟁본질론
4.국가전략론
5.군사전략론
6.전술론
7.정보론
8.『손자병법』과 경영전략
Ⅴ.『무신수지』의 현대적 조명
1.머리말
2.문무병중에 대하여
3.장수의 자질
4.첩자와 첩보의 수집
5.기奇?정正과 허虛?실實에 대하여
6.공격의 중심
7.맺음말
Ⅵ.『손자병법』의 철학적 기초에 대한 연구
1.머리말
2.『손자병법』의 철학적 기초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
3.『노자』는 어느 때의 작품인가?
4.『손자병법』은 어느 때의 작품인가?
5.『노자』와 『손자병법』의 비교.분석과 평가
6.맺음말
제3부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연구
Ⅶ.클라우제비츠 장군의 생애와 그의 『전쟁원칙』
Ⅷ.클라우제비츠 『전쟁론』의 재번역에 관한 단상
Ⅸ.클라우제비츠와 『전쟁론』
1.머리말
2.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의 평가
3.『전쟁론』의 오해와 난해
4.『전쟁론』의 철학적 기반
5.『전쟁론』의 기본 사상
6.『전쟁론』의 군사 전략적 접근
7.맺음말
Ⅹ.전쟁의 삼위일체에 대하여
?.공격과 방어의 변증법
?.클라우제비츠 『전쟁론』은 어떻게 읽어야 하나
1.머리말 -『전쟁론』과의 만남-
2.『전쟁론』은 왜 이해하기 어려운가?
3.『전쟁론』은 왜 오해를 받는가?
4.몰트케와 프로이센?독일 참모본부
5,맺음말 -『전쟁론』연구의 회고와 전망-
ⅩⅢ.리델 하트의 『전쟁론』비판에 대한 논평
1.머리말
2.리델 하트의 생애
3.클라우제비츠의『전쟁론』에 대한 평가
4.리델 하트의 『전쟁론』비판에 대한 논평
5.맺음말
제4부 병법과 경영전략
ⅩⅣ.병법과 경영전략
1.경영전략과 병서
2.중간 관리자를 육성하라
3.스파이전의 귀재 김유신
4.중공군의 참전은 트루먼이 자초했다
ⅩⅤ.병가들의 전략사상과 경영전략
1.부전승의 『손자병법』-오사칠계의 백전전승 노하우-
2.문무 겸비로 인화 이루면 필승하는 『오자』
3.창업.수성의 정치 철학, 태공망의 『육도』
4.『한비자』의 이욕 타산학
5.신산귀모의 전술가 제갈공명
6.비전대승한 사마중달의 전략안
7.역성혁명의 주역 정도전의 진법
8.정병 3만이면 천하를 주무른다는 문종의 『오위진법』
9.병력의 집중.분산의 지략, 세조의 『병장설』
10.마키아벨리의 국가 전략
11.권한 위양에 실패한 나폴레옹
12.전쟁 철학자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1832)
13.나폴레옹의 전략을 체계화한 조미니의 『전쟁술 개요』(1838)
14.독창적 전략으로 참모 조직을 완성한 몰트케
15.해밀턴의 경제력과 국방
16.전쟁 본질을 실전에 응용한 포슈
17.구일본군의 『통수강령』
저자소개
책속에서
전쟁이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답하려면, 전쟁의 본질, 원인, 성격, 형태의 분석과 전쟁의 사회적 결과에 대한 검토, 전쟁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의 연구, 거기에다 여러 가지 전쟁형태의 발생의 방지에 수반되는 문제점 등을 포함하게 된다. 더욱이 현대전쟁은 총력전의 양상을 가져 왔기 때문에 사회의 어느 분야도 직접?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 저자서문 ]
인간의 삶이란 대립, 갈등 그리고 충돌의 세계이며, 그래서 인류의 역사는 투쟁사 혹은 전쟁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한 급변하고, 위태로운 정세 하에서 어떻게 생존하고 승리하는가, 그 방법과 지혜를 제시한 것이 군사고전이며, 동양의 손무가 저술한 『손자병법』(기원전 513)과 서양의 클라우제비츠가 저술한 『전쟁론』(1832)이 여기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