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75994661
· 쪽수 : 343쪽
· 출판일 : 2013-02-28
책 소개
목차
제1장 중국양명학파의 분화와 특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
1.들어가는 말
2.양명 당시 양명학 분화에 대한 인식
3.명말청초 황종희의 양명학파 분류
4.대륙학계의 좌파 왕학 연구
5.홍콩 - 대만 - 일본의 양명학 분화에 관한 연구
6.1990년대 전후 중국양명학파 연구의 새로운 지평
1)진래의 선행 연구 비판과 6개 학파 분류
2)양국영의 양지와 치양지의 이중성
7.2000년대 일본유학파의 중국양명학파 연구
1)전명의 양대 계통과 5개 유파
2)오진의 왕문삼파설
8.2000년대 중국 소장학자들의 중국양명학파 연구
1)포세빈의 선천본체와 후천공부
2)팽국상의 왕학 분화와 논변
9.나오는 말
제2장 사구논변과 양명 사구교의 함의
1.들어가는 말
2.천천교 사구논변 수록 자료들
3.사구논변의 핵심 논제
4.무선무악(無善無惡)한 심본체의 함의
5.유선유악(有善有惡)한 의념의 이중성
6.지선지악(知善知惡)하는 영명한 양지
7.위선거악(僞善去惡) 으로서의 격물
8.나오는 말
제3장 전덕홍의 비판의식과 실천정신
1.들어가는 말
2.양명학파 분화와 전덕홍에 대한 평가
3.전덕홍의 생애와 사상 변천
4.왕기 계열의 돈오적 입장에 대한 비판과 실천의식
5.섭표의 귀적설에 대한 비판과 사상마련
6.나오는 말
제4장 전덕홍의 역동적 양지본체론
1.들어가는 말
2.심무체와 만물동체
3.무선무악한 심본체 -지선과 허령
4.역동적 양지본체
1)지선한 양지의 체용일원
2)양지의 완전구족성
3)양지의 보편성
4)생생불식하는 양지
5)양지의 무집착
5.나오는 말
제5장 전덕홍의 실천적 치양지 공부론
1.들어가는 말
2.사구교에 대한 전덕홍의 공부론적 입장
3.실천적 공부가 필요한 이유
1)본체를 차폐시키는 장애 요인의 제거 필요성
2)후천적 지견의 폐단과 공부의 필요성
4.치양지를 위한 실천적공부 방안
1)무욕과 양지의 감응
2)후천성의를 통한 본체 회복
3)적감일여 체용일원의 격물 공부
4)사상마련 공부와 치양지
5.나오는 말
부록 왕양명과 중국양명학파 문헌 목록
연구목록1: 왕양명 연구 문헌 목록
연구목록2: 중국양명학파 연구 문헌 목록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 저자서문 ]
필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본 저서를 저술하였다. 첫째, 중국양명햑파의 분화와 특성에 관한 문제이다. 둘째, 중국양명학파 분화의 주요한 분기점이 된 사구논변(四句論辯)과 사구교(四句敎)에 대한 왕양명의 함의에 관한 문제이다. 셋째, 양명후학의 대표적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인 전덕홍이 양명학을 어떻게 계승 발전시켰는가 하는 문제이다.
양명학은 480여년 전 한국에 처음 전래되었다. 한국의 양명학은 전래기 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발전 과정에 있어서도 중국양명학파와 지속적인 영향 관계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한국양명학파 또한 중국과 같이 우파적 성향을 지닌 양명학자와 좌파적 성향을 지닌 양명학자로 나뉘기도 한다. 한편 한국양명학은 중국양명학에 비해 시대의 위난에 처하여 수시변역(隨時變易)과 실심(實心)과 실리(實理)를 매우 중시하고, 시대의 불의에 온몸으로 항거하는 강한 실천정신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