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88976463456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5-12-30
책 소개
목차
1장 퇴계 이황의 양명학 비판과 심학적 특성
1. 들어가는 말 / 2. 주희의 심리이원과 궁리격물설 / 3. 왕수인의 심즉리와 주자학 비판 / 4. 이황의 심즉리설 비판과 궁리의 리학적 특성 / 5. 지행합일설 비판과 선지후행관 / 6. 친민설 비판과 배움의 신민설 / 7. 퇴계학을 심학이라고 할 수 있는가? / 8. 퇴계심학과 양명심학의 다름 / 9. 나오는 말
2장 우계 성혼의 거경궁리의 심학사상
1. 들어가는 말 / 2. 천지의 생물지심이 곧 사람 마음 / 3. 진심의 중시와 존심·치심의 요체 / 4. 시중과 권도의 중시 / 5. 허심순리의 필요성 / 6. 만리함비와 연구중리 / 7. 거경의 심법 / 8. 나오는 말
3장 계곡 장유의 주체성과 창조정신
1. 들어가는 말 / 2. 교조주의 비판과 주체적 학문 자세 / 3. 창조적 삶의 토대로서의 주체적 양지와 실천성 / 4. 주체성에 근거한 창조정신의 전개 / 5. 나오는 말
4장 지천 최명길의 주체성과 창조정신
1. 들어가는 말 / 2. 명분론자들에 대한 비판과 주체적 마음 중시 / 3. 주체적 본심양지의 함양 / 4. 권도에 따른 주체적인 주화 주장 / 5. 나오는 말
5장 율곡학의 심학적 계승과 변용
1. 들어가는 말 / 2. 이이의 양명학에 대한 대응과 성誠사상 / 3. 윤증과 정제두로 이어지는 성誠사상 / 4. 정제두의 양지심학으로의 변용 / 5. 나오는 말
6장 명재 윤증과 서계 박세당의 격물 논변
1. 들어가는 말 / 2. 윤증 유학의 연원과 학문적 특성 / 3. 박세당의 학문 과정과 사상적 특성 / 4. 윤증과 박세당의 교유 관계 / 5. 윤증과 박세당의 격물 논변 / 6. 나오는 말
7장 간재 전우의 육왕심학 비판
1. 들어가는 말 / 2. 이단 비판의 기준과 근거 / 3. 불교, 육왕학, 한주학파에 대한 총체적 비판 / 4. 불교와 육왕학 비판의 숨은 이유 / 5. 「이씨심즉리설조변」의 양명학 비판 / 6. 「양명심리설변」의 양명학 비판과 타당성 / 7. 나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