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디어 시대의 춤 : 현장에서 들려주는 이야기

미디어 시대의 춤 : 현장에서 들려주는 이야기

주디 미토마 (지은이), 김수인, 김현정, 정옥희, 한석진 (옮긴이)
궁미디어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1,500원
28,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디어 시대의 춤 : 현장에서 들려주는 이야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디어 시대의 춤 : 현장에서 들려주는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무용
· ISBN : 9788975995897
· 쪽수 : 455쪽
· 출판일 : 2016-09-19

책 소개

무용영상을 다루는 현장 전문가들의 개인적인 통찰력을 담은 책.

목차

편집자의 말 _ 13
주디 미토마

본문 편집자의 서문 _ 18
엘리자베스 짐머

번역자의 말 _ 21

타임라인: 춤과 영상의 한 세기 _ 26
버지니아 브룩스

들어가며 _ 40
주디 미토마

Ⅰ부 기록하기

1장 텔레비전으로서의 춤: 계속되는 도전 _ 44
잭 벤자

2장 짧은 댄스필름으로서의 뮤직비디오 _ 57
래리 빌먼

3장 아방가르드 댄스필름의 운동감각: 데런과 해리스 _ 68
에이미 그린필드
DVD1 「카메라를 위한 안무 습작」 2분 12초
DVD2 「무용 주제에 대한 9개의 변주곡」 3분 49초

4장 거장과 영화: 조지 발란신의 텔레비전과 필름 작품들 그리고 바바라 호건 _ 76
로버트 그리스코빅

5장 카메라를 위한 머스 커닝험의 안무 _ 86
데이비드 바우한
DVD3 「채널/인써트」 2분 48초
DVD4 「포인츠 인 스페이스」 2분 57초

6장 「댄스 인 아메리카」, 「타임 투 댄스」, 「아츠 USA」의 프로그램 리스트 _ 92
잭 벤자

7장 「얼라이브 프롬 오프 센터」로 알려진 「얼라이브 TV」의 프로그램 리스트 _ 104
알리스 디제트

Ⅱ부 되돌아보기

8장 멜리에스에서 생중계 비디오까지: 움직이는 춤 이미지의 한 세기 _ 112
버지니아 브룩스
DVD5 「인톨러런스」 1분 48초
DVD6 「G선상의 아리아」 2분 35초

9장 테드 숀의 움직이는 이미지 _ 121
노튼 오웬
DVD7 「키네틱 몰파이」 2분 4초

10장 도리스 험프리의「 G선상의 아리아」 _ 127
어네스틴 스토델
DVD6 「G선상의 아리아」 2분 35초

11장 시신경: 버스비 버클리와 미국 영화 _ 130
엘리자베스 짐머

12장 춤은 비를 타고: 진 켈리의 뮤지컬 영화 _ 134
베스 제네

13장 「노 맵스 온 마이 탭스」에 대한 감상 _ 143
린 댈리
DVD8 「노 맵스 온 마이 탭스」 2분 40초

Ⅲ부 스크린테스트

14장 렌즈 뒤의 무용수 _ 148
에이코 오타케
DVD9 「허스크 Husk」 3분 55초

15장 모자 세 개 쓰기: 다중역할자의 작업노트 _ 156
메레디스 몽크
DVD10 「북 오브 데이즈」 2분 53초
DVD11 「16 밀리미터 귀걸이」 2분 11초

16장 포사이드와 필름: 본다는 것의 습관 _ 164
로슬린 설카스
DVD12「캄머/캄머」 4분 15초

17장 춤추기와 카메라 _ 173
빌 T. 존스
DVD13 「고스트캐칭」 2분 34초

18장 자주 고민하는 질문들 _ 179
폴 카이저
DVD13 「고스트캐칭」 2분 34초

Ⅳ부 춤을 재구성하기

19장 AIDS와 비디오테이프 페티쉬: AIDS 보유 아티스트를 위한 유산 프로젝트 _ 188
데이비드 기어

20장 춤을 비디오에 아카이브하기: 제 1세대 _ 193
데니스 다이아몬드
DVD14 「얼윈 니콜라이의 세계」 2분

21장 과거로부터 춤을 잡아내기 _ 199
보니 오다 홈시
DVD15 「마녀의 춤」 (마리 뷔그만) 1분
DVD16 「마녀의 춤」 (보니 오다 홈시 재구성) 2분

22장 발란신의 두 가지 세계: 조지 발란신 재단 비디오 아카이브 _ 203
낸시 레이놀즈
발란신 재해석가들:
DVD17 「토드 볼렌더의 코칭」 1분 37초
DVD18 「마리아 톨치프의 코칭」 3분 52초

23장 에뛰드 프로젝트: 비디오를 사용하여 컨템포러리 댄스 교육자들을 위한 정전 만들기 _ 216
캐롤린 아담스
DVD19 「레인보우 에뛰드」 2분

24장 레인보우 에뛰드 _ 220
도널드 맥케일
DVD19 「레인보우 에뛰드」 2분

25장 앨런 로맥스와 코레오메트릭스 _ 223
존 비숍

26장 링컨센터 공연예술자료관 무용분과: 어떤 하루 _ 226
마들레인 니콜스

Ⅴ부 기반 다지기

27장 「댄싱」은 중요하다 _ 232
로다 그라우어
DVD20 「댄싱, 에피소드4: 궁중에서의 춤」 6분 26초

28장 춤을 위한 새로운 장소 _ 239
밥 로키어
DVD21 「보이」 4분 30초
DVD22 「터치드」 3분 11초
DVD23 「핸즈」 2분 28초
DVD24 「작은 무도회」 3분 48초
DVD25 「엔터 아킬레스」 3분 22초

29장 뉴 내러티브 댄스를 만드는 유럽 예술가들 _ 247
켈리 하그레이브스
DVD25 「엔터 아킬레스」 3분 22초

30장 북부 지역의 경향: 캐나다 댄스 필름과 비디오 _ 253
필립 스포러
DVD26 「파 드 되」 1분 30초
DVD27 「로딜라」 1분 30초
DVD28 「기숙사」 3분 7초
DVD29 「폴링 다운 스테어즈」 55초
DVD30 「마을 3부작」 3분 7초
DVD31 「우스꽝스러운 아가씨」 1분 54초

31장 NHK 방송국: 미디어에서의 공연예술을 위한 모델 _ 262
레너드 C. 프론코

32장 도구를 직접 이용하기: 아르헨티나 안무가의 영화를 만드는 방법 _ 267
실비나 스펄링
DVD32 「시스터시스터」 1분

33장 뮤지컬 공식: 인도 대중영화에서 노래와 춤 _ 274
락시미 시리나이바스

34장 빨리 감기 _ 279
데어드르 타워스

Ⅵ부 다양한 방식을 탐색하기

35장 리모컨을 작동하면서 춤을 관람하기 _ 286
매튜 다이아몬드
DVD33 「댄스메이커」 6분 27초

36장 「댄스메이커」를 편집하기: A. C. E. 에디터 팸 와이즈와의 인터뷰 _ 293
조슈아 W. 바인더
DVD33 「댄스메이커」 6분 27초

37장 안무를 부각시키기: 어느 한 감독의 작업 여정 _ 297
메릴 브록웨이

38장 셀룰로이드 속 초상 _ 303
빅토리아 막스
DVD34 「어머니와 딸들」 1분 49초
DVD35 「아웃사이드 인」 4분 22초

39장 빅토리아 막스와 함께 댄스필름을 만들기 _ 308
마가렛 윌리엄스
DVD34 「어머니와 딸들」 1분 49초
DVD35 「아웃사이드 인」 4분 22초

40장 카메라와 함께 춤추기: 댄스 시네마토그래퍼 _ 316
에반 E. 지벤스

41장 알맞은 순간에 알맞은 곳에서: 편집이란 보이지 않는 예술 _ 323
기리쉬 벌가바

42장 많은 사람들을 낚아 올리기: 무용, 그리고 스토리의 스토리 _ 328
미첼 로즈

43장 틀을 깨뜨리기: 안나 할프린과 함께 카메라를 춤추게 하기 _ 333
앤디 아브라함 윌슨
DVD36 「귀향」 2분 15초

44장 초보자의 이야기: 「얼라이브 프롬 오프 센터」에 대한 어느 안무자의 작업 _ 338
데이비드 루세브

45장 다르게 보기: 「얼라이브 프롬 오프 센터」를 위해 「블랙 드레스」를 재연출하기 _ 344
엘렌 브롬버그

Ⅶ부 프레임과 해석

46장 다큐멘터리와 문화기술지적 영화에서 안무자로서의 카메라 _ 350
존 비숍
DVD37 「뉴 잉글랜드 댄스」 3분 56초

47장 인도의 문화유산에 근거한 댄스필름 만들기 _ 357
로버트 고틀리브
DVD38 「써클-싸이클 카탁 댄스」 3분 50초

48장 써클-싸이클 카탁 댄스」 제작에 관하여 _ 360
에바 솔테스
DVD38 「써클-싸이클 카탁 댄스」 3분 50초

49장 조상에 대한 회상 _ 364
마크 에비
DVD39 「페레 여신의 품에 안기어」 3분

50장 내 머리카락이 갈색이었을 때: 무용 다큐멘터리 만들기 _ 368
샐리 소머

51장 어느 필름 제작자의 일기 _ 374
로버트 가드너
DVD40 「딥 하츠」 4분

Ⅷ부 자료

52장 비디오 보존 _ 386
레슬리 한센 콥

53장 누구의 권리가 옳은가? _ 391
마들레인 니콜스

54장 자료와 보존 가이드 _ 393
레슬리 한센 콥

55장 영상목록 _ 403
데어드르 타워스

번역자 약력 _ 432

참고문헌 _ 434

찾아보기 _ 442

저자소개

주디 미토마 (지은이)    정보 더보기
UCLA의 문화상호주의적 공연 센터Center for Intercultural Performance의 디렉터이며 UCLA의 세계예술 및 문화학과 교수이다. 무용 종족학자이자 무용수로서 훈련받은 그녀는 인도네시아의 자바와 발리, 그리고 일본에 특히 관심이 있다. 1982년부터 1997년까지 그녀는 세계예술 및 문화학과 학과장을 역임했고, 그 프로그램을 1995년에 완전히 독립된 학과로 확립시켰다. 그녀는 1984년 올림픽 아츠 페스티벌에서 일했으며, 1990년에는 피터 셀라스Peter Sellars와 함께 로스앤젤레스 페스티벌의 공동 큐레이터를 담당했다. 1977, 1979, 1981, 1984, 1988년에 몇 개의 아시아의 공연예술 여름학교Asian Performing Arts Summer Institute (APASI)를 독립적으로 감독하면서, 그녀는 아시아의 많은 예술가들을 UCLA 캠퍼스로 데려왔다. 1991년에 미토마는 록펠러재단에서 서아프리카 예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워렌 위버 펠로우Warren Weaver Fellow였다. 1995년에 그녀는 연구, 독창적인 실험, 기록, UCLA 캠퍼스를 위한 공공 지원을 뒷받침하기 위해 문화상호주의적 공연 센터(CIP)를 설립했다. 그녀의 리더십 아래 UCLA/CIP는 세 가지 중요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포드재단의 후원을 받는 아시아 태평양 공연예술 교환 프로그램Asia Pacific Performing Arts Exchange Program(APPEX), 퓨 자선재단Pew Charitable Trusts의 후원을 받는 UCLA 내셔널 댄스/미디어 프로젝트, 그리고 록펠러 재단과 함께 하는 인문학 레지던시 펠로우십 프로그램이다. 미토마는 예술과 아시아 사회를 위한 뉴잉글랜드 재단의 컨설턴트이며, 로스앤젤레스 예술 커뮤니티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1999년 가을에 그녀는 세계종교음악페스티발 - 남북 아메리카World Festival of Sacred Music - the Americas를 시행했는데, 이는 21세기 평화와 보편적 책임감을 향한 제스처로써 로스앤젤레스 도시 곳곳에서 열린 85개의 행사였다. 최근 미토마는 페스티벌 CD와 DVD를 편찬하고 있으며, 『미디어 시대의 춤Envisioning Dance on Film and Video』의 최고 편집자를 담당했다.
펼치기
김수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와 동대학원 무용과에서 석사를 마친 후 미국 Temple University에서 Ph.D. in Dance를 취득하였다. 「댄싱9」 시즌 2의 언어적 표현 내용을 통해 구성된 경쟁에 대한 내용 분석」, 「연애리얼리티TV쇼의 선택 아키텍쳐에서 춤의 역할과 의미」, 「스트릿댄스 용어에 대한 인식 현황과 정전화 현상」를 비롯한 20여 편의 논문과 번역서를 출간하였다. 현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강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관심사는 춤의 언어, 기록, 보존과 유통에 관계되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펼치기
김현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Ph.D. in Dance History & Theory -at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충남대학교 무용학과 조교수
펼치기
정옥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발레를 전공했지만 늘 발레 밖의 세상이 궁금했다. 직업무용수 생활을 경험한 후 춤에 대해 쓰고 말하고 가르친다. 그중에서도 쓰는 게 재미있다. 발레의 아름다움과 초연함을 사랑하면서도 그게 전부여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 저서로 [이 춤의 운명은: 살아남은 작품들의 생애사], [나는 어쩌다 그만두지 않았을까], 공역서로 [발레 페다고지] 등이 있다. 발레 외의 움직임엔 젬병이지만 최근 따릉이 연간이용권을 구매했다. 인스타그램 @amazingoki
펼치기
한석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이론과에서 예술사를 졸업하고 영국 서리 대학교에서 무용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논문에서 디지털 퍼포먼스 속 몸과 안무 개념을 현상학과 포스트휴머니즘 이론을 바탕으로 탐구하였다. 현재 현상학, 기계 철학, 페미니즘 관점에서 동시대 춤과 퍼포먼스를 연구하고 있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이론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 책속으로 ]

필름과 비디오 테크놀로지의 발명은 춤을 만들고, 이해하고, 감상하고, 접근하는 방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처음으로 우리는 인종, 계급, 지역적 경계를 뛰어 넘는 춤을 접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러한 전파는 무용계의 발전에 있어 결정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춤은 오늘날까지도 실용적인 기록체계를 가지지 못한다. 그 결과 필름과 비디오에 녹화하는 것은 최초의 실용적인 기록수단이 되었다. 무용수들은 테크닉을 탐구하고 안무를 되짚어보거나 분석하고 공연 기술을 습득하는 연구수단으로서 카메라를 사용한다. 인류학자들은 이전엔 글이나 사진 자료에 의존해왔지만 이제 문화적 맥락에서 움직이는 춤 이미지를 잡아낼 수 있게 됨으로써 연구를 위한 유용한 도구로 활용한다. 필름과 비디오는 완전히 새로운 춤 형식을 낳기도 했다. 이는 영화감독과 안무가가 신체의 한계를 뛰어넘어 인간의 움직임을 포착할 새로운 방법을 발견하면서 가능해졌다. 녹화된 동영상이 기록의 수단, 연구의 보조물, 혹은 창작의 도구로 사용되던지 간에 이는 우리가 춤을 바라보고 경험하는 방식을 영원히 바꾸어 놓았다.


[ 저자서문 ]

이 책은 독자들에게 이 분야의 표준을 구축한 뛰어난 사람들을 소개한다. 1인칭으로 쓰인 회고적 에세이들은 그들의 성취뿐만 아니라 그 뒤에 숨겨진 문제들, 즉 안무적, 영화적, 기술적 해답을 찾기 위해 그들이 직면했던 이슈들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이야기를 하는 데에는 글만으론 부족하다. 그리하여 많은 저자들은 감사하게도 그들 작품의 발췌영상을 이 책의 부록 DVD에 담을 수 있도록 허락해주었다. DVD에 수록된 영상들은 글을 보조하는 것 이상으로 자주, 그리고 자세히 탐구해야 하는 연구주제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카메라, 편집기술, 현장, 조명, 그리고 프레임의 미학은 이 발췌영상을 통해 탐색할 수 있다. 데어드르 타워스Deirdre Towers는 독자들을 위하여 본 모음집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이 분야의 뛰어난 작품을 알려주고자 영상목록을 작성했다.
대부분의 무용필름과 비디오가 복잡한 제작과정을 숨기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이 책은 이러한 과정을 전면에 드러내고자 한다. 각각의 기고가들은 자신만의 접근법을 개발해왔다. 그들 간의 매우 다양한 의견들은 어떻게 춤을 가장 잘 촬영하느냐에 대하여 하나의 표준, 공식, 혹은 해답이 없음을 드러낸다. 기고자들은 새로운 세대의 무용수, 영화감독, 연구자들을 격려하고자 글을 썼다. 마치 이전 세대로부터 배우는 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능력을 개발할 수 있었듯이 기고자들은 이제 다음 세대들과 그들의 경험을 아낌없이 나누고자 하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