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별난 호모 사피엔스

유별난 호모 사피엔스

이영호 (지은이)
궁미디어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750원
14,250원 >
15,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1,500원
13,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별난 호모 사피엔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별난 호모 사피엔스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인체의 이해
· ISBN : 9788975996092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7-01-31

책 소개

사람의 몸 생김새가 왜 유별나게 되었는지 살펴보아 그 진화적 의미가 무엇이며 다른 동물보다 정말 우월한지 생각해 볼 것이다. 사람이 어떻게 생겼고, 다른 동물과는 어떤 구조적 차이가 있고 이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진화학적인 시각에서 해석해 보고자 한다.

목차

제1부 | 이목구비(耳目口鼻)에 숨겨진 비밀

• 눈에 반사판이 없는 호모 사피엔스 15
• 사람 눈에는 왜 흰자위가 있을까? 21
• 안경잡이 호모 사피엔스 26
• 사람의 먼 조상은 두더지류이었다! 31
• 오똑한 콧날 36
• 사람은 왜 잘 때 코를 잘 골까? 42
• 가청 주파수 영역대가 좁은 호모 사피엔스 46
• 빨간 앵두 같은 입술 50
• 하품은 왜 나오나? 59
• 드라큘라는 우리 조상의 모습이다. 64

제2부 | 섹시한 호모 사피엔스

• 사람은 왜 수유기가 아닌데도 젖가슴이 부풀어 있나? 71
• 몽땅한 젖꼭지와 착색된 젖꽃판(유륜) 79
• 왜 동양인보다 서양인의 젖가슴이 더 큰가? 85
• 사람에게서 배란기 신호는 왜 없어졌나? 89
• 사람의 음경에는 왜 음경뼈가 없나? 97
• 색을 밝히는 호모 사피엔스 102

제3부 | 희한한 사람의 피부와 털

• 털없는 원숭이 109
• 남자와 여자의 털 117
• 옷을 입고 사는 호모 사피엔스 120
• 사람은 왜 머리털을 자르고 사나? 125
• 겨드랑이털과 음부털 130
• 흰 머리털은 왜 생기나? 135
• 대머리(남성형탈모)는 왜 생기나? 146
• 가마가 두 개인 남자는 두 번 장가를 간다? 146
• 눈썹이 있는 이유 151

제4부 | 호모 사피엔스의 환희와 비애

• 우리의 조상들은 왜 숲이 아닌 초원에서 살게 되었나? 159
• 자유로워진 손 164
• 사람은 왜 오른손잡이가 훨씬 많은가? 169
• 우리는 어떻게 영리해졌나? 174
• 수상학(手相學)을 믿는 어리석은 사람들 181
• 호모 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 185
• 냄새를 잘 못 맡는 호모 사피엔스 191
• 심한 출산의 고통 195
• 호모 사피엔스에게 특이하게 나타나는 병 199
• 역경을 이겨낸 호모 사피엔스 215

맺는말 220
참고문헌 227
도판의 출처 239

저자소개

이영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9년 대전에서 태어나 진해에서 3년 동안 군의관으로 근무한 기간과 미국에서 1년 반 동안 유학을 간 기간을 빼고는 대부분을 대전에서 살았다. 대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5년에 충남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였다. 졸업 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에서 조교를 하면서 해부학전공으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2년부터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전임강사를 시작하여 현재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2010년에 지은이를 포함한 11명의 해부학 교수들이 함께 펴낸 〈알기 쉬운 사람해부학〉이 있다. 연구논문 중에는 2011년에 발표한 ‘흰 머리털이 왜 생기는가’에 대한 논문이 생명과학 분야 상위 2%의 중요 논문을 다루는 영국 온라인 우수논문 검색시스템인 ‘Faculty of 1,000’에 선정되었고, BRIC의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에 발표 논문이 소개되기도 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사람의 눈에서 흰자위가 많이 보이는 이유에 대한 최근의 이론을 살펴보자. 눈의 흰자위는 사람 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즉 상대방이 보는 방향을 알 수 있게 하는 것이 주된 이유라고 제시되고 있다. 다른 이론으로는 아주 맑고 깨끗한 흰자위를 가진 사람은 건강함을 보여주어 상대방에게 매력을 주므로 발달하게 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사람은 언어가 발달하여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손짓, 발짓, 및 얼굴에 있는 근유글 이용한 표정 등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을 동원한다. 과연 눈동자까지 의사소통에 필요한지 다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흰자위가 건강의 증표라면 다른 동물들도 사람처럼 잘 눈에 띠는 흰자위를 가지고 있는 동물이 있어야 하는데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