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친절한 과학사

친절한 과학사

(박성래 교수님이 들려주는 쉬운 과학 이야기)

박성래 (지은이)
문예춘추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1개 1,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친절한 과학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친절한 과학사 (박성래 교수님이 들려주는 쉬운 과학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수학/과학
· ISBN : 9788976042811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5-10-30

책 소개

과학과 기술의 발전 과정을 쉽게 정리해 소개하고, 그 발전을 주도해 온 과학자와 기술자들에 주목하면서 엮어 본 과학사(科學史)이고 기술사(技術史)다. 또한 수많은 과학기술자들의 숨은 이야기를 덧붙여서 독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킨다.

목차

01_ 만물의 근원은 무엇인가
02_ 이 세상은 어떤 모양일까
03_ 숫자는 어떻게 생겨났나
04_ 생물학과 의학의 시초
05_ 천문학의 발달을 가져온 점성술
06_ 화학의 발달을 가져온 연금술
07_ 현대과학의 시작, 코페르니쿠스의 혁명
08_ 그래도 지구는 돈다
09_ 천체운동을 과학적으로 설명한 케플러
10_ 시곗바늘은 왜 오른쪽으로 돌게 됐을까?
11_ 태양력에서 그레고리력까지
12_ 인류 최고의 과학자 뉴턴
13_ 현대의학의 기초가 된 해부학과 생리학
14_ 과학 발전의 초석, 망원경과 현미경의 발명
15_ 과학 혁명에 불을 지핀 수학
16_ 과학연구의 메카 ‘학회’의 활동
17_ 생물학의 바탕이 된 동.식물의 분류
18_ 지구의 나이가 6천살?
19_ 생물은 저절로 생겨났을까?
20_ 산업혁명의 상징, 증기기관
21_ 산소를 발견한 라부아지에
22_ 청량음료를 만든 프리스틀리
23_ 신비로운 자석의 힘
24_ 문명의 빛, 전기의 발견
25_ 진공을 만든 토리첼리
26_ 온도계의 발명과 발달
27_ 근대화학의 시작, 원자의 발견
28_ 전지의 발명과 이용
29_ 모든 생물은 진화한다
30_ 빛의 정체를 밝힌 사람들
31_ 통신혁명, 전신.전화의 발명
32_ 비행기의 발명과 발달
33_ 전염병을 물리친 파스퇴르와 코흐
34_ 유전의 원리를 과학적으로 밝힌 멘델
35_ 피타고라스의 정리보다 앞선 구고법
36_ 원주율(π)은 옛날 중국에서도 알고 있었다
37_ 동양의 5행설과 서양의 4원소설
38_ 인류문명과 함께 발달한 중국 천문학
39_ 선교사들을 통해 전파된 서양 과학
40_ 서양과학을 중국에 소개한 선교사들
41_ 조선 실학자들의 독창적인 지구 연구
42_ 200년 전에 ‘KS 마크’제도의 실시를 주장한 박제가
43_ 우리나라에 첫선 뵌 정전기(靜電氣) 발생장치

저자소개

박성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로, 공주고등학교를 2년 만에 수료하고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서 학사를, 캔자스 대학교 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하와이 대학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일보·중앙일보 기자를 지냈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교수, 과학기술처 정책자문위원,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 문화부 문화재 전문위원 겸 박물관 분과 전문위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이사,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한국과학사학회 회장,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총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과학사 서설』(1979), 『한국 과학사』(1982), 『한국인의 과학정신』(1993), 『한국사에도 과학이 있는가』(1998), Portent and Politics in Korean History(1998)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평평한 땅덩이가 그야말로 널빤지처럼 넓고 두꺼운 평면이라면 그것을 받쳐 주는 것은 무엇일까? 고대 인디아 사람들은 그것을 큰 코끼리가 받쳐 주고 있다고 생각해 보았다. 그렇지만 정말로 그렇게 크고 힘센 코끼리가 있다고 치더라도 그 코끼리는 또 무엇이 떠받쳐 줄 수 있단 말인가? 그 코끼리도 또 다른 널빤지 위에 서 있어야 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그 널빤지는 또 무엇이 받쳐 줄 것인지 …… 의문은 끝이 없다.
설명하기 곤란한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땅덩이는 평평하게 보이지만 아주 큰 공같이 둥글다고 생각하는 것이었다.
또 하늘에 보이는 별이 같은 때라도 남쪽과 북쪽 지방에서 서로 틀리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만약 땅이 평평하다면 남?북에서 서로 다른 별이 보일 수는 없을 것이었다.
이래저래 옛사람들은 약 2천5백년쯤 전부터는 땅이 둥글다고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그 후 우리는 땅을 지구(地球) 즉, 둥근 땅덩이라고 부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