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46081499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제1부이만열
1. 시민단체 활동
2. 상지대학교 이사장 재직과 칼럼 작성
3. 군대 생활에 대한 추억
4. 오랫동안 원했던 여행을 다녀온 이야기
5. 군북교회에서 받은 영향
6. 6·25 전쟁에 대한 기억
7. 중고등학교 재학 시절
8. 국사를 공부하게 된 계기
9. 고대사로 전공을 선택한 이유와 숙명여대 전임
10. 근대사 및 기독교사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
11. 해직
12. 해직 이후의 활동
13.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가 만들어진 배경
14.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재직 시절 외부 활동
15.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재직 시절 내부 개혁
16. 연구 업적 중 소개하고 싶은 분야
17. 앞으로 연구하고 싶은 분야
18. 해직 이후 연구에 몰두하게 된 이야기
19. 평생 글을 쓴 원동력과 기억에 남는 활동
제2부박성래 I
1. 최근 근황
2. 사학과의 초창기 기억
3. 사학과에 오게 된 계기
4. 고향과 학창 시절
5. 학술 경시 대회와 고등학교 진학에 대한 고민
6.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재학 시절
7. 기자 생활에 대하여
8. 사모님을 만나게 된 계기
9. 미국 유학에 대하여
10. 캔자스 대학교에서의 기억 1
11. 캔자스 대학교에서의 기억 2
12. 사모님과의 결혼
제3부박성래 II
1. 캔자스 대학교 재학 시절
2. 하와이 대학교 박사과정 시절
3. 하와이에서의 생활
4. 하와이 대학교에서의 낙제 경험 1
5. 하와이 대학교에서의 낙제 경험 2
6. 식당 운영과 박사학위 논문
7. 한국외대에 자리 잡게 된 계기
8. 과학사 보급과 음력 설
9. 과학사학계의 초기 모습과 후속 세대 학자들
10. 미국 생활 에피소드
11. 외대에 전하고 싶은 말
제4부박창희
1. 유년시절과 해방 전후
2. 일본 유학과 이규보 연구
3. 고려시대 관료제설
4. 고마쓰카와 사건
5. 한국외국어대학교 전임 채용
6. 민족의식과 실천 1
7. 마쓰시로 대본영
8. 한국외대 사학과 설립
9. 독도 문제
10. 국민학교 이름 바꾸기
11. 이천 오층석탑 환수운동
12. 민족의식과 실천 2
13. 민족의식과 세종
책속에서
이 원로 학자들은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1932~1939)에 태어나, 그 이후 해방공간, 한국전쟁, 이승만 독재정권, 4·19혁명, 5·16쿠데타, 유신체제, 10·26, 전두환 신군부의 쿠데타, 광주민주항쟁, 87체제 이후의 제도적 민주화 등 격동의 현대사를 헤쳐 온 그야말로 한국 현대사의 산증인들이라 할 수 있다. 전공이 현대사는 아니지만, 현대사를 몸소 체험한 동시대인으로서 이분들이 남긴 구술 자료는 현대 한국 사회에 대한 생생한 증언 기록으로서 후대의 역사학자들에게 귀중한 사료로 활용될 것이다. _ 책을 펴내며
당시 ‘해방이 됐다’ 했지만, 나는 일본이 우리를 지배했다던가 학정을 했다던가 하는 걸 잘 몰랐어요. 몰랐는데 해방되던 그 2, 3일 사이에 신사(神社) 마당에 많은 시골의 면민(面民)들이 모여가지고 기뻐하는 모습을 보았어요. 그런 후에 신사를 불태워 버렸어요. 그때가 한여름인데 모인 사람들이 그렇게 기뻐하는 모습은 제가 평생 기억할 수밖에 없는 그런 기쁜 순간일 거예요. 그 기뻐하는 면민들이 모여 막 얼싸안고 기뻐했던 모습은 평생 지워지지 않아요. 그런데도 나는 그 해방이란 게 무슨 의미를 가졌는지를 잘 몰랐어요. 그런데 교회 가서 『성경』 공부를 하고 교육을 받는 동안에 ‘아, 우리가 마치 그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에서, 이집트에서 종노릇했듯이 우리도 일제의 종노릇했다’ 하는 것을 알게 되었지요. 그러면서 비로소 민족의식이랄까 하는 감흥이 일어나게 되었죠. _ 1부: 이만열
그래서 ‘나도 이거를 우리나라 데이터도 한번 찾아보면 재미있는 게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 거죠. 그런 데다가 하와이에 가가지고 본격적으로 우리나라 역사책을 읽기 시작할 거 아니에요. 우리나라 책을 보면 『삼국사기』도 보고 『고려사』도 보고 다 열심히 보는데, 그건 뭐 금방 다 읽을 수 있으니까……. 『삼국사기』는 하룻밤이면 다 대충 확 훑을 거 아니에요. 그런데 그런 사료들을 보니 자연현상 기록이 많단 말이에요. 자연현상 기록이 굉장히 많은데 그거 가지고 논문 쓴 사람은 전혀 없잖아요. ‘이 자연현상 기록을 가지고 우리나라에서 뭔가를, 논문을 쓸 수 있지 않을까? 재미있는 게 뭐 발견될 수 있지 않을까?’ _ 3부: 박성래 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