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시조집
· ISBN : 9788976266033
· 쪽수 : 182쪽
· 출판일 : 2001-01-01
목차
제1부 채춘보(採春譜)
춘소우(春宵雨) | 감 | 부자상(父子像) | 버들꽃 날리는 날 | 하일장(夏日長)
조국(祖國) | 애모(愛慕) | 조그만 날의 곡조(曲調) | 낚싯대를 손질하며
산이 나를 따라와서 | 채춘보(採春譜) 1 | 채춘보(採春譜) 2 | 채춘보(採春譜) 3
고향생각 | 제주도 기행시초 | 바다의 시
제2부 묵로도(墨鷺圖)
묵로도(墨鷺圖) | 삼동(三冬)의 시 | 대춘부(待春賦) | 강 | 설화조(說話調)
해바라기 | 직지사운(直指寺韻) | 병처에게 주는 시 | 내 마음이 있습니다
잔 양기(殘陽記) | 봄바람에
제3부 실일(失日)의 명(銘)
가을앓이 | 연밭에서 | 가을 아내 | 춘신(春信) | 옛날 우리 할아버님은
제4부 백수 시선(白水 詩選)
서울의 버들가지 | 세월이 간다 | 귤과 동불(童佛) | 전등사(傳燈寺)
서울 조춘 | 배밭머리 | 우리집 석류나무는
제5부 연과 바람
추청(秋晴) | 겨울 수심가 | 초동 | 연과 바람 | 을숙도(乙淑島)
낮 귀뚜리 울음소리 | 모과 | 현애국(懸崖菊) 밝힌 밤에 | 화곡동 가는 길
낮잠을 부르며 | 귀고(歸故) | 수수편편(首首片片) 2 | 산책길에서 1
제6부 난보다 푸른 돌
산사 삼제 | 초겨울 설악에 와서 | 무량심초(無量心抄) | 겨울 나무
춘풍천리초(春風千里抄) | 새재 영가 | 추설악(秋雪岳)에 들어
제7부 오동잎 그늘에 서서
단수 4편 | 단수 4편 | 세월이 무엇입니까 | 무량심초(無量心抄) 13
무량심초(無量心抄) 17 | 무량심초(無量心抄) 18 | 작약 순 오르는 날
겨울 관악 | 팔당(八堂)에 와서 | 겨울이 오면 | 가을산 | 가덕(加德)에 와서
제주를 가며
▧ 해설 | 현대시조의 아름다움과 예술적 높이 (이숭원)
▧ 정완영 연보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래서 목로 주점엔
대낮에도 등을 달고
흔들리는 흰 술 한 잔을
낙일 앞에 받아 놓면
갈매기 울음소리가
술잔에 와 떨어지데. (「을숙도」중에서, 본문 p.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