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76333148
· 쪽수 : 144쪽
· 출판일 : 2006-08-21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며
프롤로그
1. 우리의 교육, 왜 계속 실패하는가
01. 교육이 거듭나야 하는 이유
02. 왜 계속 실패하는가
03. 개인적 선택과 집단적 선택의 딜레마
2. 교육개혁의 비전 10
01. 평등주의와 능력주의의 교육이념 조화 - 고교평준화
02.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교육 - 교육자치
03. 공정한 평가제도로 교육 기능 찾기 - 학생평가
04. 경쟁력 있는 교원평가로 교육현장 다지기 - 교원임용 및 평가
05.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교육 시스템 - 학제 개편
06. 학교교육의 내실화 - 사교육과 공교육
07. 잠재력 있는 학생 선발을 위한 다양한 체제 구축 - 대학입시
08. 대학 경쟁력의 강화 -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
09. 특성화로 되찾는 지방대학의 생명력 - 지방대학 살리기
10. 능력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사회 - 학벌사회
3. 교육개혁을 위한 환경 바꾸기
01. 자율화 논리와 공동체 논리의 보완
02. 관행과 문화의 거듭나기 - 다른 것은 다르다고 인정하자
03. 유비쿼터스 교육부의 역할 축소
04. 점진적 접근의 지혜
에필로그
저자소개
책속에서
평준화로 인한 수월성 억제로 인해 우리 교육은 지금 왜곡된 길로 나아가고 있다. 공교육 부실이 과도한 사교육비 지출로 이어지고, 기회균등마저 보장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또한 현재의 내신 산출체계로는 진정한 학력격차를 드러내지 못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학생평가체계의 재정립이 필요하고, 속진과 낙제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뛰어난 학생에게 수월성 있는 학습의 기회를 주고, 학업성취도가 떨어지는 학생에게는 제도권 안에서 다시 한 번 기회를 주어 효율성과 개인적 성취 모두를 놓치지 말자는 것이다.
한 줄 세우기보다는 여러 줄 세우기, 한 번에 많은 것을 바꾸기보다는 점진적으로 지나친 경쟁을 줄여나가는 것이 고교평준화의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다. - 본문 52~53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