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성경의 이해
· ISBN : 9788976353979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22-03-25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4
입문
1. 예언서 입문 _20
1) 성경에서 예언서가 갖는 의미 – 구약과 신약 _20
2) 예언과 예언자 _24
3) 예언 현상의 기원과 발전 _29
4) 예언서의 형성 과정 _33
5) 예언문학의 특성 _37
2. 이사야서에 다가서기 _44
1) 이사야 예언서가 지닌 어려움 _45
2) 이사야 예언서의 위상 _48
3) 이사야서의 저자 _50
4) 예언자 이사야와 그가 활동했던 시대 배경 _53
5) 이사야 전승의 수용과 전수 _60
6) 이사야 예언서의 구성 – 세 권이 아닌 한 권의 예언서 _64
제1편(1-12장)
심판과 구원 사이에 놓인 시온
1. 구조 _70
2. 구원과 심판(1-4장) _73
1) 머리글(1,1) _73
2) 서곡: 구원과 심판 Ⅰ(1,2-2,5) _74
3) 서곡: 구원과 심판 Ⅱ(2,6—,6) _77
3. 임마누엘 문헌과 이를 감싸는 여러 테두리(5,1-10,4) _80
1) 프롤로그: 포도밭 노래(5,1-7) _81
2) 불행 선언(5,8-30) _82
3) 임금이신 하느님을 통한 이사야의 소명과 완고함의 사명(6,1-13) _83
4) 임마누엘 탄생 예고(7,1-25) _86
5) 이사야와 그의 자녀와 제자들(8,1-18) _90
6) 에필로그(8,19-10,4) _92
4. 통치자에 대한 두 가지 그림(10,5-11,16) _96
1) 교만한 아시리아의 불행(10,5-34) _96
2) 이사이의 그루터기에서 솟아난 햇순과 그 위에 머무르는 하느님의 영(11,1-16) _98
5. 구원된 이들의 찬미가(12,1-6) _101
6. 신학적 의미 _103
1) 하느님은 어떤 분이신가? _103
2) 이스라엘 백성을 향한 심판과 구원 _105
3) 남은 자 _107
4) 이상적인 통치자 _108
7. 말씀의 육화를 위한 단상 _109
제2편(13-27장)
시온의 임금이신 하느님께 대항하는 모든 폭군의 몰락
1. 구조 _114
2. 민족들을 향한 심판 - 지상 권력에 대한 하느님의 심판(13-23장) _117
1) 신탁의 전반부(13-19장) _118
2) 신탁 본문 중앙에 위치한 이사야의 상징적 행위(20,1-6) _127
3) 신탁의 후반부(21-23장) _129
3. 질서를 창조하시는 주님의 정의(24-27장) _138
1) 온 땅의 심판과 시온에서 펼쳐지는 하느님의 왕권 선포(24장) _140
2) 주님의 산에서 벌어지는 민족들을 위한 잔치(25장) _144
3) 의로운 이들이 주님의 도성에서 주님을 신뢰하며 부르는 노래(26,1-27,1) _146
4) 포도밭 노래와 거룩한 산에 모인 추방된 이들(27,2-13) _149
4. 신학적 의미 _151
1) 하느님의 통치 _151
2) 의인과 악인의 분리 _153
5. 말씀의 육화를 위한 단상 _154
제3편(28-35장)
임금이신 하느님과 시온 공동체
1. 구조 _160
2. 다섯 번의 불행 선언(28-31장) _164
1) 첫 번째 불행 선언(28장) _164
2) 두 번째 불행 선언 - 아리엘을 향한 불행 선언(29,1-14) _168
3) 세 번째 불행 선언 -
주님 앞에서 계획을 숨기는 이들에 대한 불행 선언(29,15-24) _171
4) 네 번째 불행 선언 - 반항하는 자녀들을 향한 불행 선언(30,1-33) _173
5) 다섯 번째 불행 선언 -
도움을 찾아 이집트로 가는 이들을 향한 불행 선언(31,1-9) _176
3. 두 개의 부록 본문: 다섯 번에 걸친 불행 선언의 에필로그(32장) _179
1) 정의와 공정을 바탕으로 한 이상적인 통치자의 등장(32,1-8) _180
2) 심판과 구원의 예고(32,9-20) _182
4. 여섯 번째 불행 선언(33장) _184
5. 심판과 구원(34-35장) _189
1) 에돔을 향한 심판(34장) _190
2) 시온에서 펼쳐지는 구원(35장) _193
6. 신학적 의미 _198
1) 심판과 구원 _198
2) 시온 공동체 = “우리” 공동체 _199
3) 하느님의 왕권 _200
7. 말씀의 육화를 위한 단상 _202
제4편(36-39장)
시온을 향한 위협과 구원
1. 구조 _206
2. 예루살렘을 위협하는 산헤립과 구원하시는 하느님(36-37장) _210
3. 히즈키야의 발병과 치유(38장) _228
4. 바빌론 사절단의 방문과 유배 예고(39장) _225
5. 신학적 의미 _231
1) 시온과 시온의 백성 _231
2) 하느님을 향한 믿음 _232
3) 역사적 사건에서 증명되는 하느님의 왕권 _233
6. 말씀의 육화를 위한 단상 _234
제2이사야서(40-55장) 전체 보기
1) 제2이사야서에 대하여 _241
2) 제2이사야서의 저자 그룹에 관하여 _242
제5편(40-48장)
바빌론으로부터의 귀환
1. 구조 _248
2. 시온과 야곱의 서곡(40,1-31) _249
1) 시온의 서곡(40,1-11) _250
2) 야곱/이스라엘의 서곡(40,12-31) _255
3. 이방 신들의 무력함과 야곱/이스라엘을 위한 주님의 약속(41,1-42,13) _260
1) 이방 민족과 그들의 신의 무력함(41,1-20) _261
2) 주님의 종을 위한 하느님의 약속(41,21-42,13) _264
4. 주님과 주님의 눈멀고 귀먹은 종(42,14-44,23) _269
1) 눈멀고 귀먹은 종을 위한 주님의 설득(42,14-43,13) _270
2) 죄의 제거와 축복의 약속(43,14-44,23) _273
5. 키루스를 통한 주님의 승리와 바빌론과 그 신들의 몰락(44,24-48,22) _277
1) 키루스를 통한 주님의 승리(44,24-45,25) _277
2) 바빌론 신들의 몰락(46,1-13) _282
3) 바빌론의 멸망(47,1-15) _285
4) 유배의 회상과 탈출을 위한 외침(48,1-22) _287
6. 신학적 의미 _291
1) 위로의 책 _291
2) 우상숭배 근절 _292
3) 바빌론 탈출 _293
4) 하느님의 왕권 - 역사의 주도권 _294
7. 말씀의 육화를 위한 단상 _295
제6편(49-55장)
종과 어머니 시온
1. 구조 _303
2. 주님의 종의 자기소개와 시온의 의혹(49,1-26) _301
1) 주님의 종의 둘째 노래(49,1-13) _303
2) 시온의 의혹(49,14-26) _305
3. 시온의 자녀들을 위한 하느님의 설득(50,1-51,8) _308
1) 주님의 종과 시온의 자녀들의 의혹(50,1-11) _309
2) 주님을 찾는 이들을 위한 외침(51,1-8) _312
4. 시온으로 돌아오시는 주님과 흩어진 이들의 귀환(51,9-52,12) _315
1) 주님을 향한 기도와 그분의 응답(51,9-16) _315
2) 구원의 전환이 열리다(51,17-23) _318
3) 준비 행위들과 임금이신 주님의 귀환(52,1-12) _319
5. 종의 고통과 들어 높임(52,13-53,12) _322
1) 종의 넷째 노래에서 드러나는 주제의 전환 _326
6. 시온과 예루살렘의 회복과 미래(54,1-55,13) _330
1) 고난받던 시온의 들어 높여짐(54,1-17) _331
2) 종말론적 초대(55,1-13) _333
7. 신학적 의미 _336
1) 주님의 종 _336
2) 시온과 시온의 자녀의 의혹 _337
8. 말씀의 육화를 위한 단상 _338
제7편(56-66장)
악인과 의인의 분리
1. 구조 _342
2. 개종한 이방인을 위한 허가 조건(56,1-8) _343
3. 예언자의 고발과 구원의 말씀(56,9-57,21) _346
1) 예언자의 고발(56,9-57,13) _346
2) 구원의 말씀(57,14-21) _349
4. 구원이 지연되는 이유(58,1-59,21) _351
1) 참된 단식과 안식일에 대한 가르침(58,1-14) _351
2) 주님의 구원 능력을 의심하는 이들에 대한 하느님의 응답(59,1-21) _354
5. 시온과 예루살렘을 비추는 빛의 계시(60,1-62,12) _357
1) 시온과 예루살렘에 도래할 영광(60,1-22) _358
2) 시온의 의로운 이들에게 수여되는 영(61,1-11) _361
3) 시온과 예루살렘의 미래적 영광(62,1-12) _368
6. 역사에 대한 회고와 탄원기도(63-64장) _373
1) 에돔에서 승리하여 개선하시는 하느님(63,1-6) _374
2) 백성의 탄원기도(63,7-64,11) _376
7. 주님의 응답과 공동체의 분리(65-66장) _380
1) 종과 악인의 분리와 새로운 예루살렘(65,1-25) _381
2) 종말론적 구원 앞에 놓인 마지막 장애(66,1-24) _384
8. 신학적 의미 _389
1) 새로운 하느님 백성 공동체 _389
2) 시온의 재건 _390
3) 의인과 악인의 분리 _391
9. 말씀의 육화를 위한 단상 _393
마무리하며 _396
미주 및 참고 문헌 _403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리스도교 신자에게 예언서는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가? 일반적으로 예언서는 예수님의 탄생과 생애, 그리고 죽음과 부활을 예고한 책으로 이해된다. 그래서 전례력에서 중요한 대림과 성탄, 사순과 부활 시기에 가장 많이 읽히는 책이 구약성경의 예언서이다. 이는 ‘약속과 성취’라는 도식을 통해 예수님이 구약 시대부터 준비된 메시아, 곧 그리스도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이러한 맥락에서 ‘예언’은 하느님께서 인간에게 맡기신 말씀, 곧 ‘예언預言’이다. 임마누엘 탄생 예고(7,14)는 앞으로 벌어질 일에 대한 말씀을 전해준다. 곧 미래의 예측과 관련된 말씀으로 여기서는 ‘예언豫言’이다. 이처럼 ‘예언’이라는 어휘에는 하느님께서 예언자에게 선포하도록 맡기신 말씀과, 앞으로 다가올 일들에 대한 말씀이라는 의미가 모두 담겨 있다.
성 예로니모는 이사야서 안에 예수님의 모든 신비가 감추어져 있다고 보았다. ‘처녀로부터 잉태되고 태어날 임마누엘’(7,14), 고난받는 ‘주님의 종의 노래’ 네 편(42,1-9; 49,1-7; 50,4-11; 52,13-53,12) 등의 본문이 그리스도의 탄생과 수난이라는 신비를 예고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사야 예언서는 구약의 다른 어느 부분보다 더욱 분명하게 ‘약속’과 ‘성취’라는 도식을 드러내며 신약을 준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