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8781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3-01-20
목차
머리말/3
제1장 행정학의 기초이론_오수길 13
제1절 개요 14
1. 정당한 권위의 부여/14
2. 국가의 기원과 지배의 정당성/17
제2절 행정의 등장과 행정학의 기원 21
1. 행정의 등장/21 2. 행정학의 기원/23
제3절 행정학의 발전과 접근방법 26
1. 행정학의 발전/26
2. 행정학의 접근방법과 새로운 거버넌스/28
제4절 행정의 가치와 윤리 31
1. 행정의 이념과 가치/31
2. 공직 윤리와 전환적 행정가/33
제2장 행정의 개혁과 혁신_권향원 37
제1절 문제 제기: 왜, 우리는 행정의 개혁과 혁신을 필요로 하는가? 38
1. 변화관리의 필요성/38
2. 변화관리의 대상: 관료제/43
제2절 행정의 개혁과 혁신은 어떠한 모습으로 이루어져 왔는가? 47
1. 행정의 개혁과 혁신의 개념/47
2. 행정의 개혁과 혁신을 보는 두 가지 지향점: ‘성과관리’와 ‘거버넌스’/48
제3절 행정의 개혁과 혁신은 역사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가? 57
제3장 조직_김대건 63
제1절 조직의 이해: 조직을 어떻게 이해할까요? 64
1. 조직의 개념과 그 구성요소/64
2. 조직과 조직화/65
제2절 조직의 이미지: 조직을 어떻게 인식할까요? 66
1. 기계의 이미지/67 2. 유기체의 이미지/68
3. 두뇌의 이미지/69 4. 문화의 이미지/70
5. 정치의 장(場)의 이미지/71 6. 감옥의 이미지/71
제3절 조직구조: 조직의 틀을 어떻게 이해하면 되나요? 72
1. 조직구조의 개념/72 2. 통솔의 범위/73
3. 수직적 구조/74 4. 수평적 구조/75
제4절 조직행태: 조직구성원의 행동과 태도를 어떻게 이해할까요? 75
1. 조직행태의 개념/75 2. 조직의 문제는 사람의 문제/76
3. 조직행태론의 학문적 성격/76 4. 동기부여/76
5. 공공봉사동기(공직동기이론)/77
제5절 조직환경의 이해: 조직환경이 왜 중요할까요? 78
1. 조직환경의 개념/78 2. 일반환경/78
3. 과업환경/79
제6절 정부조직: 조직으로서의 정부를 어떻게 이해할까요? 80
1. 정부와 정부구조의 이해/80 2. 국가행정조직/81
3. 자치행정조직/83 4. 정부조직의 특성/83
제4장 인사행정_박윤 87
제1절 인사행정의 이해 88
1. 인사행정의 개념/88 2. 인사행정의 특성/89
제2절 인사행정의 외부환경 요인 89
1. 법적 요인/90 2. 정치적 요인/91
3. 경제적 요인/91 4. 사회․문화적 요인/91
5. 기술적 요인/92
제3절 주요 인사제도 92
1. 실적주의제/92 2. 직업공무원제/94
3. 대표관료제/95 4. 공직분류제도/96
제4절 인사행정의 주요 기능 98
1. 모집 선발/98 2. 개발/100
3. 평가: 근무성적평정/103 4. 보상/105
제5장 재무_최정우 109
제1절 재무행정의 개요 110
1. 재무행정의 개념과 의의/110 2. 재정의 기능과 분류/112
3. 재정의 구조와 과정/115
제2절 재무행정의 관련 이론 118
1. 점증주의/118 2. 총체주의/119
3. 공공선택이론/119 4. 단절균형이론/120
제3절 재무행정 관련 제도 122
1. 법과 운영체계/122
2. 예산편성 관련 주요 제도/126
3. 예산집행 관련 주요 제도/128
4. 결산 및 성과관리 평가 주요 제도/130
제4절 재무행정 관련 주요 이슈와 정책 방향 131
1. 재정건전성 확보/131 2. 성과 중심의 재정운용/133
3. 향후 정책운영 방향/135
제6장 정책_박충훈 137
제1절 개요 138
1. 정책과 정책학/138 2. 정책학의 패러다임/139
제2절 정책모형 140
1. 정책의 분류/140 2. 정책이론과 정책모형/142
제3절 정책과정의 주요 단계 146
1. 정책의제설정/146 2. 정책형성/148
3. 정책집행/150 4. 정책평가/151
제4절 정책과정에 대한 학문적 접근 152
1. 정책정보의 특성에 따른 구분/152
2. 정책분석과 정책평가/153
제5절 정책학의 미래 154
제7장 성과관리와 평가_이상미 157
제1절 공공부문 성과관리와 평가의 의의 158
1. 성과관리의 의의/158 2. 평가의 의의/160
제2절 이론적 배경: 신공공관리론과 정부개혁 161
1. 신공공관리론/161
2. 정부개혁과 성과관리의 도입/162
제3절 공공부문 성과관리 평가제도 163
1. 개인 성과관리제도/164 2. 조직 기관 성과관리제도/166
3. 사업 정책 성과관리제도/170
제4절 공공부문 성과관리 평가 관련 주요 이슈 171
1. 공공부문 성과의 특징과 측정 가능성의 문제/171
2. 성과관리제도 자체의 역기능에 관한 문제/173
제5절 공공부문 성과관리 평가의 대안과 미래 175
제8장 공공기관(지방공기업 포함)_신열 181
제1절 개요 182
제2절 관련 이론(공공기관의 지향가치) 187
1. 자율경영과 책임경영/188 2. 운영의 투명성/189
3. 경제성과 공공복리/190 4. 민간경제 위축 억제/192
제3절 주요 이슈 192
1. 문재인 정부의 사회적 가치 구현/193
2. ESG 경영/198
3.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와 공공기관의 경영효율화/201
제4절 미래 전망 207
제9장 지방행정_주희진 209
제1절 지방행정의 개요 210
1. 지방행정/210 2. 지방자치제도/211
3. 지방자치단체/212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214
1. 기관구성형태/214 2. 지방의회/216
3. 지방자치단체의 집행기관/219
제3절 우리나라 지방행정의 주요 이슈 220
1. 새로운 지방행정의 토대 마련: 지방자치법 전부개정/220
2. 사무이양의 새로운 제도: 지방일괄이양법의 통과/222
3. 주민밀착 치안서비스 제공: 자치경찰제의 입법화/223
제4절 우리나라 지방행정의 미래 방향 225
1. 미래환경 변화 예측/225
2. 우리나라 지방행정의 미래과제/227
제10장 지방재정_이미애 231
제1절 지방재정의 의의 232
1. 지방재정의 개념/232 2. 지방재정의 분류/233
제2절 지방재정의 구조 235
1. 지방재정의 세입구조/235 2. 지방재정의 세출구조/240
제3절 정부간 재정관계와 지방재정조정제도 243
1. 중앙과 지방간 재정관계/243
2. 지방재정조정제도의 의의 및 유형/245
3. 지방재정조정의 현황/248
제4절 주요 이슈: 역대 정부별 지방재정 정책의 변화 및 특징 249
1. 역대 정부별 지방재정 정책의 변화와 특징/249
2. 최근 재정분권 정책의 주요 이슈/253
제5절 대안과 미래 256
제11장 정부간 관계_라휘문 259
제1절 정부간 관계의 대두배경과 의의 260
1. 정부간 관계의 대두배경/260 2. 정부간 관계의 개념/263
3. 정부간 관계의 중요성/266
제2절 정부간 관계모형 268
1. 연방제 국가에 적용할 수 있는 정부간 관계모형/268
2. 단일국가에 적용할 수 있는 정부간 관계모형/272
제3절 최근의 정부간 관계모형과 미래의 방향 277
제12장 행정과 시민사회_최준규 281
제1절 시민사회 접근의 필요성 282
제2절 시민사회의 개념 및 역할 283
1. 시민사회의 개념/283 2. 시민사회의 역할 및 기능/285
제3절 시민사회 관련 제도 및 현황 290
1. 시민사회 관련 제도적 기반/290 2. 시민사회 주요 현황/292
제4절 시민사회 영역의 확장 294
1. 사회적경제의 개념 및 동향/294 2. 공동체의 개념 및 동향/297
제5절 대안과 미래 300
제13장 공공갈등과 정부의 역할_조경훈 303
제1절 공공갈등의 이해 304
1. 갈등의 개념/304 2. 공공갈등의 이해/305
제2절 갈등요인과 대응방안 307
1. 경제적 요인/308 2. 가치적 요인/310
3. 절차적 요인/313 4. 참여적 요인/314
제3절 갈등 해소에 대한 새로운 접근 316
제4절 신뢰의 회복과 협력 319
제14장 디지털 정부와 미래행정_최남희 325
제1절 미래행정의 새로운 맥락 326
1. 미래사회 변화와 행정의 관계: 인간, 시간, 공간의 변화와 행정/326
2. 미래사회 변화의 VUCA 특성/328
제2절 디지털 정부의 미래행정과제 332
1. 미래사회 문제와 발전 목표/332
2. 미래 디지털 정부가 해결해야 할 반지능 문제/335
제3절 디지털 정부로의 대전환 방향과 플랫폼 구현 338
1. 미래 디지털 정부로의 대전환 방향/338
2. 미래 디지털 정부 구현을 위한 기술융합/340
제15장 미래사회와 행정_김미경 345
제1절 정부운영 패러다임의 변화 346
제2절 사례로 보는 정부역할의 변화 349
1. 거버넌스의 등장과 변화/349 2. 공공관리의 진화/352
제3절 미래사회를 위한 새로운 행정의 진화 355
1. 생태계 공진화 전략/355 2. 이용자 경험 중심전략/358
3. 연계형 정부 전략/360
제4절 결론: 지식 크리에이터로서의 행정가 361
찾아보기/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