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책학

정책학

(개정판)

강근복, 권향원, 김재관, 박근후, 박정택 (지은이)
대영문화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1,400원
26,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책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책학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8606
· 쪽수 : 419쪽
· 출판일 : 2022-02-25

목차

개정판 머리말/3
초판 머리말/5

제1장 정책의 개념
제 1 절 정책의 개념 18
1. 정책의 정의 및 특성 / 18
2. 정책의 근거 형식 / 21
3. 정책의 일상적 개념 / 23
제 2 절 정책의 본질적 특성 25
1. 평가상대성 / 25
2. 목적지향성 / 25
3. 행동지향성 / 26
4. 변화유발성 / 26
5. 미래지향성 / 26
6. 상호연관성 / 27
7. 공익지향성 / 28
8. 부분이익 선택성과 가치의 강제 배분성 / 28
9. 정치연관성 / 29
제 3 절 바람직한 정책의 의미와 판단 기준 29
1. 바람직한 정책의 의미 / 29
2. 바람직한 정책의 판단 기준 / 30
제 4 절 정책의 유형 33
1. 정책행위의 내용에 따른 유형화 / 33
2. 정책의 사회적 영향에 따른 유형화 / 35

제2장 정책연구의 중요성과 정책학
제 1 절 정책연구의 의의 40
1. 공공정책의 중요성 / 40
2. 정책학의 등장과 전개 / 42
제 2 절 정책학의 개념과 패러다임 46
1. 정책학의 개념과 목적 / 46
2. 정책학의 패러다임 / 49
3. 정책학의 연구 방법 / 51
제 3 절 정책학의 과제 53

제3장 정책환경
제 1 절 정책환경의 개념 56
제 2 절 정책환경의 요소 57
1. 자연적 조건 / 57
2. 경제적 환경 / 57
3. 사회적 환경 / 58
4. 기술지식(technology) 환경 / 58
5. 정치?행정적 환경 / 59
6. 국제적 여건 / 61
제 3 절 정책과 환경의 상호작용 62
1. 정책의 환경 변화적 측면 / 63
2. 정책의 환경 의존적 측면 / 65
3. 정책과 정책환경의 복잡한 동태적 상호작용 관계 / 67

제4장 정책과정과 참여자
제 1 절 정책과정의 의의와 특성 70
1. 정책과정의 의의 / 70
2. 정책과정의 일반적 단계 / 71
3. 정책과정의 특징과 동태성 / 75
제 2 절 정책과정의 참여자 77
1. 정책과정 참여의 의의 / 77
2. 주요 참여자의 분류 / 78
제 3 절 정책과정의 참여 양태와 이론모형 88
1. 헌법적 구조에 의한 이론모형 / 89
2. 다원주의의 이론모형 / 89
3. 국가론과 공공선택론의 이론모형 / 90
4. 뉴거버넌스 이론모형 / 91
5. 정책망(정책 네트워크) 이론모형 / 91
제 4 절 정책과정의 합리적 관리 96
1. 정책과정의 합리적 관리의 의의 / 96
2. 합리적 관리의 요건과 방법 / 96

제5장 정책기조의 형성과 관리
제 1 절 정책기조의 개념과 의의 102
제 2 절 정책기조의 구조와 기능 104
1. 정책기조의 구조 / 104
2. 정책기조의 기능 / 107
제 3 절 정책기조 논리의 주요 구성 인자 111
1. 사상 / 111
2. 이데올로기 / 112
3. 철학 / 114
4. 원리?원칙 / 114
5. 이론 / 115
6. 가치 / 116
제 4 절 정책기조의 형성 117
1. 현대 민주국가의 정책기조 형성의 의의 / 118
2. 정책기조 형성의 정책혁명 모델과 점진적 진화 변혁 모델 / 120
3. 정책기조 형성의 요인과 결과 / 124
제 5 절 정책기조 형성의 기획과 관리 128
1. 인간과 사회, 역사와 정책에 관한 높은 식견과 통찰력의 온축과 활용 / 128
2. 정책기조 논리의 공론화와 정립 / 129
3. 정책기조의 채택과 합리적 일관성 유지 제도화 / 132
4. 정책기조 변동의 독단적 배타성 극복 / 133

제6장 정책의제의 형성과 관리
제 1 절 정책의제 형성의 본질 136
1. 정책의제 형성의 의의 / 136
2. 정책의제 형성(과정)의 특성 / 137
제 2 절 정책의제 형성의 핵심 요인 139
1. 정책의제 형성에 대한 관심의 대두 / 139
2. 선별적 정책의제 형성의 핵심 요인 / 140
3. 정책의제 형성의 주도 계층 / 143
제 3 절 정책의제 형성 과정 147
1. 문제 의식의 형성과 쟁점 생성 / 148
2. 공공의제의 형성 / 152
3. 정책의제의 형성 / 153
4. 정책의제 형성 과정의 유형 / 157
제 4 절 정책의제 형성의 억제 160
1. 정책의제 형성 억제의 의의 / 160
2. 정책의제 형성 억제의 요인 / 164
3. 정책의제 형성 억제의 방법 / 165
제 5 절 정책의제 형성의 영향 요인 168
제 6 절 정책의제 형성의 관리 174
1. 정책의제 형성의 관리 의의 / 174
2. 수동적?방임적 대응관리 / 175
3. 후원적?조정적 대응관리 / 175
4. 주도적?적극적 대응관리 / 177
5. 정책의제의 관리와 정책개발 / 181

제7장 정책개발과 정책분석
제 1 절 정책결정과 정책개발 184
1. 정책결정의 개념과 의의 / 184
2. 정책개발의 개념과 의의 / 185
제 2 절 정책분석 186
1. 정책분석의 개념 / 187
2. 정책분석의 유형 / 188
3. 정책분석의 차원과 조직화 / 191
4. 정책분석의 한계와 극복 / 193
제 3 절 문제분석 195
1. 정책문제와 정책목표 / 195
2. 정책문제의 분석 / 196
3. 정책문제분석의 중요성 / 202
제 4 절 정책목표의 설정 204
1. 정책의 목적구조 / 204
2. 정책목표의 설정 기준 / 206
3. 정책목표 간의 조정과 우선순위의 결정 / 206
제 5 절 정책대안의 분석: 설계와 평가 209
1. 정책대안의 설계 / 209
2. 정책대안의 비교와 평가 / 211
제 6 절 정책분석에서의 정책토론과 정책논증 213
1. 정책분석과 정책토론 / 213
2. 정책논증의 구성과 활용 / 214

제8장 정책의 채택
제 1 절 정책 채택의 본질 216
1. 정책 채택의 개념 / 216
2. 정책 채택 과정의 의의 / 217
제 2 절 정책 채택의 고려 요소 218
1. 문제의 맥락 / 219
2. 권력적 관계 / 220
3. 문제의 중요성 / 220
4. 정보의 이용 가능성 / 221
5. 참여자의 성격 / 221
제 3 절 정책 채택을 위한 방법 221
1. 협상 / 222
2. 합리적 정책 주장과 설득 / 231
3. 명령 / 239
제 4 절 정책결정이론 모형 239
1. 합리모형 / 241
2. 만족모형 / 242
3. 점증주의모형 / 243
4. 혼합탐사모형 / 245
5. 최적모형 / 246
6. 회사모형 / 247
7. 쓰레기통모형 / 248
8. 앨리슨모형 / 249

제9장 정책의 집행
제 1 절 정책집행의 의의 254
1. 정책집행의 개념 / 254
2. 정책집행의 의의 / 255
3. 정책집행에 대한 관점 / 256
4. 정책집행의 접근 방법 / 259
제 2 절 정책집행 과정과 집행 주체 264
1. 정책집행의 단계 구분 / 264
2. 정책집행 과정의 동태성 / 266
3. 정책집행의 기관과 담당자 / 267
제 3 절 집행정책의 형성 273
1. 집행정책 형성의 의의 / 273
2. 집행정책 형성의 기능 / 275
3. 집행정책의 형태 / 276
4. 집행정책 형성의 방법 / 278
제 4 절 정책 행동화 280
1. 정책 행동화의 의의 / 280
2. 정책 행동화의 유형과 특징 / 281
3. 정책집행기관의 순응 / 285
4. 정책 행동화의 효과와 정책의 수용성 / 290
5. 정책 수정관리 / 294
제 5 절 성공적 정책집행의 기준과 요건 296
1. 성공적 정책집행의 의의 / 296
2. 성공적 정책집행의 기본 방향 / 297
3. 성공적 정책집행의 기준 / 298
4. 성공적 정책집행의 요건 / 300

제10장 정책의 평가
제 1 절 정책평가의 의의와 유형 306
1. 정책평가의 개념 / 306
2. 정책평가의 목적 / 308
3. 정책평가의 유형 / 311
제 2 절 정책평가의 차원과 논리 315
1. 정책평가의 차원 / 315
2. 정책평가의 논리 / 315
제 3 절 정책평가의 방법 322
1. 질적 평가(정성적 평가) / 323
2. 양적 평가(계량적 평가) / 323
제 4 절 정책평가의 절차 326
1. 제1단계: 정책평가의 기획 / 326
2. 제2단계: 자료의 수집과 분석 / 330
3. 제3단계: 평가 결과의 제시 / 331
제 5 절 정책평가의 기준과 지표 332
1. 정책평가의 기준 / 332
2. 정책평가의 지표 / 333
제 6 절 정책평가의 활용 337
1. 정책평가 활용의 의의 / 337
2.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저해 요인 / 338
3. 정책평가 활용 확대 방안 / 340

제11장 정책의 변동과 관리
제 1 절 정책변동의 개념과 원인 344
1. 정책변동의 개념 / 344
2. 정책변동의 원인 / 345
제 2 절 정책변동의 유형 348
1. 정책변동의 유형 / 348
제 3 절 정책변동의 관리 353
1. 합리적 정책변동 관리 방안 / 353
2. 정책종결의 기획과 관리 / 354

제12장 정책의 윤리성
제 1 절 정책 윤리성의 의의 362
제 2 절 정책윤리의 논의를 위한 개념적 틀 364
1. 정책의 사회 적합성으로부터 도출되는 정책윤리 분석의 개념적 틀 / 365
2. 정책의 목적 체계 구조에 의한 정책윤리 분석의 개념적 틀 / 366
제 3 절 정책의 윤리성 판단을 위한 윤리학설 370
1. 목적론, 의무론, 덕윤리론 / 371
2. 형이상학설, 자연주의설, 직관설 / 373
3. 윤리 인식 긍정론과 윤리 인식 부정론 / 375
제 4 절 정책 윤리성의 궁극적 판단 기준 376
1. 궁극적 판단 기준으로서 ‘인간의 삶을 위한 정책’ / 376
2. 인간의 삶을 위한 정책의 구체적 판단 기준 / 378
3. 판단 기준 사이의 관계와 판단자 / 381
4. 정책 윤리성의 측면 / 382
제 5 절 정책 윤리성의 저해 요인과 확보 방안 383
1. 정책결정 체제 내적 저해 요인과 확보 방안 / 384
2. 정책결정 체제 외적 저해 요인과 확보 방안 / 387
3. 인간적 저해 요인 / 389
4. 정책 담당자에게 요구되는 정책 윤리성의 확보 방안 / 391

참고문헌 / 395
찾아보기 / 413

저자소개

강근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충남대학교 행정학부 명예교수, (사)인본정책연구원 이사장 성균관대학교 법정대학 행정학과 졸업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행정학석사?행정학박사 미국 시라큐즈대 기술 및 정보정책연구소 객원교수 미국 버지니아텍 행정 및 정책연구소 객원교수 충남대학교 행정학부 교수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장, 행정대학원장, 공공문제연구소장 (현)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고문 한국정책학회 회장,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회장 대전충남행정학회(현 한국공공행정학회) 회장, 한국행정학회 부회장 정부업무평가위원회 위원장(공동 위원장: 국무총리) 행정안전부, 환경부, 산림청 정책자문위원 행정고시?입법고시 시험위원 중앙인사위원회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기획예산조정 전문위원,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위원회 위원, 대전광역시 인사위원회 위원 등 역임 홍조근정훈장, 충남대 최우수 강의 교수상 정책분석과 문제 정의(역서) (1990, 대광문화사) 정책분석론(제4판) (2021, 대영문화사)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 전이(공저) (2001, 대영문화사) 과학기술정책의 주요 쟁점(공저) (2008, 한국학술정보원) 한국사회의 이슈와 정책(공저) (2010, 한국학술정보원) 외 논문 다수
펼치기
박정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대전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성균관대 법정대학 행정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행정학박사 영국 The University of Leeds, Nuffield Centre 졸업 대전대학교 교학부총장 역임 제15회 행정고등고시 합격 보건사회부, 외무부 서기관 역임 공익의 정치행정론 (1990, 대영문화사) 국제행정학 (1996, 대영문화사) 행정학개론(공저) (1998, 고려출판사) 시민사회와 행정(공저) (2002, 형설출판사) 일상적 공공철학하기 1, 2, 3 (2007, 한국학술정보) 외 논문 다수
펼치기
권향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를,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USC)에서 박사를 취득한 후, 한국행정연구원을 거쳐 현재 아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국무총리실 국정과제자문단 자문위원, 문화재청.통일부 자체평가위원, 산업부.환경부 기타공공기관평가위원, 민주평통.행정안전부.식약처.통계청.국토부 자문위원, 국토교통부 규제혁신심의회 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인사처 국가공무원 출제위원과 면접위원으로 활동했다. 한국행정학회 편집위원, 서울행정학회 편집이사, 한국정책학회 연구이사, 정책분석평가학회 편집위원, 한국조직학회 이사, 한국서비스경경학회 이사, 한국지역정보화학회 이사 등 학회에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저역서로는 [현대국가의 행정학](공저, 2021), [윤리역량](공역, 2018), [제도와 행위](공저, 2016), [행정학: 해석, 비판, 그리고 사회적 구성](공역, 2015) 등이 있다. 조직전략, 정부혁신, 행정이론과 철학, 신기술 정책 분야의 연구를 지속해 왔으며, 미국인사행정학회(PPM)의 최우수 논문상(2021), 한국학술원 우수도서상(2019), 대한민국학술원 우수 학술도서상(2016),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상(2015), 미국행정학회 신진학자상(Asian Junior Scholar Award)(2012) 등의 수상내역이 있다.
펼치기
김재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원광대학교 행정학과 명예교수 원광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법정대학 행정학과 졸업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행정학석사?행정학박사 (현)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장 원광대학교 사회교육원장 및 과학교육원장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장 등 역임
펼치기
박근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가톨릭 관동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법정대학 행정학과 졸업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행정학석사?행정학박사 University of Pittsburgh visiting scholor 관동대학교 취업홍보실장, 입학홍보처장, 경찰법정대학장 역임 (현)의정논총 편집위원 (현)강릉시 주요업무평가위원회 위원 강원도 지방토지수용위원회 위원 강원도 선거여론조사 공정심의위원회 위원 강릉시 양성평등위원회 위원 등 역임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 전이(공저) (2001, 대영문화사) “공공정책과정의 가치와 공공관계” “한국 국회에서의 효율적 의안 심의를 위한 의안회부제도에 관한 연구” “정책평가논리와 차원의 재구성” 외 논문 다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