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공공가치

공공가치

(이론과 실제)

김명환, 강제상, 곽현근, 권향원, 박치성, 신희영, 이석환, 이주하, 임의영, 오수길, 주은혜 (지은이)
윤성사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850원 -5% 0원
1,150원
20,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공공가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공가치 (이론과 실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91503470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2-02-20

책 소개

이 책은 공공가치에 관한 이론 적립과 창출을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 전문가들의 오랜 노력에 의한 결과물이다.

목차

제1부 서론

제1장 왜 공공가치인가?
Ⅰ. 들어가며
Ⅱ. 논의의 전제로서 신공공관리론의 한계와 폐해
Ⅲ. 공공가치(론)의 유용성
Ⅳ. 나오며

제2부 공공가치의 이론

제2장 공공가치의 개념
Ⅰ. 서론
Ⅱ. 가치에 관한 논의
Ⅲ. 공공가치 개념에 관한 세 가지 접근
Ⅳ. 유사 개념과의 비교
Ⅴ. 나오며

제3장 공공가치 접근
Ⅰ. 들어가며
Ⅱ. 두 가지 유형의 공공가치 접근: 공공가치 창출론과 공공가치 실패론
Ⅲ. 신공공관리와 공공가치 거버넌스
Ⅳ. 나오며

제4장 공공조직의 공공가치와 기업조직의 공공가치
Ⅰ. 공공조직과 기업조직의 공공가치 논의 맥락
Ⅱ. 조직 유형에 따른 공공가치 창출의 차이점
Ⅲ. 공공가치 창출 전략의 유형과 함의

제5장 공공가치의 평가
Ⅰ. 들어가며
Ⅱ. 공공가치의 차원: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
Ⅲ. 공공가치의 평가 방법: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Ⅳ. 나오며

제3부 공공가치의 실제

제6장 한국 사회에서의 공공가치 논의의 필요성
Ⅰ. 들어가며
Ⅱ. 이데올로기와 정치 및 행정
Ⅲ. 사회적, 경제적, 에너지·환경적 차원

제7장 공공성 연구의 사회적 형성: 정권별 비교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설계
Ⅳ. 분석 결과
Ⅴ. 나오며

제8장 공공가치 창출을 위한 지방행정 혁신의 방향:
읍·면·동 ‘풀뿌리주민자치’ 기반의 공동생산을 중심으로
Ⅰ. 들어가며
Ⅱ. 지방정부 숙의와 전달의 네트워크로서의 공공가치 관리모형
Ⅲ. 공공가치 관리 현장 적용모형으로서의 공동생산의 원리
Ⅳ. 읍·면·동 풀뿌리주민자치의 제도화와 공동생산
Ⅳ. 나오며

제9장 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와 공공가치 창출
Ⅰ. 들어가며
Ⅱ. 공공가치로서의 지속가능발전
Ⅲ. 지속가능발전대상 공모전과 평가 과정
Ⅳ. 지속가능발전 공공가치 창출 사례
Ⅴ. 나오며

제10장 비교론적 맥락에서 살펴본 공공성과 복지국가
Ⅰ. 들어가며
Ⅱ. 공공성 유형화와 복지국가
Ⅲ. 공공성 담론과 복지국가: 통사적 시계와 통섭적 시각
Ⅳ. 실질적 공공성 확보를 위한 복지국가의 과제
Ⅴ. 나오며

제11장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공공가치 창출
Ⅰ. 들어가며
Ⅱ.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개요
Ⅲ. 공공가치와 공공가치 창출 평가모형
Ⅳ. ‘공공가치 창출’의 실제: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중심으로
Ⅴ. 나오며

제4부 결론

제12장 공공가치론에서 도전과 향후 과제
Ⅰ. 들어가며
Ⅱ. 공공가치 접근법들: 무어의 공공가치 창출론의 확장
Ⅲ. 공공가치론에의 도전과 과제
Ⅳ. 나오며: 공공가치 이론의 정립을 위해

찾아보기

저자소개

임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2년에 고려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강원대학교 행정·심리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행정철학과 관료제이며, 공공성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행정학의 학문적 영역을 넓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주요 저술로는 『민주주의와 행정윤리』(2002), 『행정철학』(2006/2016), 『형평과 정의』(2011), 『생각을 여는 행정학』(2015), 『공공성의 이론적 기초』(2019), 『관료제의 이론적 기초』(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오수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고려사이버대학교 정보관리보안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행정철학 등이며, 한국NGO학회 회장, 한국지속가능발전학회 부회장,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정책위원장, 한국환경민간단체진흥회 이사장, SDSN Korea 사무총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지역정책 ESG 전략』(2024, 공저), 『공공부문 ESG전략』(2024, 공저), 『에코뮤지엄』(2022, 공저), 『환경행정학』(2020, 공저), 『환경사회학』(2015, 공저) 등이 있다(soogiloh@cuk.edu).
펼치기
박치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행정학 학사를, 미국 시라큐스 대학에서 행정학 석사를, 그리고 피츠버그 대학에서 정책학 박사를 받았다. 2008년부터 중앙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이석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출생. 국민대 행정학과와 고려대 대학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저 지주립대학교(Rutgers University)에서 성과관리 및 생산성 분야에서 행정학 박 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미국 일리노이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Springfield) 행정학과 조교수, 가톨릭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 국민대학교 행정 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4년 국내 최초로 경기도 부천시에 중앙정부에 앞서 BSC(Balanced ScoreCard)에 기반한 성과관리모델을 도입?구축하는 데 자문교수로 활동하였으며, 이후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에 성과관리시스템을 도 입하는 데 자문을 해 왔다. 한편 국무총리실 정부업무평가단 평가위원, 중앙부 처 자체평가위원회 위원장 및 위원,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경영평가단 위원 등 을 역임하면서 성과관리 및 평가 분야에 다양한 평가활동 및 자문을 수행해 왔 다. 2019년에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주요 저서로는 ??The B?L?U?E Government: 성과와 결과를 창출하는 유능한 미래정부의 조건 (2021, 법문사)??, ??Public Productivity Handbook(2004, 2nd Edition, Marcel Dekker, 공저자: Marc Holzer)??, ??UOFO(Unreasonable Objectives-focused Organization): 신뢰받는 정부와 기업을 위한 전략적 성과관리(2008, 법문사)??, ??Public Administration in a Globalized World: Theories and Practices between the US and Korea(2014, M.E. Sharpe & Daeyoung, 공저자: Marc Holzer & Rechard Schwester)?? 외 국내?외 다수가 있고, 성과관리와 관련된 논문들이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Public Performance & Management Review,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등 다수의 유명 해외저널과 국내저널에 실려 있다. SCOPUS 등 재저널인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IRPA)의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미국행정학회(ASPA)의 SSCI 등재저널인 Public Performance & Management Review(PPMR)와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ROPPA)의 편집위원(Editorial Board Member)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권향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를,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USC)에서 박사를 취득한 후, 한국행정연구원을 거쳐 현재 아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국무총리실 국정과제자문단 자문위원, 문화재청.통일부 자체평가위원, 산업부.환경부 기타공공기관평가위원, 민주평통.행정안전부.식약처.통계청.국토부 자문위원, 국토교통부 규제혁신심의회 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인사처 국가공무원 출제위원과 면접위원으로 활동했다. 한국행정학회 편집위원, 서울행정학회 편집이사, 한국정책학회 연구이사, 정책분석평가학회 편집위원, 한국조직학회 이사, 한국서비스경경학회 이사, 한국지역정보화학회 이사 등 학회에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저역서로는 [현대국가의 행정학](공저, 2021), [윤리역량](공역, 2018), [제도와 행위](공저, 2016), [행정학: 해석, 비판, 그리고 사회적 구성](공역, 2015) 등이 있다. 조직전략, 정부혁신, 행정이론과 철학, 신기술 정책 분야의 연구를 지속해 왔으며, 미국인사행정학회(PPM)의 최우수 논문상(2021), 한국학술원 우수도서상(2019), 대한민국학술원 우수 학술도서상(2016),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상(2015), 미국행정학회 신진학자상(Asian Junior Scholar Award)(2012) 등의 수상내역이 있다.
펼치기
김명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버지니아 공과대학교(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 State University: Virginia Tech)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강남대학교 공공인재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공공가치, 민주적 거버넌스, 제도론 등이다(mykim2@kangnam.ac.kr).
펼치기
주은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창원시도시재생지원센터 기획행정팀 팀장으로 근무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행정철학, 인사행정, 조직론 등이다(gpfjeh2016@pusan.ac.kr).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