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직행태론

조직행태론

(사람, 관리, 그리고 행정, 개정판)

진종순, 김기형, 조태준, 김정인, 권향원 (지은이)
대영문화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1,450원
27,550원 >
29,000원 -0% 0원
0원
2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직행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직행태론 (사람, 관리, 그리고 행정,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8569
· 쪽수 : 350쪽
· 출판일 : 2022-02-23

목차

개정판 머리말/3

초판 머리말/5

PART 1 개인 수준

Chapter 01 조직, 조직이론, 조직 행태란 무엇인가? 19


제1절 조 직 19

제2절 조직이론 25

제3절 조직행태론 27

Chapter 02 성 격 31

제1절 성격의 정의 32

제2절 무엇이 성격을 결정하는가? 34

1. 유 전/35

2. 환경적 영향(양육)/36

제3절 성격의 특성 40

1. Big Five 성격모델/42

2. 마이어스와 브릭스 성격 유형 검사(MBTI)/48

제4절 성격의 활용 53

Chapter 03 태도와 가치 56

제1절 태 도 57

1. 태도의 정의/57

2. 태도의 안정성과 영향력/60

3. 태도의 유형/62

4. 태도와 현실의 충돌: 인지부조화/67

제2절 가 치 70

1. 가치의 정의/70

2. 가치의 유형/72

3. 가치의 연구/75

제3절 태도와 가치의 활용 81

Chapter 04 지각과 학습 83

제1절 지 각 83

1. 지각의 정의/85

2. 지각의 형성/86

3. 귀인이론/87

4. 지각의 왜곡/91

제2절 학 습 99

1. 학습의 정의/99

2. 학습의 방법/100

제3절 지각과 학습의 활용 113

Chapter 05 동기부여 115

제1절 동기부여 개념 116

1. 동 기/116

2. 동기부여/119

제2절 동기부여 유형 122

1. 기본적 방향/122

2. 구체적 동기부여/123

제3절 동기부여의 주요 이론 124

1. 욕구와 관련된 동기부여이론/125

2. 보상과 관련된 동기부여이론/131

3. 절차와 관련된 동기부여이론/135

제4절 동기부여의 활용 137

Chapter 06 공공부문에서의 동기부여 139

제1절 동기부여이론의 공공부문 적용 140

1. 전반적 논의/140

2. 인사관리 단계와 동기부여 논의/140

제2절 인사관리 단계에 적용되는 동기부여이론의 공공부문 적용과 한계 142

1. 인적자원확보 단계: 욕구 관련 동기부여이론/142

2. 인적자원개발 단계: 욕구 및 절차와 관련된 동기부여이론/147

3. 인적자원유지 활용 단계: 욕구 및 절차와 관련된 동기부여이론/148

4. 인적자원평가 단계: 보상 및 절차와 관련된 동기부여이론/150

5. 인적자원보상 단계: 보상 및 절차와 관련된 동기부여이론/151

제3절 특수한 공공부문 동기부여: 공공봉사동기(PSM) 157

1. PSM의 의의/157

2. PSM과 관련된 변수/161

3. PSM이 공공부문에 미치는 효과/161

4. PSM의 연구 방향/164

제4절 공공부문 동기부여의 활용 164

Chapter 07 직무 만족 167

제1절 직무 만족의 기초 논의 169

제2절 직무 만족의 정의 및 특성 170

1. 직무 만족의 정의/170

2. 직무 만족의 특성/173

제3절 직무 만족의 측정 174

1. 단면적 직무만족척도/174

2. 전반적 직무만족척도/178

제4절 직무 만족의 선행 요인 180

1. 직무 만족에 영향을 주는 외재적 요인/180

2. 직무 만족에 영향을 주는 내재적 요인/187

제5절 직무 만족의 결과 189

제6절 직무 만족의 활용 191

Chapter 08 스트레스와 소진, 그리고 이직 194

제1절 직무 스트레스 195

1. 직무 스트레스의 개념/195

2. 직무 스트레스의 원인/195

3. 직무 스트레스의 측정/199

제2절 직무 소진 204

1. 직무 소진 의의/204

2. 직무 소진의 원인/207

제3절 이직과 이직 의도 209

1. 이 직/209

2. 이직 의도/210

제4절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소진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212

1.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 의도/212

2. 직무 소진과 이직 의도/213

3. 직무 스트레스, 직무 소진, 이직 의도의 관계/215

제5절 스트레스, 소진, 이직 의도의 활용 215

PART 2 집단 수준

Chapter 09 커뮤니케이션 221


제1절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221

1.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중요성/221

2. 커뮤니케이션의 기능/223

제2절 커뮤니케이션의 과정과 원칙 224

1. 커뮤니케이션의 과정모형/224

2. 커뮤니케이션의 원칙/228

제3절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230

1. 공식적 커뮤니케이션/230

2.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232

제4절 커뮤니케이션의 장애와 극복 233

1. 장애요인/234

2. 커뮤니케이션 장애의 극복/236

제5절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239

1. 소집단 네트워크에 대한 실험실 훈련/239

2. 사회성 측정법/242

제6절 커뮤니케이션의 활용 244

Chapter 10 의사결정 248

제1절 의사결정의 의의 248

1. 의사결정의 정의/248

2. 의사결정의 유형/249

3. 의사결정의 과정/250

제2절 개인적 의사결정론 250

1. 합리모형/250

2. 만족모형/252

3. 점진모형/254

4. 혼합탐사모형/255

5. 최적모형/256

제3절 집단적 의사결정론 257

1. 회사모형/257

2. 쓰레기통모형/261

3. 앨리슨모형/264

제4절 공론화와 참여적 의사결정 268

1. 공론화와 참여적 의사결정의 의의/268

2. 참여적 의사결정의 유형/271

제5절 의사결정의 활용 273

Chapter 11 리더십의 이해 276

제1절 리더십의 기초 277

1. 리더십의 정의/278

2. 리더십의 특성/279

3. 리더십의 특징 및 구성요소/282

제2절 리더십의 기능과 권력 285

1. 리더십의 기능/286

2. 리더십과 권력/289

제3절 리더십과 관리 296

제4절 리더십 이해의 활용 301

Chapter 12 리더십이론 303

제1절 리더십이론의 전통적 접근방법 304

1. 특성이론/304

2. 행동이론/307

3. 상황론적 접근법/314

제2절 리더십이론의 현대적 접근방법 320

1. 변혁적 리더십/321

2. 카리스마적 리더십/326

3. 윤리적 리더십/330

제3절 리더십이론의 활용 333

Chapter 13 권력과 조직정치 335

제1절 권 력 336

1. 권력의 정의/336

2. 권력의 원천/339

3. 자원에 대한 의존성과 권력 정도/345

4. 권력이 조직에 가져오는 결과/345

제2절 조직정치 347

1. 조직정치의 개념/347

2. 조직정치를 촉진하는 요인들/349

3. 조직정치의 영향 및 관리활동/353

Chapter 14 갈등관리 355

제1절 갈등의 정의와 특성 355

1. 갈등의 정의/355

2. 갈등의 특성/357

제2절 갈등에 대한 관점과 갈등의 기능 358

1. 갈등에 대한 관점/358

2. 갈등의 기능/359

제3절 갈등의 유형 361

1. 개인 갈등/361

2. 조직 갈등/364

제4절 갈등관리 366

1. 갈등관리의 정의/366

2. 갈등관리 방식/367

제5절 갈등관리의 활용 376

Chapter 15 조직문화 378

제1절 조직문화의 정의와 중요성 380

1. 조직문화의 정의/380

2. 조직문화의 중요성/384

제2절 조직문화의 유형 385

1. 캐머런과 퀸의 경쟁가치모형/385

2. 해리슨의 공식화 집권화 기준의 조직문화 유형/387

3. 대프트의 환경 전략에 따른 조직문화 유형/388

4. 조직문화 프로파일/390

제3절 조직문화에 대한 주요 쟁점 393

1. 조직문화의 형성, 유지, 변화/393

2. 단일 vs. 다수의 조직문화/395

참고문헌/397

찾아보기/427

저자소개

조태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와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USC)에서 행정학 석사를, 미국 뉴욕 주립대학교(SUNY at Albany)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상명대학교 행정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 인사혁신처.기상청 자체평가위원, 행정안전부 정부혁신평가단 위원, 5.7.9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제.선정.검토.면접.채점위원, 서울특별시 정보공개심의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한국인사행정학회 회장.연구부회장.연구위원장.편집위원장, 한국조직학회 기획부회장, 한국정책학회 총무위원장, 한국행정학회 공적인사혁신특별위원장 등으로 학회 활동을 하였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뺷미래 서울 행정: 경계가 허물어진 미래, 뉴거버넌스 시대가 열린다뺸(공저, 2021), 뺷새 한국정부론뺸(공저, 2019), “전문직공무원의 성과에 관한 연구: 전문직 공무원과 일반공무원의 인식비교를 중심으로”(공저, 2021), “공직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탐색적 고찰: 전문직공무원 제도를 중심으로”(2020) 등이 있다.
펼치기
김정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과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USC)에서 행정학(정책학 전공) 및 정책학 석사를, 미국 University of Georgia에서 인사혁신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인적자원연구센터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였다. 현재는 수원대학교 행정학 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 관심분야는 인사정책, 조직관리, 조직행태, 공공갈등관리 등이 있다. 5급, 7급, 9급 국가공무원 공채 출제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인간과 조직: 현재와 미래'(2018), '참여형 공공갈등관리의 이해'(2018, 2019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뉴노멀 시대, 위험과 정부 책임성: 안전사회 건설을 위하여'(2020) 등이 있다.
펼치기
권향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를,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USC)에서 박사를 취득한 후, 한국행정연구원을 거쳐 현재 아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국무총리실 국정과제자문단 자문위원, 문화재청.통일부 자체평가위원, 산업부.환경부 기타공공기관평가위원, 민주평통.행정안전부.식약처.통계청.국토부 자문위원, 국토교통부 규제혁신심의회 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인사처 국가공무원 출제위원과 면접위원으로 활동했다. 한국행정학회 편집위원, 서울행정학회 편집이사, 한국정책학회 연구이사, 정책분석평가학회 편집위원, 한국조직학회 이사, 한국서비스경경학회 이사, 한국지역정보화학회 이사 등 학회에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저역서로는 [현대국가의 행정학](공저, 2021), [윤리역량](공역, 2018), [제도와 행위](공저, 2016), [행정학: 해석, 비판, 그리고 사회적 구성](공역, 2015) 등이 있다. 조직전략, 정부혁신, 행정이론과 철학, 신기술 정책 분야의 연구를 지속해 왔으며, 미국인사행정학회(PPM)의 최우수 논문상(2021), 한국학술원 우수도서상(2019), 대한민국학술원 우수 학술도서상(2016),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상(2015), 미국행정학회 신진학자상(Asian Junior Scholar Award)(2012) 등의 수상내역이 있다.
펼치기
김기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를, 고려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현재 숭실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행정학회 대외협력 이사, 한국정책학회 총무 이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연구위원장, 한국인사행정학회 교육위원장, 한국갈등학회 갈등관리대상 위원장, 통일부 갈등관리심의위원회 위원, 국민권익위원회 민원상담협의회 위원, 5.7.9급 국가.지방공무원 공채시험 출제.선정.면접.채점위원, 행정안전부 지방공기업 평가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근로자녀장려 세제의 확대에 따른 국세청의 특별민원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2020), “공공갈등관리시스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2019), “공직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공직분류체계 개선방안에관한 연구”(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