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고전
· ISBN : 9788976777249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2-12-20
책 소개
목차
고전 탐험의 길을 떠나며(머리말)
고전을 만나면 자신의 길을 당당히 찾을 수 있다
1장 노자와 친해지면 외롭지 않아
고독한 노자의 핵심사상은 도道
★노자편 고전의 이름은 《도덕경》
고독한 사람은 노자를 좋아해
천재는 외로울 수밖에 없어
노자의 생각이 대체 뭐길래?
노자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양자 물리학의 도움이 필요해
자연은 매우 ‘쿨’하다는 사실을 깨우쳐 주었지
노자는 ‘물’을 좋아했어 상선약수上善若水
노자가 말하는 ‘무위자연’이란 아무 것도 하지 말라는 뜻이 아니야
노자가 생각하는 이상적 사회는 ‘작은 공동체'
노자는 현대 문명의 질문에 대해 일찌감치 답을 마련해 놓았지
2장 공자와 친해지면 공부가 안 지겨워
모범생 공자의 핵심사상은 인仁
★공자편 고전의 이름은 《논어》
공자는 범생이과였지만 ‘촉’이 아주 좋았어
주유천하周遊天下를 통해 큰 사람으로 단련된 공자
공자의 핵심은 논어 첫 부분에 다 들어 있어
공자는 왜 ‘인仁’을 가장 중요시 했을까?
공자는 우리에게 인생 설계도를 제시했어
3장 장자와 친해지면 열등감이 없어져
자유인 장자의 핵심사상은 소요유逍遙遊
★장자편 고전의 이름은 《장자》
장자는 스승 노자와 떨어질 수 없는 사이
노장사상은 과학으로 설명이 가능해
장자는 스토리 텔링에 강했어
《장자》에서는 ‘호랑나비’가 가장 유명해
자만할 것도 없고 열등감을 가질 필요도 없어
떠돌아다닌다고 자유인이 되는 것은 아냐
장자의 메시지는 비교하는 삶에서 자유로워 지는 것
4장 맹자와 친해지면 당당해져
용감한 맹자의 핵심사상은 의義
★맹자편 고전의 이름은 《맹자》
진실된 당당함과 단순한 배짱은 다른 거야
힘 있는 사람 앞에서도 할 말은 해야 해
맹자는 스승 공자보다 센 캐릭터였어
공자의 이상이 군자였다면 맹자의 이상은 대장부였어
인간의 본성을 과학으로 실험해 봤어
학습과 교육을 중요시한 것은 맹자도 마찬가지야 온실 속에서 자란 큰 나무는 없어
5장 한비자와 친해지면 실수를 안 해
냉철한 한비자의 핵심사상은 법法
★한비자편 고전의 이름은 《한비자》
한비자가 비호감이 된 배경에는 사마천의 《사기》가 있었지
당대의 정치가들에게는 한비자의 사상이 매력적이었어
한비자에 대한 오해를 풀어줘
한비자가 밉상이 된 결정적 이유는 모범생 공자를 욕했기 때문이야
한비자는 인간의 속성을 냉정히 분석하는 능력이 있었지
한비자는 사실 비호감도 밉상도 아니야
남을 이기는 것보다 자신을 이기는 것이 더 힘들어
6장 부처와 친해지면 마음이 평화로워
초절정 고수 부처의 핵심사상은 해탈解脫
★부처편 고전의 이름은 《아함경》
통이 커도 너무 큰 초절정 고수
일찍부터 고민의 차원이 달랐어
격은 다르지만 부처는 가출팸의 원조야
우리도 부처의 길을 따라 갈 수 있어
모든 것은 변하기 때문에 지금 절망할 일은 없어부처가 말한 팔정도를 학교 공부와 연결시켜 봤어
부처는 우리에게 자신을 이기는 방법을 가르쳐 줬어
서양은 동양이 버린 보물을 가져가고 동양은 서양이 버린 쓰레기를 가져간 거야
부록 1 고전공부 더 해볼래
《대학》과《중용》으로 들어가 보자
《대학》과 《중용》은 동양사상 공부의 1학년 과목
《대학》의 핵심주제는 선善
《중용》의 핵심주제는 중中
부록 2 고전공부 더 해볼래
문사철의 원조
《시경》《서경》《역경》속으로
동양정신의 원형이 담긴 《시경》《서경》《역경》
《시경》의 핵심주제는 사무사思無邪 《서경》의 핵심주제는 경敬
《역경》의 핵심주제는 역易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나는 우리 시대가 노자를 주목하는 이유는 현대인들이 고독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생활은 풍요로워졌지만 마음은 점점 피폐해지는 현대인들은 노자에게서 고독을 치유할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깊은 고독의 끝을 본 사람만이 거기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도덕경》은 고독하고 쓸쓸한 인생을 살아온 노자가 남긴 고독 치유제이다.
_1장 중 ‘고독한 사람은 노자를 좋아해’에서
인류 전체를 위한 도를 얻는 것은 무척 어렵기 때문에 공자는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고 말한 것이다. 공자 역시 이 세상이 변화하는 이치를 이해하기가 힘들었다는 뜻이다. 또한 도를 이해한다고 해도 거기에서 그칠 뿐 행동으로 자유롭게 표현되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공자도 70세까지 공부한 다음 비로소 자유로운 행동을 얻었다고 고백했다.
_2장 중 ‘공자는 우리에게 인생설계도를 제시했어’에서
장자는 인간의 생각, 심지어 우리가 꾸는 꿈 또한 구분할 수 없는 실재(實在)라고 말한다. 그런데 깨어나면 연기처럼 사라지는 것이 꿈 아닌가? 아니다. 보이지 않는 연기가 사라지지 않고 이 우주 안에 있듯, 꿈은 뇌 안에 실재한다. 현대 뇌과학의 결론을 장자는 천재적 직관을 통해 알고 있었던 것이다.
_3장 중 ‘「장자」에서는 호랑나비가 가장 유명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