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스피노자
· ISBN : 9788976823052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07-08-25
책 소개
목차
<리좀총서>를 간행하며
머리말
1부 들뢰즈와 철학사
들뢰즈의 스피노자주의 ― 신지영
들어가는 말│스피노자 철학의 독특성│스피노자 철학에 대한 일반적인 비판 지점과 들뢰즈의 해석│들뢰즈의 스피노자주의
들뢰즈와 니체 : ‘가면’의 철학 ― 한정헌
서론 : 들뢰즈의 유령, 니체의 유령│니체의 20세기 후계자―푸코와 들뢰즈│니체와 존재의 일의성│들뢰즈의 니체 : 역능의지, 영원회귀, 위버멘쉬│니체의 원국가론과 들뢰즈의 전쟁기계│자본주의와 소수자│결론 : 우리의 과제―들뢰즈·니체의 반복
들뢰즈: 베르그송의 그늘과 그 벗어남 ― 류종렬
들뢰즈 : 베르그송 너울│들뢰즈의 새로운 변모│마무리를 지으며
2부 들뢰즈의 철학
들뢰즈와 ‘meta-physica’의 귀환 ― 이정우
이데│문제│현실화│차생소│분화│특이성│변증법│다양체│구조│사건│연극│역-식│우발점│반복│연속적 변이│diff?ren(t/c)iation│잠재성│표면│추상기계
들뢰즈 현상과 정치 ― 조정환
들뢰즈 현상의 세 국면│들뢰즈 정치학의 존재론적 기초│들뢰즈와 정치학│들뢰즈와 삶정치학, 그리고 맑스주의의 혁신
3부 들뢰즈의 예술론
들뢰즈와 문학 ― 심세광
문학과 진실의 문제│들뢰즈의 철학과 문학의 가치│들뢰즈의 소수민 문학│들뢰즈 : 차이와 생성의 문학
들뢰즈와 영화철학 : 이미지, 시간, 탈영토화의 사유 ― 김명주
철학, 영화를 만나다│이미지=내재면 : 세계에 대한 물음│영화 이미지와 사유│영화-철학의 길 : 역사철학의 재구성 혹은 역사 바깥에서 역사 만들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들뢰즈의 초기 입장은 베르그송 사상 속에 젖어 있었다고 보아도 될 것이다. 그 시기에 그는 베르그송 철학에서 시간- 지속과 기억이라는 측면을 중요시했다. 그 중 특히 기억이론을 매우 중요시했다. 그리고 기억의 모호성과 지각의 애매성을 잘 이용하여 분열증의 현상으로 나아간 것까지는 베르그송과 메를로-퐁티의 영향 하에 있었다.-p90 중에서
들뢰즈의 철학은 잠재성의 철학이다. 플라톤의 철학이 현실성에서 출발해 초월성으로 올라갔다가 다시 현실성으로 내려오는 철학이면, 들뢰즈의 철학은 현실성에서 출발해 잠재성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현실성으로 올라오는 철학이다. 이 점에서 들뢰즈의 철학은 플라톤의 영원의 철학과 대비되는 생성의 철학이다.-p140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