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88976823670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1-10-2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해독 1. 일본의 고유성과 타자의 흔적-모토오리 노리나가에 있어서의 광기와 정기
‘한’(韓)의 흔적 | ‘일본’의 성립 | 신라에 강림한 신 | 『쇼코하쓰』라는 저술 | 정기의 담론이란 무엇인가 | ‘일본’ 성립의 언어적 기념비 | ‘한’을 포괄하는 제국
해독 2. ‘일본어’(야마토고토바)의 이념과 그 창출-모토오리 노리나가 『고지키전』의 선물
‘일본어’란 | 『고지키』를 읽는 것 | 『고지키』를 읽을 수 있는가 | 노리나가의 『고지키』 발견 | ‘야마토고토바’의 훈독 | 먼저 ‘야마토고토바’가 있었다
해독 3. 제사국가 일본의 이념과 그 성립-미토학과 위기의 국가신학
‘천조’라는 한자어 | 『신론』과 국가적 장계 | 제사적 사적의 회상 | 소라이의 귀신제사론 | 국가적 위기와 민심 | 죽음이 귀착하는 곳
해독 4. 국체론의 문명론적 해체-후쿠자와 유키치의 『문명론 개략』과 국체론 비판
국체 개념의 기존성 | 국체론과 문명론 | 국체 개념의 탈구축 | 고습의 혹닉
해독 5. 도덕주의적 국가와 그 비판-후쿠자와 유키치의 ‘지덕론’ 해독
비판적 담론으로서의 문명론 | ‘지덕론’의 과제 | 지ㆍ덕의 구별과 재구성 | 도덕주의 비판 | 지력이 행해지지 않는 사회 | 인지 발달의 광경 | 독립 인민과 정부: 급진적 리버럴리즘
해독 6. ‘일본민족’ 개념의 고고학-‘민족’, ‘일본민족’ 개념의 성립
고고학적 해독이라는 작업 | 개념 성립을 둘러싼 ‘시차’ | 사전에서의 ‘민족’ | ‘민족’ 개념의 전이적 성립 | 국수주의적 ‘일본’ | ‘일본민족’ 개념의 성립 | ‘일본민족’ 개념의 이중화
해독 7. ‘민족국가’의 윤리학적 성립(1)-와쓰지 데쓰로의 윤리학에 대해: 에식스에서 윤리로
먼저 ‘윤리학’이 있었다 | 국민도덕의 요청 | ‘에식스’에서 ‘윤리’로 | ‘윤리’의 해석학
해독 8. ‘민족국가’의 윤리학적 성립(2)-와쓰지 데쓰로의 윤리학에 대해: 쇼와 일본의 윤리학
‘윤리’ 개념의 재구성 | ‘인간’ 개념의 재구성 | 인간 공동태의 윤리학 | ‘공공성’과 ‘사적 존재’ | 문화공동체로서의 ‘민족’
해독 9. 철학이라는 내셔널리즘-‘종의 논리’, 국가의 존재론
1943년의 철학자 | ‘죽는 것이다’ | 국가를 위한 당위로서의 죽음 | 국가의 존재론 | ‘종’의 논리
해독 10. 동양민족협화와 ‘국체’의 변혁-다치바나 시라키의 「국체론 서설」
다치바나 시라키를 아는가 | 1941년의 다치바나 | 「국체론 서설」의 위상 | ‘국체’ 개혁의 세 법칙 | 동양사회의 재구성
후기 | 옮긴이 후기 | 찾아보기
책속에서
“제국의 좌절 이후 이런 이중화 의식도 좌절되었을까. 다시 대국화한 전후 일본은 이중성을 변용하면서 재생한다. ‘국어’가 사멸하고 ‘일본어’가 생긴 것이 아니다. 내부 ‘국어’과 외부 ‘일본어’의 병존은 현대 일본의 이중성을 단적으로 말해 준다. 역사 바로 세우기란 이러한 내부 ‘일본’의 재생에 대한 집요한 요구일 것이다. 그렇기에 일본 내셔널리즘에 대한 비판적 해독은 지금 우리에게 부과된 실천적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