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석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교토(京都)대학 법학박사(정치학 전공). 일본정치 전공. 일본학술진흥회 특별연구원, 교토대학 법학부 조수, 오사카 오타니(大谷)대학·교토다치바나(京都橘)대학·하나조노(花園)대학 등의 강사를 거쳐 현재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외교부 산하기관 평가위원, 재외동포재단 자문위원 및 재외동포 교육문화 센터 전시·디지털 아카이브 실무추진단장, (사)재외한인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외교부 자문위원, 재외동포청 실무위원 및 청원위원, 충청북도 외국인 정책자문위원,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보통징계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 『제국일본의 문화권력』(공저, 2011), 『근대 동아시아의 아포리아』(공저, 2014), 『제국일본의 문화권력 2: 정책, 사상, 대중문화』(공저, 2014), 『동아시아 이주민 사회와 문화 적응』(공저, 2017), The Olympic Games: Asia Rising-London 2012 and Tokyo 2020(공저, 2017), 『제국일본의 문화권력 3: 학지·문화매체·공연예술』(공저, 2017), 『한일관계의 긴장과 화해』(공저, 2019), 『문화권력: 제국과 포스트제국의 연속과 비연속』(공저, 2019), 『제국과 포스트제국을 넘어서』(공저, 2020), 『다문화 공생시대의 경제사회』(공저, 2022) 등이, 주요 논문으로 「사쿠마 쇼잔(佐久間象山)의 해방론(海防論)과 대 서양관: 막말에 있어서의 <양이를 위한 개국>의 정치사상」(2003), “The Japanese Imperial Mentality: Cultural Imperialism as Colonial Control-Chosun as Exemplar”(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성동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를 졸업하고, 우즈베키스탄 과학아카데미(Academy of Science) 역사연구소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교수 겸 국제관계연구소 부소장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발주한 K학술확산연구사업의 인하대사업단(정체성의 정치와 공공외교의 한국학, https://www.k-road.kr/)의 공동연구원이다. 2022년 11월부터 현재까지 외교부 유럽국 민간자문위원으로, 그리고 2023년 2월부터 현재까지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주 관심분야는 유라시아 정치와 외교, 한국과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경제 및 문화교류, 고려인, 동포정책이다. 저서로 『우즈베키스탄의 역사』(2021), 『미중 전략 경쟁시대의 유라시아』(공저, 2022), 논문으로 「우즈베키스탄 독재체제의 지속가능성 원인 분석: 정치문화 이론을 중심으로」(2023), 「유목문화가 카자흐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 독재체제 형성에 미친 영향 분석」(2022) 등이 있다.
펼치기
류승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를 졸업하고 아랍문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말레이시아 국제이슬람대학 이슬람 석사과정 후 말레이시아 국립대학교 이슬람대학 박사 논문학기에 있다. 현재 말레이시아 국립대학교, 세종학당 학당장이며 쿠알라 룸푸르대학교 한국어교육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말레이시아에서의 한국어능력시험(TOPIK)을 2005년부터 담당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한국국제학교 설립 추진위원장 이후 한국국제학교 교육재단 설립자이자, 초대 이사장을 역임했다. 비영리단체인 말레이시아 한국인학교 교장으로 재외동포자녀 교육 분야에서도 활동 중이다. 주 관심분야는 이슬람 사회, 문화 및 한국어 교육 분야이다. 저서로 Korean Wave in Islamic Southeast Asia : Exploring Current Issues (공저, 2022), 『한국-말레이시아 교육 문화 교류』(공저, 2015), 『말레이시아인을 위한 한국어』(2004), 논문으로 “Impacts of the Korean Wave and Conundrum of Malaysian Young Female Muslims” (2023), “The Cultural and Religious Conflict between Korean Wave and Islamic Values” (2022), “Social Media Translational Action: Translation Activities by K-Pop Fans in Twittera”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김금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말레이 인도네시아어과를 졸업하고, 국립 말라야대학교에서 사회·문화학으로 석사와 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국립 말라야대학교 아시아유럽학과 교수 겸 말레이시아-한국 연구소 소장이다. 동남아 한국학학회의 창립 회원이며, 한국학 중앙연구원의 씨앗형 프로젝트의 연구 책임자, 말레이시아 한국 교육원과 한국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의 자문, 한국 국비장학생 선발 평가위원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이사, 말레이시아 정부 연구 프로젝트 평가위원, 말레이시아 한국학학회, SSCI 국제학술지의 편집 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주 관심분야는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비교 연구로, 사회인류학적, 사회언어학적 접근으로 한-마 지역 개발, 한류와 이슬람, 동방정책과 한마 인적자원 협력, 문학과 여성, 한마 관계 등이다. 주요 저서로 Korean Wave in Islamic Southeast Asia :Exploring Current Issues (공저, 2022), Dilema Pekerja Melayu dalam Budaya Syarikat Multinasional Korea di Malaysia (2017), The Dynamics of South Korea’s relations with Asia-Pacific (공저, 2016), 논문으로 “Impacts of the Korean Wave and Conundrum of Malaysian Young Female Muslims” (2023), “The Cultural and Religious Conflict between Korean Wave and Islamic Values” (2022), “Female Stereotyping and Gender Socialization through Proverbs and Idioms: A Comparative Study of Malaysia and Korea” (2019), “Variation of Asian Collectivistic Values: A study on a Korean company operating in Malaysia”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이윤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철학 전공으로 학부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미국 듀크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2006-2016년에 뉴욕주립대-빙햄튼에서 사회학과 조교수-부교수를 역임한 후, 2016년부터 토론토 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정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19-2022년과 2023-2024년에는 토론토 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소장을 맡았고, 2022년부터 Sociology Compass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정치사회학자로서 주요 연구 분야는 사회운동, 노동정치, 민주주의, 신자유주의와 불평등이다. 저서로 Militants or Partisans: Labor Unions and Democratic Politics in Korea and Taiwa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1), Between the Streets and the Assembly: Social Movements, Political Parties, and Democracy in Korea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2)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Cold War Undercurrents: The Extreme Right Variants in East Asian Democracies” (Politics and Society 49(3), 2021: 403-430), “Neoliberal Methods of Labor Repression: Privatized Violence and Dispossessive Litigation in Korea”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51(1), 2021: 20-37), “Labor Movements in Neoliberal Korea: Organizing Precarious Workers and Inventing New Repertoires of Contention” (Korea Journal 61(4), 2021: 16-46) 등이 있다.
펼치기
신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한국어교육 석사와 호주 맥콰리(Macquarie)대학교에서 응용언어학 석사로 졸업했고, 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UNSW)에서 언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UNSW 인문언어학부에서 한국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양주한국학회(KSAA) 총무이사 등 몇몇 학회 이사를 역임했고, 현재 국제한국어교육학회(IAKLE) 등 몇몇 학회의 학회지 편집위원, 호주연구재단(ARC) 평가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응용언어학과 사회언어학 분야이며, 한국어 주제의 언어습득, 언어교육과 학습, 오류분석, 다문화 사회 언어 사용, 계승어 관련 주제 등을 주로 연구한다. 논저로 Understanding L2 Korean Learner Errors: Description, Explanation and Implications (2017), Korean Language Education: Australian Practices and Perspectives (2018), Korean Heritage Language Maintenance, Learning and Development: Australian Practices and Perspectives (2019) 등이 있고, 논문으로 “Korean language learning in socio-educational settings in Sydney: Motivation, learning-styles and learning experiences” (2020), “Error Analysis” (2022), “Heritage language maintenance and education in Korean communities: Perspectives, challenges, and implications from three countries” (2023) 등이 있다.
펼치기
고상두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 명예교수이다. 세계정치학회 연구분과위원장(RC42), 한국슬라브학회 및 한국정치정보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연세-SERI EU센터 소장을 하였다. 주 관심분야는 지역정치, 비교정치이며, 세부적으로는 유럽과 동북아의 교차 지역 비교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 『지역학의 이해와 연구방법』이 있으며, Journal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Integration, Korea Observer, Asia-Europe Journal, International Peacekeeping, Pacific Focus, Issues & Studies 등에 논문을 출판하였다.
펼치기
이은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수학하고, 독일 괴팅겐대학을 졸업했다. 동 대학에서 정치학 박사를 받은 후 독일 할레대학에서 교수자격을 받았다. 현재 베를린자유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소장 겸 동아시아대학원 원장이며, Korea-Europe Review의 편집인이다. 2016년에 베를린-브란덴부르크학술원(구 프러시아 왕립학술원) 정회원으로 선출되었고, 2013년에는 유럽아카데미(아카데이미아 오이로페아) 정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알렉산더폰훔볼트재단, 저팬화운데이션(2001-2002) 등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펠로우십을 받았다. 2019년에는 통일 연구에 기여한 공로로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다. 10권의 단독 저서와 100편이 넘는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최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동남아학회 이사, 한국국제정치학회 편집위원, K-콘텐츠 아카데미포럼 이사 등을 맡고 있다. “한국 속 ‘동남아현상’ 연구: 근원과 경로”, “동남아 민주주의 심화와 헌정공학: 권력공유와 책임성을 중심으로”, “동남아의 이슬람화: 이상과 현실”, “‘문화에 민감한’ 시장진출 전략과 지속가능한 경제협력: 말레이-이슬람문화권의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사례연구”, “이슬람금융은 대안적 금융인가? 동남아 이슬람금융의 원리와 실천” 등 다양한 연구주제로 동남아 지역연구를 수행했다. 가장 최근에는 『봄의 혁명: ‘새로운 미얀마’를 향한 담대한 행보』(공저, 2024)를 출간하였다. 특히 2023년 한국과 인도네시아 수교수립 50주년을 맞이하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방안연구』(공저, 2022)와 “인도네시아 한류의 수용과 수행에 나타난 문화경제적 상호작용 연구”(2023) 등을 통하여 양국의 발전 관계를 조명하였다. 앞으로도 한국에서의 인도네시아학, 인도네시아에서의 한국학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펼치기
이진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LSE)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겸 국제관계연구소 소장이며, Pacific Focus(SSCI)의 총 편집인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발주한 K학술확산연구사업의 인하대사업단(정체성의 정치와 공공외교의 한국학, https://www. k-road.kr/)의 연구책임자이다. 외교부 자문교수 및 자체평가위원(장), 재외동포재단 자문위원, (사)재외한인학회 이사장 및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외교부 재외동포정책위원회 민간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주 관심분야는 공공외교, 지구촌 한인, 동포정책, 이민정책, 동아시아 국제관계이다. 저서로 『영사업무개론(공저)』(2023), 『한인회 공공외교 활동 가이드』(2023), 『지구촌한인과 공공외교』(2022), 논문으로 “Return Migration of Overseas Koreans and New Governance Making in Korea”(2024), “한국학으로서의 정치외교학의 재구성과 K-Brief의 발간방향”(2022)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성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영국 글라스고대학교(University of Glasgow)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덕성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동 대학교 한국학전공 전공주임을 겸임하고 있다.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주 관심분야는 러시아 외교안보정책과 연방관계, 동북아 안보문제, 유럽/CIS 지역 이주/난민문제, 여성정책 등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의 정치경제학과 한반도』(공저, 2024), 『21세기 뉴페미니즘』(공저, 2023) 등의 저서와 “‘한국학’ 발전과 사회과학적 접근: 정치학을 중심으로”(2023),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의미와 영향”(2022), “탈접촉시대 유라시아 경제협력 방향”(2022), “네트워크 사회와 시리아 난민의 이동”(2021)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영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주의 울릉공대학교(University of Wollongong)에서 학부과정 사회학 전공,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 석사, 에딘버러 대학교(University of Edinburgh) 정치학과 국제정치학 석사를 거쳐 쉐필드대학교(University of Sheffield)에서 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에딘버러대학교의 스코틀랜드 한국학연구소 소장이자 한국 중앙연구소 지원의 중핵 프로그램 책임자이기도 하다. 현재 영국의 주요 연구 지원 재단인 ESRC, AHRC, UKRI의 심사위원단(peer review college member)을 역임하고 있다. 정당 정치, 인터넷 액티비즘, 포퓰리즘, 선거, 젠더 갈등, 소프트 파워, 한류, 도시 정책 등을 주제로 연구해왔다. 주요 저서로 The Politics of Coalition in Korea: Between Institutions and Culture (Routledge, 2011; 2014 paperback edition), Korea’s quest for economic democratization: Globalization, polarization and contention (Palgrave, 2018), 주요 논문으로 “The 2015 parliamentary and 2016 presidential elections in Myanmar” (Electoral Studies, 44, 2016; SSCI-listed, impact 1.203.), “Mandalay, Myanmar: The remaking of a South-East Asian Hub in a Country at the Crossroads” (Cities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Policy and Planning, 72(B), 2018: 274-286; SSCI-listed, impact factor 5.8), “South Korea: Elections amid a pandemic” (The Diplomat, 65, 2020 April), “Adaptation and resistance in and around Korea: The cases of migrant workers, diasporas, labourers and online feminist activists” (European Journal of Korean Studies, 20(2), 2021: 1-5), “Mirroring misogyny in Hell Chos?n. Megalia, Womad, and Korea’s feminism in the age of digital populism” (European Journal of Korean Studies, 20(2), 2021: 101-133), “The 2022 Election in South Korea: The Politics of Resentment and Revenge Confirms Older Trends and Cleavages and Reveals New Ones” (Georgetown Journal of Asian Affairs, 8(1), 2022: 14-22) 등이 있다.
펼치기
김희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 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 고등사회과학대학원(EHESS)에서 사회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프랑스국립동양학대학교(INALCO) 한국학과 소속 부교수이며 프랑스동아시아연구소(IFRAE) 소속 연구원으로 부소장직을 맡고 있다. 동시에 프랑스이민융합연구소(Institut Convergences Migrations) 소속 연구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이민, 종교, 통합, 한국사회, 다문화, 이민정책이다. 공동저서로 『아시아의 이주민, 순환과 이주의 길(Migrant(e)s d’Asie, migrant(e)s en Asie. Circulations et trajectoires migratoires plurielles)』 (Isabelle Konuma & Pauline Cherrier (dir.), 2024)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La politique d’immigration en Coree du Sud a l’epreuve de la ≪ coreanite” (2024), “The Multiple Role of Korean Missionaries in the Making of Transnational Belonging” (2022), “Communalisation religieuse et pluralite nationale : l’accueil des migrants par les Eglises protestantes en Coree du Sud”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박룡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베이징대학교(Peking University) 정부관리학원 정책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정책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9년 가을학기부터 난징대학교(Nanjing University)에서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2023년부터 상하이교통대학교(Shanghai Jiao Tong University) 행정학과 교수로 재임 중이며, 옌벤대학교(Yanbian University) 인문사회과학학원 석좌교수로 겸직 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경제정책, 정치경제, 정책평가, 동아시아 국제관계이다. Asian Survey, Journal of Asian and African Studies, Armed Forces & Society 등 SSCI 학술지에 1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대표 연구로 “Political Uncertainty and Corporate Investment: Evidence from the Chinese Private Companies” (2023), “The Effect of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s Anticorruption Campaign on the Performance of State-Owned Enterprises”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나동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및 성균관대학교 스포츠과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캐나다 오타와대학교(Universtiy of Ottawa)에서 스포츠사회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오타와대학교 연구조교, 중동공과대학교 교환강사,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전임연구원 등을 거쳐 현재 경희대학교 아시아태평양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이다. 캐나다한인과학기술자협회 청년분과 회장, 오타와청년한인과학기술자협회 회장, 오타와한인청년회 부회장 등을 거치며 한인사회의 발전과 재외동포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주 관심분야는 스포츠와 개발, 공공외교, 국제개발협력이며, 현재 Emerald Publishing의 Sport in Korea: Culture, Politics, and Policy와 Routledge의 Global South Voice on Sport for Development and Peace 저서 작업에 참여 중이다. 논문으로 “The Dual Nature of Constraints on Foreign Worker Participation in Sports and Physical Activity in South Korea during the COVID-19” (2023), “The Forthright Political Stance of Sport for Development in Korean Official Development (2022), The Diplomatic Roles of Korean State-Run Sport for Development Programs (2022)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