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환경사상의 흐름

환경사상의 흐름

(데카르트에서 포스터까지, 자연을 사유한 10인의 사상가)

김일방 (지은이)
그린비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750원
23,000원 >
22,500원 -10% 2,500원
0원
2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환경사상의 흐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환경사상의 흐름 (데카르트에서 포스터까지, 자연을 사유한 10인의 사상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76826930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2-11-18

책 소개

해질녘 스쿨 1권. 근·현대 사상가들의 자연에 관한 사유의 궤적을 추적하여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는 데 주력하고 있는 책이다.

목차

지은이의 말 —5

1장 환경사상이란 무엇인가? 19

1. 환경사상과 환경철학·환경윤리학의 관계 —19
2. 환경사상의 의의 —22
3. 자연관의 흐름 —25
4. 환경사상의 간략한 흐름 —37
생각해 볼 문제 —60

2장 르네 데카르트

기계론적 자연관은 자연환경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61
1. 데카르트의 자연관을 들여다보는 이유 —61
2. 데카르트철학의 기초 —63
3. 데카르트의 자연관 —69
4. 데카르트 자연관의 형성 배경과 영향 그리고 대안 —78
5. 요약 —98
생각해 볼 문제 —102

3장 존 로크

자연은 순전히 이용 대상에 불과한 것인가? 103
1. 로크의 자연관을 들여다보는 이유 —103
2. 로크철학의 기초 —105
3. 로크의 자연관 —110
4. 로크의 자연관에 관한 고찰과 그 의의 —118
5. 요약 —134
생각해 볼 문제 —137

4장 이마누엘 칸트

자연의 최종목적은 어디에 있는가? 139
1. 칸트의 환경사상을 들여다보는 이유 —139
2. 칸트철학에서의 인간중심주의적 요소 —142
3. 칸트철학에서의 비인간중심주의적 요소 —146
4. 칸트철학에서 엿볼 수 있는 친환경적 시사점 —162
5. 요약 —173
생각해 볼 문제 —177

5장 한스 요나스

맑스주의는 자본의 독주를 제어할 수 있는가? 179
1. 요나스의 맑스주의 비판을 들여다보는 이유 —179
2. 요나스가 맑스주의를 문제 삼게 된 계기 —183
3. 요나스의 맑스주의 비판 —185
4. 요나스의 맑스주의 비판에 관한 고찰 —197
5. 요약 —216
생각해 볼 문제 —220

6장 아르네 네스

‘타자 속에서 자신을 발견한다’라는 말은 어떤 의미인가? 221
1. 네스의 환경사상을 들여다보는 이유 —221
2. 네스의 삶과 사상 —225
3. 교육적 시사점과 그 한계 —240
4. 요약 —254
생각해 볼 문제 —258

7장 존 패스모어

‘보전’ 개념에는 대체 어떤 도덕적 문제가 얽혀 있는가? 259
1. 패스모어의 『자연을 위한 인간의 책임』을 들여다보는 이유 —259
2. 패스모어 환경사상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262
3. ‘보전’ 개념에 함의된 도덕적 문제 —266
4. ‘보전’ 개념에 함의된 도덕적 문제에 관한 논의 —268
5. 패스모어의 주장에 대한 정당성 검토 —285
6. 요약 —294
생각해 볼 문제 —297

8장 개릿 하딘

선진국 중심의 환경정책이 지니고 있는 한계는 무엇인가? 299
1. 하딘의 환경사상을 들여다보는 이유 —299
2. 구명보트윤리의 등장 배경과 그 주장 —304
3. 윤리학적 문제 —311
4. 요약 —322
생각해 볼 문제 —325

9장 허먼 데일리 1

밀, 볼딩, 조제스쿠-뢰겐은 데일리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327
1. 데일리와 세 명의 학자를 들여다보는 이유 —327
2. 데일리 환경사상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331
3. 데일리와 세 학자의 관계 —335
4. 데일리 생태경제사상의 형성 배경 —340
5. 요약 —360
생각해 볼 문제 —364

10장 허먼 데일리 2

정상상태경제론은 대체 무엇을 주장하는가? 365
1. 데일리의 주장을 들여다보는 이유 —365
2. 정상상태경제의 개념 —368
3. 정상상태경제의 요청 근거 —373
4. 정상상태경제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 —385
5. 요약 —395
생각해 볼 문제 —401

11장 J. 베어드 캘리콧

동물해방론과 대지윤리의 차이점은 어디에 있는가? 403
1. 캘리콧의 환경사상을 들여다보는 이유 —403
2. 양극 대립이 아닌 3극 대립 —408
3. 양극에 대한 비판과 대지윤리의 기본 원칙 —411
4. 캘리콧이 옹호하는 대지윤리의 관점 —417
5. 캘리콧의 주장에 대한 비판 —424
6. 요약 —433
생각해 볼 문제 —439

12장 존 벨러미 포스터

자본주의는 생태사회주의로 대체되어야 하는가? 441
1. 포스터의 환경사상을 들여다보는 이유 —441
2. 포스터의 환경론: 자본주의 비판론 —445
3. 포스터의 환경론 비판: 생태사회혁명론 비판 —456
4. 요약 —472
생각해 볼 문제 —477

수록글 출처 —479
참고문헌—480
찾아보기—493

저자소개

김일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사범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제주대학교 강사, 한라대학교 겸임교수를 거쳐 현재는 제주대학교 사회교육과에 재직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환경윤리란 무엇인가』, 『모럴 아포리아』(공역), 『삶, 그리고 생명윤리』(공역), 『현대 윤리에 관한 15가지 물음』(공역)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는 『환경문제와 윤리』, 『환경윤리의 쟁점』, 『환경윤리의 실천』, 『생태문화와 철학』(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와 같이 환경철학자들 사이에서 칸트철학에 대한 비판과 옹호 입장으로 나뉘고 있는 이유는 무엇보다 칸트철학의 인간중심주의적 요소 탓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오늘날의 환경위기를 초래한 원인 중의 하나로 인간중심주의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인간이 자연의 주인으로 자처하며 자연 전체를 마치 자신의 노예로 삼아 그 위에 군림하려는 것이 인간중심주의 사고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곰곰이 따져 보면 우리가 환경문제를 염려하고 그 대책을 강구하려는 것은 결국 인간을 연명시키기 위한 시도라 할 수 있다. 비인간중심주의 관점에서 환경문제에 대해 접근하는 것도 사실은 지구 전체를 지키는 것이 앞으로도 인간이 계속 생존하는, 즉 지속가능하게 되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지구라는 대지 위에서밖에 살아남을 수 없다. 그러한 의미에서 환경문제가 인간중심주의를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는 법이다. 따라서 칸트가 인간중심주의자라고 하여 그의 주장에 담겨 있는 생태주의적 요소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배척하는 것은 합리적 처사로 보기 어렵다.


데일리는 인류의 경제가 더 이상은 양적 성장이 불가능한 지점까지 이르렀다는 판단 아래 성장 없는 발전을 그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데일리에 따르면 ‘성장’이란 양적 확대, 곧 재화·서비스의 생산과 소비에 필요한 물질과 에너지의 처리량이 증가하는 것인 반면, ‘발전’이란 처리량당 경제유지력을 개선하고 삶의 기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환언하면 성장이란 게걸스럽게 먹는 양을 늘리고 보다 많은 자원을 보다 많은 폐기물로 바꿔 가는 것인 반면, 발전이란 처리량을 가능한 한 낮은 레벨에서 유지함으로써 가치 있고 만족이 높은 삶을 도모하는 것이다. 발전은 가능하지만 성장은 불가능한 경제, 이것이 데일리의 대안으로 이는 정상상태경제라 불린다. 요컨대 데일리는 양적 확대를 수반하지 않고 경제의 질만이 개선되는 상태를 정상상태경제라 부르며 이것이 곧 지속가능한 발전이라 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