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88976965264
· 쪽수 : 246쪽
· 출판일 : 2007-05-25
책 소개
목차
간행사
머리말
1장 해방,분단,전쟁,이승만 독재
1. 해방 / 2. 혁명적 변화 / 3. 미,소공동위원회 / 4. 분단 정부 수립 / 5. 반공국가를 향해
6. 전쟁 / 7. 전쟁의 피해와 영향 / 8. 영구집권의 야욕 / 9. 민심의 이반
2장 4월혁명과 민주주의
1. 이승만,자유당의 3.15선거 기획 / 2. 마산시위에서 4.19항쟁으로 3. 이승만 정권 무너지다
4. 민주주의의 신장 / 5. 혁명입법 / 6. 통일운동과 사회운동
3장 박정희 군부정권과 학생운동
1. 5.16군부쿠데타 / 2. 진보적 민족주의세력 탄압과 반공 강화 / 3. 민정이양
4. 한.일회담 반대운동 / 5. 한.일협정 비준 파동과 베트남 파병 / 6. 6.8부정선거와 3선개헌
7. 경제발전 / 8. 변화를 추구한 1971년 대선과 총선
4장 유신체제와 반독재투쟁
1. 유신쿠데타 / 2. 반유신 투쟁과 ‘인혁당 사건’ / 3. 긴급조치 9호 시대 / 4. 김영삼, 박정희와 격돌 / 5. 부마항쟁에서 10.26궁정동사태로 / 6. 노동운동.농민운동
5장 광주민중항쟁에서 6월민주항쟁으로
1. 12.12쿠데타와 5.17쿠데타 / 2. 광주민중항쟁 / 3. 전두환 신군부정권 / 4. 2.12총선돌풍
5. 노.학연대와 노동,농민운동 / 6. 6월민주항쟁 1 - 박종철 고문치사와 6?10국민대회
7. 6월민주항쟁 2 - 6.26시위에서 6.29선언으로
6장 민주주의의 진전과 남북의 화해
1. 노동자대투쟁과 문화부문에서의 민주화 / 2. 여소야대 국회의 출현 / 3. 남과 북의 접근
4. 전교조,민주노총의 결성과 농민투쟁 / 5. IMF사태 / 6. 6.15남북정상회담
7. 민주화와 경제발전의 동시 달성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한반도에 장구한 시기에 걸쳐 하나의 국가만이 있었던 것이 기본요인이지만, 대한민국헌법은 한반도 전체를 국토로 명기했고, 북은 헌법에 자신의 수도를 대한민국 수도와 똑같이 서울이라고 명시했다. 두 정부는 자신만이 정통이고 상대방은 괴뢰라고 주장했다. 이승만 정부가 12월에 공포한 국가보안법은 그 점을 명백히 했다. 국가보안법은 사상과 양심, 학문의 자유를 제약했고, 반공은 '국시'로서 민주주의, 민족보다 상위의 최고덕목이었다.-p31 중에서
김대통령은 자본시장 자유화의 극대화를 요구하는 신자유주의 기조 아래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했다. 그런 구조조정의 대표적 사례가 한국통신, 포항제철, 한국전력, 한국중공업, 가스공사, 담배인삼공사 등 국가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경제주권, 국민복지와 밀착되어 있는 대규모 공기업의 민영화였던 바, 그것은 외국자본에의 개방을 의미했다.-p232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