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88977783133
· 쪽수 : 492쪽
· 출판일 : 2015-03-09
책 소개
목차
개정판 서문
초판 서문
제1부 정치학의 기초
제1장 정치학이란 무엇인가?
1. 정치란 무엇인가?
2. 학문으로서의 정치는 가능한가?
3. 정치학 방법론
4. 정치학의 역사, 영역, 분류
제2장 정치학 이론
1. 정치학 이론의 필요성
2. 사회계약론(Social Contract Theory)
3. 마르크시즘(Marxism)
4. 제도론(Institutional Theory)
5. 엘리트주의(Elitism)
6. 행태주의(Behavioralism)
7. 정치집단론과 정치과정론
8. 정치체계론(Political System Theory)
9. 구조 기능주의(Structural Functionalism)
10. 근대화론(Modernization Theory)
11. 합리적 선택론(Rational Choice Theory)
12. 신제도론(New Institutionalism)
13. 비판이론(Critical Theory)
제3장 국가, 시민사회, 거버넌스
1. 국가란 무엇이며,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2. 시민사회의 구조와 역할
3. 세계화와 권력이동
4. 거버넌스의 대두
<보론> 국가론: 국가란 무엇인가에 답하기
제2부 정치권력과 이데올로기
제4장 정치권력, 권위, 정당성
1. 정치현상과 권력, 권위, 정당성
2. 권력이란 무엇인가?
3. 귄위란 무엇인가?
4. 정당성이란 무엇인가?
<보론> 정의란 무엇인가?
제5장 정치 이데올로기
1. 정치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2. 정치 이데올로기의 스펙트럼
3. 정치 이데올로기의 유형
4. 정치 이데올로기를 둘러싼 논쟁
제3부 정치제도와 문화
제6장 민주주의
1.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2. 민주주의는 어떻게 발전하였는가?
3. 민주주의의 경쟁모델
4. 세계화와 민주주의
제7장 공화국과 공화주의
1. 공화국에 대한 관심의 고조
2. 공화국 사상의 기원과 역사
3. 공화주의의 논리적 구조
4. 한국의 헌법과 공화주의
제8장 정치, 법, 헌정주의
1. 법과 정치
2. 민주주의와 헌정주의
3. ‘다른 수단에 의한 정치’와 사법의 정치화
4. 헌법 개정의 정치
제9장 정부형태
1. 정부형태란 무엇인가?
2.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
3. 다수제와 합의제
4. 연방제와 일원제
5. 한국의 정부형태
제10장 정치, 문화, 사회화
1. 정치, 문화, 사회화
2. 정치문화의 특징과 유형
3. 정치교육과 정치문화의 내면화
4. 정치문화와 정치변동
5. 정치사회화와 민주주의
6. 불평등기제로서의 정치사회화
제4부 정치적 상호작용
제11장 정당정치
1. 정당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발전하였는가?
2. 정당의 조직과 기능
3. 정당체계의 유형
4. 정당의 쇠퇴?
5. 한국의 정당정치
제12장 선거와 의회정치
1. 대의제 정치와 선거
2. 선거제도의 두 유형: 다수대표제와 비례대표제
3. 독일의 선거제도
4. 민주정치에서의 의회
5. 유럽의 의회정치
6. 한국의 선거제도와 의회정치
제13장 매스미디어, SNS, 정치 커뮤니케이션
1. 매스미디어, 정치, 커뮤니케이션
2. 미디어의 역할: 공론장의 강화 혹은 동의의 제조?
3. 미디어 집중과 정보 불평등
4. 소셜 네트워크와 정치커뮤니케이션의 변화
5. 인터넷은 민주주의를 이끄는가?
제14장 복지국가와 정치
1. 복지국가란 무엇인가?
2. 복지국가의 역사적 전개
3. 세계화와 복지국가의 재편
4. 복지국가의 전망
제15장 사회운동과 집단정치
1. 시민사회와 사회운동
2. ‘68혁명’과 신사회운동의 대두
3. 신사회운동으로서의 환경운동: 독일의 사례
4. 사회운동과 집단정치
제16장 민주화와 정치변동
1. 민주화와 정치변동
2. 민주화의 요인과 경로
3. 남유럽의 민주화 사례
4. 한국의 민주화와 정치변동
5. 세계화 시대 민주화의 현실
사항 색인
인명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