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1세기의 북한과 러시아

21세기의 북한과 러시아

(신화(神話), 비화(秘話) 그리고 진화(進化))

박종수 (지은이)
오름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1세기의 북한과 러시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1세기의 북한과 러시아 (신화(神話), 비화(秘話) 그리고 진화(進化))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77783591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2-02-25

책 소개

한반도 문제는 민족 내부의 문제이면서도 외교적 해결을 요하는 매우 복잡한 퍼즐과 같다. 러시아는 엄연히 남북한 분단의 책임과 통일의 지분을 갖고 있는 대주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서는 ‘러시아 없는 북한, 러시아 없는 한반도 통일’을 기대할 수 없다는 저자의 절박한 심정을 담아 집필했다.

목차

프롤로그: 러시아를 잡아라!

제1부 신화냐 역사냐
Ⅰ 선사시대(先史時代)
Ⅱ 하바로프스크 웅비
Ⅲ 대일(對日)전 참전
Ⅳ 해방 당한 민족
Ⅴ 북한정권의 설계도면
Ⅵ 화룡점정(畵龍點睛)
Ⅶ 금의환국(錦衣還國)

제2부 애증의 비사(秘史)
Ⅰ 김일성 정권의 탄생과 스탈린
Ⅱ 흐루시초프 노선과의 갈등
Ⅲ 브레즈네프의 이중성
Ⅳ 체르넨코와의 동거
Ⅴ 고르바초프와의 악연
Ⅵ 옐친의 분노에 함몰된 러북 관계
Ⅶ 구세주 푸틴

제3부 미완의 비화(秘話)
Ⅰ 김정일과 탯자리
Ⅱ 주체와 주체사상
Ⅲ 경계인 박헌영
Ⅳ 소련파 숙청
Ⅴ 휴전선 마그마
Ⅵ 성혜림의 한(恨)
Ⅶ 왕의 남자, 왕자의 여자
Ⅷ 두만강 위 친선교의 침묵
Ⅸ 러북 간 영혼은 하나?

제4부 역사는 진화한다
Ⅰ 핵의, 핵에 의한, 핵을 위한 정권
Ⅱ 100% 탕감이냐, 1% 상환이냐
Ⅲ 무기 없는 선군 없다
Ⅳ 윈윈(WIN-WIN)하는 철의 실크로드
Ⅴ 러시아 내 북한, 북한 내 러시아

참고문헌
지은이 소개

저자소개

박종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1년 대학에 복학하면서 통일을 위해 ‘북방외교의 기수’가 되겠다고 다짐했다. 1988년 서울올림픽 후 영국 런던대학교에서 공부하다가 한러 수교와 함께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교로 옮겼다. 1990년대 소련이 해체되는 혼란기에 7여 년간 유학 생활을 하며 러시아식 ‘고난의 행군’을 경험했다.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실무로 복귀해 본국과 주러시아 대사관에서 일했다. 2009년 명예퇴직 후 아카데미와 정치 일선을 오가면서도 북방외교에 대한 초심을 잃지 않았다. 문재인 정부의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신북방정책을 총괄했다. 그러나 북방정책은 여전히 미완의 블루오션이다. 45년의 세월이 속절없이 지났다. 분단국에서 태어났지만 통일국에서 생을 마감할 수 있기를 소원한다. 2045년 광복· 분단 100주년을 데드라인(Deadline)으로 설정해 보았다. 저서로 《러시아와 한국》(2002), 《21세기 북한과 러시아》(2012, 간행물윤리위원회 우수저작), 《북방에서 길을 찾다》(2018, 총괄 집필, 문재인 정부의 신북방정책 지침서), 《현대 북러관계의 이해》(2021), 《북방경제협력위원회 북방백서》(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