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77784116
· 쪽수 : 536쪽
· 출판일 : 2013-11-29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정우탁)
머리말 (박흥순, 조한승)
제1장 유엔의 기원, 발전, 역할과 국제사회 (박흥순)
Ⅰ. 서론
Ⅱ. 유엔의 창설 및 발전 역사
Ⅲ. 유엔체제의 현황 개요
Ⅳ. 유엔, 유엔학과 국제정치이론의 이해
Ⅴ. 유엔, 국제사회의 미래와 세계평화
Ⅵ. 결론: 유엔의 이해와 연구를 위한 과제
제2장 유엔의 구조와 과정 (박재영)
Ⅰ. 서론
Ⅱ. 유엔의 구성요소와 지위
Ⅲ. 유엔의 조직구조(organizational structure)
Ⅳ. 유엔의 의사결정
Ⅴ. 유엔의 재정
Ⅵ. 유엔과 다른 기구와의 관계
Ⅶ. 결론
제3장 세계안보와 유엔의 역할 (이신화)
Ⅰ. 서론
Ⅱ. 유엔의 ‘안보역할’과 안보이슈
Ⅲ. 유엔 안보역할 확대의 성과와 한계
Ⅳ. 결론
제4장 인권, 환경, 개발과 유엔의 역할 (오영달)
Ⅰ. 서론
Ⅱ. 유엔과 인권보호
Ⅲ. 유엔과 지구환경보호
Ⅳ. 유엔과 개발
Ⅴ. 결론
제5장 유엔과 비정부기구 (정우탁)
Ⅰ. 서론
Ⅱ. NGO의 개념과 분류
Ⅲ. NGO의 기능
Ⅳ. NGO의 발전과정 및 유엔과의 관계 변화와 그 요인
Ⅴ. 유엔과 NGO의 관계
Ⅵ. 결론
제6장 유엔 개혁의 주요 쟁점과 도전과제 (조한승)
Ⅰ. 서론
Ⅱ. 유엔 개혁의 배경과 전개 과정
Ⅲ. 유엔 개혁의 주요 논의
Ⅳ. 유엔 개혁의 도전과제
Ⅴ. 결론
제7장 유엔과 한국, 그리고 세계평화 (이서항)
Ⅰ. 서론
Ⅱ. 유엔과 한국의 관계: 유엔의 한국문제 개입과 관계 전개
Ⅲ. 새로운 국제환경의 부상: 유엔의 기회와 도전
Ⅳ. 21세기 한국의 유엔외교: 성과와 평가
Ⅴ. 결론: 세계평화를 향한 한국의 유엔외교의 과제
부록
참고문헌
색인
필자 소개(가나다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