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4차 산업혁명과 첨단 방위산업

4차 산업혁명과 첨단 방위산업 (양장)

(신흥권력 경쟁의 세계정치)

김상배, 박종희, 성기은, 양종민, 엄정식, 이동민, 이승주, 이정환, 전재성, 조동준, 조한승, 최정훈, 한상현 (지은이), 김상배 (엮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4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8,000원 -0% 0원
480원
47,5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4차 산업혁명과 첨단 방위산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4차 산업혁명과 첨단 방위산업 (양장) (신흥권력 경쟁의 세계정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46072862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1-03-10

책 소개

서울대학교 미래전연구센터 총서 2권. 미래의 전쟁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4차 산업혁명의 변수를 파헤치고, 미국·중국과 같은 강대국과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신흥권력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각 경쟁 주체들이 어떤 전략으로 임하고 있는지 분석했다.

목차

제1부 제1부4차 산업혁명과 첨단 방위산업
제1장 4차 산업혁명과 첨단 방위산업: 신흥권력 경쟁의 세계정치 _김상배
제2장 4차 산업혁명과 무인무기체계 산업: 이중 용도 기술개발과 군-산-학 네트워크_ 조한승
제3장 드론산업의 정치경제: 중국의 ‘드론 굴기’와 미중 경쟁_ 이승주
제4장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우주산업 변화 요인_ 엄정식

제2부 주요국의 첨단 방위산업 전략
제5장 미국의 방위산업체 현황과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_ 전재성
제6장 미중 경쟁 시대의 중국의 최첨단 방위산업 정책_ 이동민
제7장 일본 아베 정권의 방위산업 전략 딜레마_ 이정환
제8장 중견국의 군사혁신과 방위산업: 스웨덴, 이스라엘, 한국, 터키 비교 연구_ 최정훈
제9장 한국의 드론 전력 강화와 방위산업 발전 방안: 이스라엘 방위산업 사례의 함의를 중심으로_ 성기은

제3부 첨단 방위산업의 네트워크와 규범
제10장 군-산-대학-연구소 네트워크: 게임의 밀리테인먼트_ 양종민
제11장 방위산업 세계화의 정치경제: 국가와 시장, 그리고 네트워크_ 박종희
제12장 이중 용도 품목 수출통제 정책을 활용한 미중 기술 경쟁: 바세나르 협정을 중심으로_한상현
제13장 첨단 방위산업의 국제 규범_ 조동준

저자소개

전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자 재단법인 동아시아연구원(East Asia Institute) 국가안보연구센터 소장이다. 외교부/통일부/국방부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2021),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장,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부원장직을 맡은 바 있다. 일본 게이오 대학교 방문교수를 2년 간 역임한 바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국제정치이론, 국제관계사, 동아시아 안보론, 한국외교정책 등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석사를 거쳐,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국제정치이론으로 국제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저서로는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불완전 주권국가들의 국제정치』(서울: 한울, 2020), 『주권과 국제정치: 근대주권국가체제의 제국적 성격』(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정치는 도덕적인가: 라인홀드 니버의 초월적 국제정치사상』(서울: 한길사, 2012), 『동아시아 국제정치: 역사에서 이론으로』(서울: 동아시아연구원,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과 한국국제정치학회·한국사이버안보학회 회장직을 역임했다. 단독 저서인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은 2014년도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미래전연구센터장을 맡으면서 신흥안보와 사이버· AI·우주 안보, 디지털 경제, 국방혁신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상배의 다른 책 >
조동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외교학 석사 미국 펜실배니아주립대 정치학 박사 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부원장 주요 논저 “코로나-19와 지구화의 변화.” 국제정치논총 (2020). “신호이론으로 분석한 2013년 한반도 위기.” 평화학연구 (2019). “Bringing International Anti-Landmine Norms to Domestic Politics.” Review of Korean Studies (2008). “Bargaining, Nuclear Proliferation, and Inter-state Disput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2009).
펼치기
조동준의 다른 책 >
조한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미주리대학교 컬럼비아캠퍼스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코로나 팬데믹과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 실패 원인과 협력의 가능성”(2021), “동아시아 보건안보의 쟁점과 협력”(2018), 『멀티플 팬데믹』(2020,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승주 (엮은이)    정보 더보기
EAI 무역 기술 변환센터 소장.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국제정치경제, 통상의 국제정치, 글로벌 디지털 거버넌스 등이다. 주요 저서 및 편저로는 『미중경쟁과 디지털 글로벌 거버넌스』(이승주 편), 『사이버 공간의 국제정치경제』(이승주 편), “세계 경제의 네트워크화와 미중 전략 경쟁: 복합 지경학의 부상,” “경제?안보 넥서스(nexus)와 미중 전략 경쟁의 진화,” “Institutional Balancing and the Politics of Mega FTAs in East Asia,” 『Northeast Asia: Ripe for Integration?』(공편) 등이 있다.
펼치기
박종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2007년 워싱턴대학교(세인트루이스)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고 시카고대학에서 정치학과 조교수로 근무했으며 2012년부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에서 국제정치경제와 사회과학 방법론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연구주제로는 국제무역, 경제안보, 베이지안 사회과학 방법론, 선거여론조사에 대한 메타분석, 국제뉴스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실험방법을 이용한 외교정책 태도 연구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사회과학자를 위한 데이터 과학』, 『정치학 방법론 핸드북』(편), 『개발협력의 세계정치』(편)가 있으며 국내외 주요 저널에 다수의 논문(http://jhp.snu.ac.kr 참조)을 발표한바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경제안보클러스터 연구책임자와 국제문제연구소의 국제정치데이터센터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엄정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군사관학교, 서울대학교 문학사 ·서울대학교 외교학(국제정치) 박사 ·現 공군사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現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우주안보 연구위원 ·現 한국우주안보학회 상임이사 ·블로그: 우주안보의 세계 (http://blog.naver.com/space_power) ·저서: 『우주안보의 이해와 분석 (박영사, 2024)』, 『미래전의 도전과 항공우주산업 (공저, 사회평론아카데미, 2023)』 등
펼치기
성기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육군사관학교 정치사회학과 교수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육군사관학교 정치사회학과장을 역임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국제분쟁, 자연어 분석, 통계적 방법론, 미래전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국의 군사혁신(RMA) 담론연구”(2022), “한국 육군 개혁 담론의 구성에 관한 연구”(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양종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국제협력연구본부 다자협력연구실 부연구위원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University of Florida)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문화산업의 정치경제, 국가-시장관계, 디지털사회의 다자협력 등이다. 대표 논문으로 「디지털미디어 콘텐츠 플랫폼의 정치경제: 자유시장의 관리 vs. 보호된 자유경쟁」(2022), 「군-산-대학-연구소 네트워크: 게임의 밀리테인먼트(Militainment)」(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양종민의 다른 책 >
최정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외교학 전공 석사과정을 이수하면서 미래전연구센터 총괄조교로 재직하고 있다. 주 관심 분야는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국제정치의 변화다. 특히 우주·사이버 분야와 같은 신흥 영역의 이슈들이 기존 국제정치와 결합하여 발생하는 변화의 양상과 새롭게 등장하는 갈등의 향방, 그리고 그에 대한 대응책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펼치기
한상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톨릭대학교 국제학부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외교학 전공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국제관계를 전공하고 있으며, 신흥기술이 국제정치에 끼치는 영향과 경제?안보?기술 넥서스의 결합을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연구보조원으로 활동하면서 우주, 4차 산업혁명과 육군, 미중 경쟁 시대의 수출입통제정책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펼치기
김상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과 한국국제정치학회·한국사이버안보학회 회장직을 역임했다. 단독 저서인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은 2014년도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미래전연구센터장을 맡으면서 신흥안보와 사이버· AI·우주 안보, 디지털 경제, 국방혁신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상배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최근 첨단 방위산업의 기술혁신 과정을 보면, 민군의 경계가 없어졌을 뿐만 아니라 예전과는 반대로 민간기술이 군사 부문으로 유입되는 이른바 스핀온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과거에는 미사일, 항공모함, 핵무기 등이 이른바 게임 체인저였고 그 중심에 군이 있었다면,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인공지능, 3D 프린팅,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과 같이 민간에 기원을 둔 기술들이 게임 체인저의 자리를 노리고 있다. 오늘날 민간 부문의 기술개발이 훨씬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새로운 군사기술이 개발되는 경우에도 민군 양쪽의 용도를 모두 충족시키려고 한다. 과거 군사기술이 군사적 목적으로만 개발되어 이용됐다면, 지금은 좋은 민간기술을 빨리 채택해서 군사 부문에 접목시키고 민간 부문에도 활용하는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_ 제1장 4차 산업혁명과 첨단 방위산업


이스라엘의 유기적인 군-산-학 연계 프로그램은 청년들에게 높은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고 이들이 학습한 능력을 국가를 위해 사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가용 자원이 취약한 이스라엘이 높은 수준의 인적 자원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병력 충원을 징병제에 의존하는 이스라엘군은 ICT, 인공지능, 무인화 기술 등 첨단기술 부문에서의 유능한 청년들을 선발하여 사이버첩보, 전자전, 지형정보, 정밀관측 등의 업무에 투입하여 관련 기술을 교육·훈련시켜 군사작전에 활용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에 선발된 청년들은 군복무와 대학 과정을 병행하며 복무 중에 형성된 도전정신과 동료애를 바탕으로 전역 후 의기투합하여 실용적인 신기술을 개발하고 스타트업을 시작한다. 정부와 기업은 이 스타트업들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도록 지원하고 궁극적으로는 이스라엘의 기술력과 경제적 이익 및 국제적 지위 향상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한다. 대학-군 연계 인력 양성 프로그램으로는 과학기술 엘리트 장교 양성 프로그램 탈피오트, 기계공학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브라킴 프로그램, 정보전문요원 양성 프로그램 하바찰롯 등이 대표적이다. _ 제2장 4차 산업혁명과 무인무기체계 산업


미국과 중국의 드론산업은 발전 경로에 있어서 커다란 차이를 보이며 성장해 왔다. 중국 제조업체들은 자체적인 기술 혁신 능력에 기반해 성장을 지속하고, 서비스에서도 드론 배송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도시와 농촌이 지리적으로 적절한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이 중국의 드론 서비스 산업 성장에 유리한 한 가지 이점이다. 드론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라스트 마일 배송last mile delivery’인데, 중국은 이러한 면에서 도시와 농촌 간 최적의 조합이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징둥닷컴JD.com이 2017년 100여 개 지방을 담당하는 드론 배송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드론 배송의 최강자인 SF 익스프레스SF Express가 해외 기업으로서는 최초로 중국에서 드론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드론 운용 면허를 획득한 것도 지리적 요인이 작용했다. _ 제3장 드론산업의 정치경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