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캄보디아.라오스

캄보디아.라오스

(동남아학총서 8)

권율, 김성주, 송위지, 양승윤, 차상호, 김홍구, 김영애, 이요한, 정우탁 (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캄보디아.라오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캄보디아.라오스 (동남아학총서 8)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동양문화읽기
· ISBN : 9788974643676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08-08-28

목차

캄보디아

제1장 캄보디아 국가개요
I. 국가와 국토
II. 자연환경
III. 인구와 종족
IV. 정부구조와 정치개황
V. 경제사회 개황
VI. 프놈펜의 역사와 문화

제2장 캄보디아의 대외관계
I. 개 요
II. 주요 외교현안
III. 외교관계 현황

제3장 캄보디아의 역사와 문화
I. 들어가는 말
II. 인도문화와 고대 왕국
III. 서구열강 시대의 캄보디아
IV. 일본 식민통치 하의 캄푸치아
V. 끝맺음 말

제4장 격랑의 캄보디아 현대정치사
I. 시작하는 말
II. 시하누크 시대: 1953-1970
III. 크메르공화국 시대: 1970-1975
IV. 민주캄푸치아 시대: 1975-1978
V. 캄푸치아인민공화국 시대: 1979-1989
VI. 캄보디아국 시대: 1989년 이후
VII. 끝맺음 말

제5장 캄보디아 현대정치이데올로기의 변동
I. 전통왕조와 식민통치의 이중구조
II. 시하누크의 권위주의체제와 중립정책
III. 론 놀의 우익노선과 친미정책
IV. 폴포트의 공산체제와 급진적 개혁정책
V. 헹 쌈린의 공산정권과 개혁개방정책
VI. 시하누크의 입헌군주제와 권력구조

제6장 캄보디아의 실력자 훈 센
I. 변화와 기회
II. 시하누크 왕가와 훈 센
III. 훈 센 가(家)로 변모해 가는 캄보디아

제7장 캄보디아 경제현황과 개발과제
I. 개 요
II. 캄보디아 경제의 특징
III. 경제개발전략과 개발계획
IV. 최근 경제현황 및 주요현안
V. 향후 전망 및 개발과제

제8장 캄보디아의 현대사회구조
I. 시작하는 말
II. 캄보디아의 인구통계학적 사회분석
III. 캄보디아의 교육현황
IV. 캄보디아의 의료보건 현황
V. 캄보디아의 주택.전기.수도보급 현황
VI. 캄보디아의 사회문제
VII. 끝맺음 말

제9장 캄보디아의 불교문화
I. 캄보디아 불교의 역사
II. 앙코르 와트와 앙코르 톰
III. 불교도의 생활


라오스

제10장 라오스의 국가개요
I. 국가와 국토 201
II. 자연환경 203
III. 인구?종족?종교
IV. 라오스의 정부조직
V. 경제사회 개황
VI. 주요 도시

제11장 라오스의 대외관계
I. 개 요
II. 주요 국가와의 외교관계
III. 대 남북한 외교관계

제12장 라오스 약사(略史)
I. 라오족의 정착과 왕국의 창건
II. 란쌍왕국의 흥망
III. 프랑스 식민통치하의 라오스
IV. 라오스의 독립운동과 내전
V. 라오인민민주공화국의 성립

제13장 라오스 현대정치와 경제정책
I. 라오스의 국가형성과 전개
II. 라오스의 공산체제와 사회주의화정책
III. 라오스의 정치체제와 제한된 개혁정책
IV. 라오스의 경제체제와 자유화 정책
V. 끝맺음 말

제14장 라오스의 경제정책과 발전전망
I. 라오스 경제의 발전과정
II. 경제사회 발전과 대외협력
III. 라오스 경제사회발전의 미래

제15장 라오스 경제현황과 개발과제
I. 개 요
II. 경제개혁정책의 특징과 성과
III. 경제개발전략과 개발계획
IV. 부문별 경제현황과 주요 현안
V. 경제개발의 과제와 전망

제16장 라오스의 불교문화
I. 개 요
II. 주요 불교사원

찾아보기

저자소개

권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개발경제학과 국제경제학을 전공하여 경제학 박사학위(1999년)를 받았다. 관심 분야는 동남아 지역연구, 동아시아 경제통합, 한국의 원조정책에 대한 연구이고,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연구위원으로 동서남아팀장과 국제개발협력팀장을 겸직한다. 일본 게이오대학교, 싱가포르 동남아시아연구소(ISEAS), 하와이 동서문제연구소(EWS)의 객원연구원을 역임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 지역학 합동과정 겸임교수로서 동남아경제론과 국제개발협력론 등을 강의한다. 최근의 연구로는 “동아시아 지역주의: ASEAN의 시각과 전략”(2004), [ASEAN+3 협력체제의 성과와 정책과제](2006, 공저), [우리나라 대외원조정책의 선진화 방안](2006,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성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정치학박사학위를 취득(1986)했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국가전략대학원장, 한국정치외교사학회장, 한국국제정치학회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현대한국정치론』(공저, 1996), 『동남아의 정당정치』(공저, 2001), 『대외정책론』(공저, 2007), “6.15정상회담이후 남북한관계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전제”, 『국제정치논총』(2002), “동북아 지역정체성과 지역공동체: 관념과 제도”, 『한국정치외교사논총』(2009), “그리스도교, 국가, 그리고 아나키즘: 절대자유의 사상에 관한 고찰”, 『한국정치외교사논총』(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송위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리랑카 국립 켈레니야대학 대학원에서 불교철학을 공부한 뒤 을지대학교 교수로 재직했고, 불교환경연대 중앙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성원불교대학 학장과 한국문화연구소장으로 있다. 펴낸 책은 《불교 속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가 있고, 《동남아불교사》를 함께 썼다.
펼치기
양승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대 명예교수. 한국외대 졸업, 인도네시아 가쟈마다대학교 정치학 박사. 한국외대 말레이 · 인도네시아어과 교수 역임. 주요 저서로 《인도네시아사》 《작은 며느리의 나라, 인도네시아》 등과 공저로 《바다의 실크로드》 《동남아의 이슬람》 등이 있다. 현재 인도네시아 가쟈마다대학교 사회과학대 강의교수.
펼치기
차상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아주지역연구학과 졸업(정치학 석사), 태국 국립 쫄라롱건대학교 대학원 수료, 동국대학교 대학원 장치학과 졸업(정치학 박사),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 교수.
펼치기
김홍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태국의 치앙마이대학교와 까ㅤㅆㅔㅅㅤㅆㅏㅅ대학교 객원교수로 근무했다. 부산외국어대학교 동남아창의융합학부 교수로 재직했으며, 한국동남아학회장, 한국태국학회장, 국제지역학회장, (사)한국동남아연구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부산외국어대학교 총장이다. 저서로는 『태국문화의 즐거움』, 『태국 정치입문』, 『한국의 동남아시아연구』(공저), 『동남아불교사』(공저), 『문화로 배우는 타이어 강독』(공저), 『지역연구 방법론』(공역), 『아세안: 경제발전과 경제협력』(공역), 『동남아 정치변동의 동학』(공저), 『한국 기업의 현지화 경영과 문화 적응: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공저), 『동아시아아의 한류』(공저), 『한국 속 동남아 현상』(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한국의 태국 연구: 동향과 과제”, “태국의 왕위계승연구: 쟁점과 전망”, “태국 승가법과 국가권력”, “재태한인의 특성과 태국에 대한 인식”, “태국의 경제위기와 정치적 선택”, “태국의 선거제도 변화와 정당체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영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태국어를 전공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지역학 석사 학위(태국 외교)를 취득했다. 그 후 태국의 쭐라롱껀 대학교 대학원으로 유학을 떠나 국제관계학과에서 공부하면서부터 태국 역사와 문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귀국한 후 고민 끝에 전공을 바꾸어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과에서 비교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 교수로 봉직하다가 정년퇴직했다.
펼치기
이요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아세안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분야는 아세안 및 메콩 국제관계이며 주요 논문으로는 〈일본의 대 메콩 외교 전략과 협력 거버넌스〉(2020), 〈중국의 일대일로와 란창-메콩 협력 거버넌스: 쿤밍-비엔티안 철도 인프라 구축을 중심으로〉(2022), 〈초국경 댐 개발에 관한 수자원 외교: 메콩강위원회의 역할과 과제〉(2023) 등이 있다.
펼치기
정우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원장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 박사 연구분야: 국제기구, 국제개발협력, 국제이해교육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