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국제기구와 한국외교 (이론과 실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77784499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5-08-25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77784499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5-08-25
책 소개
유네스코 아태교육원 국제기구 총서 10권. 다자외교의 발전과 국제기구의 창설과 진화의 의미를 되새겨본다. 유엔의 집단안보를 비롯하여 제재, PKO, 평화조성, 평화구축 등은 국제사회의 참여와 협력을 바탕으로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를 유지 혹은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목차
머리말 (박흥순)
제1장 한국과 국제기구: 역사적 고찰 (정우탁)
Ⅰ. 한국과 국제기구 관계의 역사적 고찰
Ⅱ. 한국과 국제기구 관계: 평가와 과제 그리고 제언
제2장 한국과 국제기구외교: 다자외교 정책결정의 이해 (박흥순)
Ⅰ. 서론
Ⅱ. 한국 다자외교의 발전과 국제기구외교
Ⅲ. 한국의 다자외교 정책결정체제 및 요인
Ⅳ. 한국 다자외교의 전개 및 결과
Ⅴ. 한국의 다자외교 발전의 특징과 과제
Ⅵ. 결론
제3장 한국, 국제기구 및 글로벌 거버넌스: 미래의 과제 (이신화)
Ⅰ. 서론
Ⅱ. 한국의 국제기구 진출 및 국제기구 유치
Ⅲ. 한반도와 동북아 안보, 그리고 국제기구의 역할
Ⅳ. 결론
제4장 [특별세션] 한국의 유엔외교와 글로벌 거번너스: 국제사회와 외교현장의 시각
Ⅰ. 서론
Ⅱ. 아메리카 대륙의 지역체계와 미주기구의 발전
Ⅲ. 미주기구의 구조와 활동
Ⅳ. 미주기구의 과제와 미래
Ⅴ. 결론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유엔기구 조직도
[부록 2] 외교부 조직도
[부록 3] 전 세계 국제기구 주요 소재지
[부록 4] 전 세계 및 아시아 주요 국가의 유엔 분담금
[부록 5] 유엔 PKO 파병 현황
[부록 6] ODA 공여 현황
색인
필자 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