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4차 산업혁명과 남북관계

4차 산업혁명과 남북관계

(글로벌 정보화에 비춘 새로운 지평)

김상배, 이승주, 신범식, 김유향, 강하연, 송태은, 신성호, 이신화, 조한승 (지은이), 김상배 (엮은이)
사회평론아카데미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660원
21,3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4차 산업혁명과 남북관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4차 산업혁명과 남북관계 (글로벌 정보화에 비춘 새로운 지평)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88108886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18-12-03

책 소개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총서 20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 또는 글로벌 정보화의 맥락에서 펼쳐지는 남북관계의 새로운 지평에 대한 기대에서 출발한 책이다. IT산업, 전자상거래, 문화콘텐츠 등과 같은 4차 산업혁명 분야의 남북 교류협력에 주목하였다.

목차

책머리에

1부 남북관계의 새로운 지평
1장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남북관계: 협력과 갈등의 새로운 지평
I. 머리말
II. 4차 산업혁명, 새로운 기회와 도전
III. 정보통신 분야의 기회와 도전
IV. 신흥안보 분야의 기회와 도전
V. 맺음말
2장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남북 경제협력
I. 서론: 문제의 제기
II. 이론적 검토
III. 경제협력 방안의 설계
IV. 4차 산업혁명 시대 남북 경제협력의 새로운 모델
3장 북한 에너지체제 구축 과제와 남북 에너지협력 방안
I. 에너지안보 체제의 환경 변화
II. 북한의 에너지 현황
III. 북한 에너지전환의 과제
IV. 북한 에너지체제 구축을 위한 남북 및 국제적 협력 방안
V. 결론

2부 정보통신 분야의 기회와 도전
4장 북한 IT 현황과 남북 IT협력의 과제
I. 머리말
II. 남북 IT협력의 필요성과 의미
III. 디지털 북한의 등장 및 IT발전전략
IV. 북한 IT부문 현황
V. 남북한 IT협력의 현황 및 과제
VI. 결어: 남북 IT협력의 방향
5장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남북관계: 북한의 정보통신(ICT) 인프라, 전자상거래 현황 및 과제
I. 들어가며
II. 북한에서의 ICT의 위상 및 역할
III. ICT로 인해 변화하는 북한의 정치경제
IV. 북한의 전자상거래 현황
V. 마치며: 전자상거래 및 ICT 서비스 분야 남북협력, 그 가능성을 보다
6장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시대의 남북한 문화콘텐츠 교류협력: 북한의 국제평판 개선과 한반도 한류의 창출
I. 서론
II. 북한 문화콘텐츠와 커뮤니케이션의 이중성
III. 향유 대상으로서의 외부 문화콘텐츠
IV. 과거 남북한 문화교류 협력사업의 대상과 성과
V. 남북한 디지털 문화콘텐츠 협력사업의 기대효과
VI. 결론

3부 신흥안보 분야의 기회와 도전
7장 4·27 남북 정상회담과 4차 산업혁명: 남북 군사관계와 국방개혁 2.0
I. 서론
II. 4?27 판문점 선언과 남북 군사관계
III. 4차 산업혁명과 군사혁신
IV. 21세기 한반도 평화체제와 국방개혁
V. 결론
8장 이주 및 난민문제의 외교안보적 도전: 남북한 관계의 맥락
I. 서론
II. 국제이주 및 난민문제의 외교안보적 도전
III. 한국의 이주 및 난민문제의 현황과 외교안보적 도전
IV. 남북한 관계 맥락에서의 이주·난민안보
V. 결론
9장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남북 보건안보와 보건협력 거버넌스
I. 서론
II. 보건안보 개념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보건
III. 대북 보건협력 거버넌스의 과정과 특징
IV. 대북 보건안보 위협요인
V. 4차 산업혁명 시대 대북 보건협력 아이템
VI. 결론

저자소개

이신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유엔사무총장 평화구축기금 자문위원. 이화여대 영어영문학과 졸업 후 메릴랜드대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 국제관계연구원CFIA 포스트닥 이후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 아프리카지역관, 유엔 르완다 독립조사위 특별자문관, 프린스턴대 초빙교수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불평등과 민주주의』가 있다.
펼치기
김상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과 한국국제정치학회·한국사이버안보학회 회장직을 역임했다. 단독 저서인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은 2014년도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미래전연구센터장을 맡으면서 신흥안보와 사이버· AI·우주 안보, 디지털 경제, 국방혁신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상배의 다른 책 >
신범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러시아 국립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주요 논저로, 『국제 안보환경의 도전과 한반도』,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러시아의 사이버안보』(2021),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소지역주의 전략과 초국경이동』, 『21세기 유라시아 도전과 국제관계』, “Russia’s Perspectives on International Politics, A Comparison of Liberalist, Realist and Geopolitical Paradigms” 등이 있다.
펼치기
신범식의 다른 책 >
신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2004년부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현재는 원장 및 국제안보센터(ISC) 소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 외교학과 학사, 미국 터프츠대학교(Tufts University) 플레처스쿨 (Fletcher School of Law and Diplomacy)에서 국제정치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국방부 아태안보연구소(APCSS) 연구교수(2002~2004년), 브루킹스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 객원연구원(2009년)과 워싱턴 이스트-웨스트센터(East-West Center) 객원연구원(2010년) 등을 역임했다. 연구 관심은 국제안보와 미국 외교정책, 동아시아 지정학과 한반도, 한미동맹과 남북관계 등이다. 최근에는 역사상 한반도의 주요 전쟁이 동아시아의 지정학 및 세력 전이와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그리고 21세기 미·중 경쟁 및 세계질서의 변화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집중하고 있다. 이 책은 안보문제의 백화점과도 같은 한국의 혼란스러운 상황에 더 객관적인 시각을 제공코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한국전쟁, 평화협정, 한미동맹, 비핵화, 핵무장, 미사일 방어, 군사위기와 같은 정치화되기 쉬운 문제일수록 관련 분야의 정통이론을 통해 과학적이고 실증적으로 접근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구한말 동북아 패권경쟁의 격전장이었던 한반도가 21세기 미·중 경쟁의 험난한 파도를 어떻게 헤쳐나갈지. 모두의 지혜가 필요하다.
펼치기
조한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미주리대학교 컬럼비아캠퍼스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코로나 팬데믹과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 실패 원인과 협력의 가능성”(2021), “동아시아 보건안보의 쟁점과 협력”(2018), 『멀티플 팬데믹』(2020,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송태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외교원 교수이다.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UCSD)에서 국제관계학 석사학위를, 서울대학교에서 외교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이버작전사령부 자문위원, 한국국제정치학회 신기술·사이버안보연구분과 위원장, 한국사이버안보학회 사이버외교안보연구실장 등을 맡고 있다. 현재 국립외교원 국제안보통일연구부에서 신흥안보 분야와 과학기술외교 분야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데이터 안보의 복합지정학』, 『사이버안보의 국제정치학』, 『인공지능과 국제정치』, 『신흥기술·사이버안보의 국가전략』, 『미래전의 도전과 항공우주산업』 등의 공저를 출간했다.
펼치기
이승주 (엮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South Korea’s Economic Statecraft in a Risky High-Tech World”(2022), “Changes in Interdependenc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nd the New Dynamics of the East Asian Regional Order”(2022), 『패권의 미래: 미중 전략 경쟁과 새로운 국제 질서』(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승주의 다른 책 >
김유향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북한대학원대학교 경제 · IT전공 겸임교수이자 전 국회 입법조사처 국장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일본 히토쓰바시대학교, 미국의 버클리대학교에서 수학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인공지능 · 소프트웨어자문위원회 자문위원을 지냈고, 서울시 개인 정보심의위원회 심의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디지털 민주주의, 인공지능 법 제도, 개인 정보, 북한 정보 통신, 입법 영향 분석 등에 대한 연구와 강의를 했다. 주요 저서로 『개인정보 판례 백선』(2022), 『4차산업혁명 시대와 외교』(2019), 『4차산업혁명과 남북관계』(2018) 등의 공저가 있으며, 그 외 가짜 뉴스와 딥페이크, 디지털 민주주의, 인터넷 정책에 대한 다수의 연구가 있다.
펼치기
강하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국제협력연구본부 다자협력연구실 실장을 맡고 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를 졸업,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Northwestern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디지털 통상, 디지털 외교, ICT 남북협력 등이다. 최근 연구로 『기술패권 경쟁시대의 글로벌 디지털 의제 분석 및 우리나라 ICT 외교에의 시사점 연구』(공저, 2022), 「북한 ICT 혁신역량 평가 및 남북 ICT 협력방안 연구: 2021년 남북 정보통신 교류촉진 사업결과보고서」(공저,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강하연의 다른 책 >
김상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과 한국국제정치학회·한국사이버안보학회 회장직을 역임했다. 단독 저서인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은 2014년도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미래전연구센터장을 맡으면서 신흥안보와 사이버· AI·우주 안보, 디지털 경제, 국방혁신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상배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