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88978013321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1-12-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시장경제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1. 우리는 무엇을 알고 있는가
2. 시장과 인간에 대한 통합적 이해
3. 시장의 재해석
4. 시장의 분류
5. 시장의 세 가지 특성에 대한 해석
6. 정보의 보편적 성질
2장 시장경제에서 쌍대성의 의의
1. 쌍대성이란 무엇인가
2. 시장경제와 쌍대성의 확대.적용
3. 위험과 정보의 쌍대성
4. 현재와 미래의 쌍대성
5. 시장과 정부의 쌍대성
6. 효율성과 공정성의 쌍대성
3장 시장경제에서 정보는 왜 중요한가
1. 확률적인 세계와 진정한 상태
2. 시장경제에서 정보란 무엇인가
3. 시장경제에서 정보 효율성의 의의
4장 시장경제의 핵심으로서 균형과 기대
1. 시장균형을 위한 변명
2. 쌍대성의 관점에서 본 균형과 불균형
3. 시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4. 시장경제의 펀더멘털로서 기대의 의의와 종류
5장 시장경제에서 가격과 정보의 관계
1. 가격체계의 정보적 의의
2. 가격 분류의 정보적 의의
3. 가격 결정의 쌍대성
4. 시장경제에서 가격과 정보
6장 시장경제에서 위험, 수익과 정보
1. 시장에서 위험의 본질
2. 시장에서 위험의 종류와 정보의 역할
3. 시장에서 위험과 수익의 쌍대성
4. 시장에서 위험과 정보의 쌍대성
5. 위험, 수익과 정보에 대한 통합적 이해
7장 시장경제 선진화와 정보의 역할
1. 시장경제 선진화와 위험 분담의 확대
2. 시장경제 선진화와 불완전 정보의 완화
3. 시장경제 선진화와 비대칭정보의 완화
4. 시장 선진화를 위한 정보의 역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금융위기를 통해 우리는 금융경색이 발생하면 실물경제가 얼마나 급격하게 침체하게 되는지 경험했다. 이것은 실물자본에 대한 금융자본의 우위를 확인했던 사건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 금융자본을 지배하는 세력이 결국 세계 경제를 지배한다는 사실을 만천하에 다시 공표한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특정 세력의 금융자본이 세계를 지배하려 한다는 ‘음모론’을 지지하려는 것이 아니라 어떤 관점에서 보더라도 금융의 지배는 명백하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것이다. 이런 경제 질서하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시장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이다.
쌍대성은 주체와 객체를 서로 대립된 것이 아니라 통합된 전체의 일부로 이해하려고 한다. 쌍대성은 서로 대립하고 모순되어 보이는 두 개의 관점이 사물이나 현상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모두 필요하다는 입장을 대변한다. 쌍대성의 관점에서 사물을 분석한다는 것은 특정한 관점에 집착하지 않고 사물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다면 모든 관점을 수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쌍대성의 원리를 분명히 이해한 후 이것을 시장경제에 적용하려는 것이 여기서의 의도이다.
자본주의 역사는 한마디로 시장과 정부 가운데 어느 쪽에 더 비중을 두었는가 하는 문제로 요약된다. 이런 시각에는 시장과 정부는 상호 배타적인 조직이며 서로 양립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그렇지만 시장경제라는 틀에서 볼 때 자생적인 질서로서 시장과 인위적인 질서로서 정부는 서로 배타적으로 보이지만 사실상 쌍대성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시장과 정부는 상보적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