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각국사집

대각국사집

(大覺國師集)

의천 (지은이), 이상현 (옮긴이)
동국대학교출판부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400원 -5% 0원
920원
29,4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각국사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각국사집 (大覺國師集)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78013642
· 쪽수 : 750쪽
· 출판일 : 2012-09-25

책 소개

고려시대 대각 국사 의천의 [대각국사집] 역주본. 국내에 남아 있는 여러 종류의 판본을 비교·검토하여 원문의 오류를 최대한 보완하였고, 상세한 역주를 통해 의천의 종합적 사상과 세계인으로서의 행적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목차

한글본 한국불교전서를 펴내며
대각구사집 해제
일러두기

대각국사문집大覺國師文集
대각국사문집 제1권 大覺國師文集卷第一
대각국사문집 제2권 大覺國師文集卷第二
대각국사문집 제3권 大覺國師文集卷第三
대각국사문집 제4권 大覺國師文集卷第四
대각국사문집 제5권 大覺國師文集卷第五
대각국사문집 제6권 大覺國師文集卷第六
대각국사문집 제7권 大覺國師文集卷第七
대각국사문집 제8권 大覺國師文集卷第八
대각국사문집 제9권 大覺國師文集卷第九
대각국사문집 제10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
대각국사문집 제11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一
대각국사문집 제12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二
대각국사문집 제13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三
대각국사문집 제14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四
대각국사문집 제15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五
대각국사문집 제16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六
대각국사문집 제17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七
대각국사문집 제18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八
대각국사문집 제19권 大覺國師文集卷第十九
대각국사문집 제20권 大覺國師文集卷第二十
대각국사문집 제21권 大覺國師文集卷第二十一
대각국사문집 제22권 大覺國師文集卷第二十二
대각국사문집 제23권 大覺國師文集卷第二十三

대각국사외집大覺國師外集
대각국사외집 제1권 大覺國師外集卷第一
대각국사외집 제2권 大覺國師外集卷第二
대각국사외집 제3권 大覺國師外集卷第三
대각국사외집 제4권 大覺國師外集卷第四
대각국사외집 제5권 大覺國師外集卷第五
대각국사외집 제6권 大覺國師外集卷第六
대각국사외집 제7권 大覺國師外集卷第七
대각국사외집 제8권 大覺國師外集卷第八
대각국사외집 제9권 大覺國師外集卷第九
대각국사외집 제10권 大覺國師外集卷第十
대각국사외집 제11권 大覺國師外集卷第十一
대각국사외집 제12권 大覺國師外集卷第十二
대각국사외집 제130권 大覺國師外集卷第十三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저자소개

의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의천은 고려 제12대 국왕 문종과 이자연의 장녀 인예왕후 이씨의 넷째 아들로 1055년 9월 28일 궁중에서 태어났다. 의천은 문종 19년(1065) 5월 14일 영통사 난원(爛圓, 999∼1066)의 문하로 출가해 화엄교학을 배웠다. 의천은 출가 이후 1985년 송나라에 가기 전까지 교장을 모으고 강론과 수학에 힘썼으며 화엄교학을 중심으로 유교나 도교까지 섭렵했다. 1085년 제자인 수개, 양변 등과 함께 송나라에 간 의천은 1085년 5월 21일 변경(?京)에 들어가 철종 황제를 만나고, 화엄종 승려인 유성, 진수 정원 등을 비롯해 다양한 종파의 승려들을 방문했다. 의천이 송에서 폭넓게 사상을 교류하면서 국제적이고 보편적인 사상 체계를 성립한 시기였다. 의천은 1086년 5월 29일 14개월여의 입송 구법을 마치고 교장 3000여 권을 수집해서 귀국해, 흥왕사에 교장도감을 두고 송·요·일본 등지에서 구한 제종교장(諸宗敎藏)을 간행하는 사업에 주력했다. 의천은 화엄종을 중심으로 천태종을 개창하려는 노력이 좌절되면서, 1094년 2월에는 홍원사로 옮겨 주지가 되어 교학을 강의했지만 곧 해인사로 옮겼다. 인주 이씨인 이자의, 흥왕사 지소의 세력에 밀려 해인사에 퇴거했던 의천은 숙종의 즉위 이후인 숙종 1년(1096) 개경의 흥왕사로 돌아와 주지가 되어 강학했다. 숙종 2년(1097) 5월에는 국청사가 완공되었고 흥왕사 주지를 겸하면서 천태교관을 강의했다. 이 시기 의천의 불교계에서의 역할은 화엄종과 천태종의 병립을 통해 불교계를 재편하는 것이었다. 의천은 숙종 5년(1100)에 국청사에서 천태교학을 강하고, 숙종 6년(1101) 2월에는 천태종 승과 대선을 실시해서 40명을 선발했다. 의천의 활동 가운데 국가적 사업으로는 지남관, 겸제원을 복구해 백성의 편익을 도모했고, 국가의 중대사를 자문했으며, 주전(鑄錢)을 건의해 시행하는 등 숙종의 개혁 정치를 도운 것을 들 수 있다. 의천은 숙종 6년 10월 지병으로 총지사에서 사망했다. 의천의 사후, 불교계는 재편되어 그의 화엄종과 천태종 문도들은 분열했다. 이후 의천의 화엄과 천태 사상은 제대로 전승되지 못했고, 그의 사상과 계보를 달리하는 균여계 화엄종과 법안종의 사상 경향성에 주목한 백련사 결사의 중심인물인 요세(了世)의 천태종이 고려 후기 불교계를 주도했다.
펼치기
이상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문고전번역가로, 1949년 전주에서 출생하였다. 모친은 거출(巨出)이라고 불렀다. 종말론에 빠져들어 종교학과에 들어갔다가 자아모순동일률의 그물을 찢고 빠져나왔으며, 불교대학원에서 한국불교의 대중화를 꾀하여 삼계교(三階敎)를 연구하고 발표하였다. 기자 생활 중에 새종교 현장을 취재 및 발굴하였고, 역사 유적 탐방 기행문을 발간하였다. 해직된 뒤에 한문 고전의 세계에 뛰어들어 강의와 번역에 종사하였다. 조선왕조실록 번역에 참여하였으며, 한국문집총간 중 《가정집》, 《간이집》, 《계곡집》, 《고산유고》, 《고운집》, 《녹문집》, 《도은집》, 《목은집》, 《상촌집》, 《죽석관유집》, 《택당집》, 《포저집》 등을, 한국불교전서 중 《기암집》, 《몽암대사문집》, 《무용당유고》, 《부휴당대사집》, 《사명당대사집》, 《월파집》, 《청허당집》, 《침굉집》 등을 번역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