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28407675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0-12-31
책 소개
목차
제21권
제발題跋
사계도에 적은 글 題四戒圖|진 문공이 왕을 맞아들인 일을 기록한 《좌전》의 고사를 읽고 지은 글讀左傳晉文公逆王事|전사한 《대학혹문》 뒤에 쓴 글 傳寫大學或問後題|눌재의 시축 뒤에 쓴 글 題訥齋詩軸後|경자년 산릉도감의 계병 뒤에 쓴 글 題庚子山陵稧屛後|《감흥시집람》 발문 感興詩集覽跋|의종황제의 어필 아래에 쓴 글 題毅宗皇帝御筆下|《소학본주》 발문 小學本註跋|송사능이 안사정에게 답한 서한 뒤에 쓴 글 題宋士能答安士定書後|김유도의 오상설에 대해 쓴 글 書金幼道五常說|이경사가 생전에 남긴 서독 뒤에 쓴 글 題李敬思遺牘後|또 짓다 又題|우계 선생 서독의 첩에 쓴 글 題牛溪先生書牘帖|호경재의 《거업록》을 읽고 지은 글 讀胡敬齋居業錄|병신년 3월 10일 전교 뒤에 삼가 쓴 글 敬題丙申三月初十日傳敎後
논論
등유론 鄧攸論|갱알후에 관한 논 羹頡侯論|양중립이 조정의 징소에 응한 것을 논하는 글 楊中立赴召論|진서산이 이종을 섬긴 것을 논하는 글 眞西山事理宗論
설說
매미에 대한 설 蟬說|학문에는 문정이 있음을 논하는 글 學有門庭說|눌재 주인에게 준 글 贈訥齋主人說|한 문공의 〈체협의〉에 대한 설 韓文公禘祫議說|임금의 후계자는 적과 장을 위주로 세워야 함을 논하는 설 立子以嫡以長說|상복에 관한 설 祥服說|처를 위한 상복에 관한 설 妻服說|동지는 일과 천이 만나는 것과는 상관이 없다는 설을 지어서 치공에게 보여 주다 冬至與日與天會不相關說示稺共|맹자의 부동심장에 관한 설 孟子不動心章說|성성존존 도의지문에 대한 설 成性存存道義之門說
제22권
명銘
둔정재명 鈍靜齋銘|시습재명 時習齋銘|삼충사명 三忠祠銘|주일명 主一銘|존존감명 存存龕銘|창명 窓銘|장명 杖銘
잠箴
자잠 字箴|시습잠 時習箴|진덕오잠 進德五箴
찬贊
사촌 형의 화상에 기입한 찬문 四兄畫像贊
축문祝文
집 뒤의 고목에 제사 지내는 글 祭家後古木文|선고의 사당에 고하는 글 告先考廟文|임실현 성수산에 기우하는 글 任實縣聖壽山祈雨文|검담에 있는 동춘 선생의 원사에 고하는 글 告黔潭同春先生院祠文|원주 산골에 있을 때 선고의 기일을 맞아 지방으로 제사를 드리면서 지은 축문 在原峽時先考忌日紙榜行祀祝文
제문祭文
조비 유인 전주 이씨에게 올리는 제문 祭祖妣孺人全州李氏文|죽은 아내인 신창 맹씨의 조전에 고하는 글 亡室新昌孟氏祖奠告文|대상을 지내기 전에 또 죽은 아내 신창 맹씨에게 제사하는 글 祥前又祭亡室新昌孟氏文|이대심에 대한 제문 祭李大心文|계부 성균 생원공에 대한 제문 祭季父成均生貟公文|김덕중에 대한 제문 祭金德仲文|도암 이 선생에 대한 제문 祭陶菴李先生文|매부 신백요에 대한 제문 祭妹壻申伯饒文|죽은 질녀 심씨부에 대한 제문 祭亡侄女沈氏婦文|외구 송공에 대한 제문 祭外舅宋公文
제23권
제문祭文
신성보에 대한 제문 祭申成父|백씨 정언공에 대한 제문 祭伯氏正言公文|맏형수 허씨에 대한 제문 祭丘嫂許氏文|이종형인 역천 송공에 대한 제문 祭姨兄櫟泉宋公文|이수이에 대한 제문 祭李壽而文|성선보에 대한 제문 祭成善甫文|미호 김공에 대한 제문 祭渼湖金公文|밀옹 김유도에 대한 제문 祭密翁金幼道文|한여능에 대한 제문 祭韓汝能文|종자의 부인 신씨에 대한 제문 祭從子婦申氏文|송택지에 대한 제문 祭宋擇之文|지암 김자정에 대한 제문 祭止庵金子靜文|종자의 부인 맹씨에 대한 제문 祭從子婦孟氏文|곤암 김중척에 대한 제문 祭困庵金仲陟文
애사哀辭
나 처사 명경의 죽음을 애도하는 글 羅處士明卿哀辭
묘지명墓誌銘
증백조 일궤 선생의 묘지명 曾伯祖一簣先生墓誌銘|조비 유인 전주 이씨의 묘지 祖妣孺人全州李氏墓誌|족조 선공 부정 부군의 묘지명 族祖繕工副正府君墓誌銘|백부 명릉 참봉 부군의 묘지명 伯父明陵參奉府君墓誌銘|숙부 통덕랑 부군의 묘지명 叔父通德郞府君墓誌銘|계부 성균 생원 부군의 묘지 季父成均生貟府君墓誌|백씨인 사간원 정언 부군의 묘지명 伯氏司諫院正言府君墓誌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