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대 중국 사회와 문화 10강

고대 중국 사회와 문화 10강

거자오꾸앙 (지은이), 이종미 (옮긴이)
동국대학교출판부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850원 -5% 0원
660원
21,1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대 중국 사회와 문화 10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대 중국 사회와 문화 10강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78014120
· 쪽수 : 338쪽
· 출판일 : 2014-06-05

책 소개

전반적으로 중국의 고대 사회와 문화에 관련된 주제를 다루면서도 전통 학자들과는 다른 시각을 가지고 고대 중국을 바라봄으로써, 교양서임과 동시에 전문서적의 역할을 하는 매우 흥미로운 책이다. 고대 중국 사회와 문화의 각 부문에서 열 가지 제목을 선택했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 서문

제1강 고대 중국의 천하관
1. 둥근 하늘과 네모진 땅: 천하, 중국과 사이
2. 고대 중국의 ‘천하’에 대한 회의와 환상
3. 하나의 삽입곡: 불교의 중국 전래와 중국의 세계관
4. 마테오 리치의 「산해여지도」이후: 중국 세계관의 전환

제2강 가족과 의식
1. 백여 년 전의 한 장례로부터 시작하는 이야기
2. 호칭: 한족의 친족 구별
3. 남녀유별과 장유유서
4. 장례: 친족 질서의 제도화와 의식화
소결: 중국의 가족과 의식의 사회생활에서의 의의

제3강 국가와 유가 학설
1. 고대 중국의 질서: 가정, 종족에서부터 국가까지
2. 유학의 기원
3. 질서에 관한 학문으로서의 유학
소결: 중국에 영향을 끼친 유가 사상

제4강 불교 전래의 경로: 그리고 고대 중국 교통로에 관한 추측
1. 서역 실크로드의 재발견
2. 불교의 서역 전래설: 전통의 관점
3. 의문의 제기: 펠리오, 량치차오와 후스의 의견
4. 서남통도와 남해통로에 관한 추측
소결: 문화 전파와 교류의 다양한 통로

제5강 불교의 동쪽 전래와 중국에 끼친 영향
1. 인도 불교에 관한 전설
2. 불교의 인간세계에 대한 기본 판단: 십이연기와 고난의 인생
3. 해탈의 도: 사제와 삼학 그리고 기타
4. 불교의 중국 전래와 민중에게 미친 보편적인 영향
소결: 불교 사상의 의의

제6강 『단경』과 선종
1. 선종사에서의 이름난 전설과 그 상징적인 사상사적 의의
2. 『단경』자체의 이야기
3. 『단경』중의 몇 가지 주제어

제7강 관세음보살의 이야기에 투영된 불교의 중국화
1. 불교 경전 속의 관음보살
2. 관세음보살의 여러 가지 형상과 그 이야기
3. 고대 중국의 관음보살에 관한 색다른 상상
4. 관음 고사 속의 문화접촉 문제

제8강 고대 중국의 도가: 노자에서 장자까지
1. 전국시대의 도가
2. 도가도, 비상도: 『노자』의 도론 221
3. 노자에서 장자까지
4. 장자가 논한 정신적 자유와 초월

제9강 영생과 행복의 추구: 고대 중국의 도교
1. 외단과 그 근거
2. 내단과 양생
3. 도가 신선의 계보
4. 신선, 귀신과 사람의 소통 의식
5. 세속의 곤액 해결: 도교의 법술
소결: 중국의 종교인 도교

제10강 고대 중국에서 두 개의 신앙 세계
1. 대전통과 소전통
2. 유, 도, 불 및 그 외 각종 종교의 민중생활 속의 혼융 287
3. 민중 종교 신앙의 기본 관념
4. 민중 종교 관념의 전파 경로

결어 현대 중국을 이해하는 경로
1. 중국: ‘고대’에서 ‘현대’로의 궤적
2. 중국(한족) 문화의 몇몇 측면
3. 중국(한족) 문화의 몇몇 측면(계속)
4. 중국(한족) 문화의 몇몇 측면(다시 계속)
5. 중국의 문화 전통은 대체 어떤 것인가?

후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거자오꾸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상해上海에서 출생. 베이징대학(北京大學) 연구생硏究生 졸업. 칭화대학(淸華大學)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푸단대학문사연구원원장(復旦大學文史硏究院院長) 겸 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영역으로는 중국종교, 중국사상, 문화사, 중국문학, 고전문헌 등으로 대단히 광범위하다. 저서로는 『禪宗與中國文化』(1986), 『道敎與中國文化』(1987), 『中國禪思想史-從6世紀到9世紀』(1995), 『中國思想史』(총2권,1998,2001), 『古代中國社會與文化十講』(2002), 『屈服史及其他-六朝隋唐道敎的思想史硏究』(2004), 『西潮又東風:晩淸民初思想、宗敎與學術十論』(2006)등이 있으며, 다수의 논저들이 여러 외국어로 번역되었다. 그중 한국에 번역된 저서로는 『선종과 중국문화』, 『도교와 중국문화』, 『중국경전의 이해』,『중국사상사』 등이 있다.
펼치기
이종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 베이징대학(北京大學) 중문과에서 중국고전문헌학中國古典文獻學을 전공하여 『한산시 판본연구寒山詩版本硏究』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쩌쟝대학淅江大學 고적연구소古籍硏究所에서는 연구원을, 전남대학교에서는 전임연구원을 지냈고, 현재는 동국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역대목록으로 본 한산시의 유전(從歷代目錄看寒山詩的流傳)」,「고려시대 문학 속의 한산(高麗時代文學中的寒山)」, 「조선본 계통 한산시 판본 원류 재고朝鮮本系統寒山詩版本源流再考」, 「조선왕조실록에서 본 15세기 조선과 중국의 전적 교류(從朝鮮王朝實錄看15世紀朝中典籍交流)」등이 있으며, 관심 분야는 고대 중국 문화, 문화교류, 문헌학, 불교 등이다. 역서로는 『도설천하 사기』(시그마북스, 2011. 6)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대漢代 이래 한혈마·포도·유리·개자리(苜蓿)의 수입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하여 깊은 눈에 우뚝 솟은 코를 가진 이방인의 진입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당대唐代 장안에 이국인의 숫자가 많기로는 십만·수십만에 이르렀는데도 불구하고, 그것들이 결코 중국 고유 문명에 근본적인 충격을 일으키지는 못했다. 보통, 중국처럼 이렇게 문명의 역사가 유구한 국가는 또 다른 고도로 발달한, 화하문명과 대적할 수 있는 ‘문명’이 출현해야만 비로소 중국의 전통에 근본적인 영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인도에서 전해진 불교는 곧 중국에 근본적인 충격을 가져왔다. 바로 세상에는 2개 이상의 문명 중심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 35쪽, 제1강 고대 중국의 천하관


역사적으로 차츰 형태가 갖추어진 중국의 가치관 체계에서는 ‘국國’의 의미와 가치는 이미 오래전에 ‘가家’를 초월했다. 그러나 이런 ‘가’를 기초로 한 ‘국가’에 대한 가치관은 역사를 거듭하며 형성됐다. 역사학자의 연구에 따르면, 고대 중국은 뿔뿔이 흩어져 있던 부족연방으로부터 공동체가 형성되었고, 그 공동체로부터 대연맹이 구성되는 식으로 국가가 이루어졌다. 근본적으로 말하면 고대 사람들의 생활의 기초와 동질감의 단위도 최초에는 역시 가정과 가족이었다. 그러므로 매우 많은 윤리 가치 관념과 질서를 유지시키는 제도들은 이 가정, 가족, 종족으로부터 전의轉義되어 나온 것이다.
- 90쪽, 제3강 ‘국가와 유가 학설’


불교가 언제 중국으로 전해졌는지는 또 진일보된 고찰을 기다려야 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 있는 자료로 보면 대략 기원 1세기부터 시작하여 서역(중앙아시아와 신강新疆), 남해, 서남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불교 소식이 전해졌으며 무역상들 중에도 불교도가 여럿 있었을 것이다. 그들이 중국으로 와서 무역할 때 이미 불교 사상과 지식이 전해졌을지도 모른다. 2세기가 되어서는 불교가 이미 중국에서 보편적으로 널리 퍼졌음을 대단히 많은 자료가 보여주고 있다. 사서史書 기록에 동한東漢의 초왕楚王 유영劉英이 불가의 부처와 도가의 인물을 함께 모셔 제사 지냈다고 한 것은 불교가 이미 일종의 새로운 신앙이 되었음을 설명한다.
- 155쪽, 제5강 ‘불교의 동쪽 전래와 중국에 끼친 영향’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