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78014120
· 쪽수 : 338쪽
· 출판일 : 2014-06-05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 서문
제1강 고대 중국의 천하관
1. 둥근 하늘과 네모진 땅: 천하, 중국과 사이
2. 고대 중국의 ‘천하’에 대한 회의와 환상
3. 하나의 삽입곡: 불교의 중국 전래와 중국의 세계관
4. 마테오 리치의 「산해여지도」이후: 중국 세계관의 전환
제2강 가족과 의식
1. 백여 년 전의 한 장례로부터 시작하는 이야기
2. 호칭: 한족의 친족 구별
3. 남녀유별과 장유유서
4. 장례: 친족 질서의 제도화와 의식화
소결: 중국의 가족과 의식의 사회생활에서의 의의
제3강 국가와 유가 학설
1. 고대 중국의 질서: 가정, 종족에서부터 국가까지
2. 유학의 기원
3. 질서에 관한 학문으로서의 유학
소결: 중국에 영향을 끼친 유가 사상
제4강 불교 전래의 경로: 그리고 고대 중국 교통로에 관한 추측
1. 서역 실크로드의 재발견
2. 불교의 서역 전래설: 전통의 관점
3. 의문의 제기: 펠리오, 량치차오와 후스의 의견
4. 서남통도와 남해통로에 관한 추측
소결: 문화 전파와 교류의 다양한 통로
제5강 불교의 동쪽 전래와 중국에 끼친 영향
1. 인도 불교에 관한 전설
2. 불교의 인간세계에 대한 기본 판단: 십이연기와 고난의 인생
3. 해탈의 도: 사제와 삼학 그리고 기타
4. 불교의 중국 전래와 민중에게 미친 보편적인 영향
소결: 불교 사상의 의의
제6강 『단경』과 선종
1. 선종사에서의 이름난 전설과 그 상징적인 사상사적 의의
2. 『단경』자체의 이야기
3. 『단경』중의 몇 가지 주제어
제7강 관세음보살의 이야기에 투영된 불교의 중국화
1. 불교 경전 속의 관음보살
2. 관세음보살의 여러 가지 형상과 그 이야기
3. 고대 중국의 관음보살에 관한 색다른 상상
4. 관음 고사 속의 문화접촉 문제
제8강 고대 중국의 도가: 노자에서 장자까지
1. 전국시대의 도가
2. 도가도, 비상도: 『노자』의 도론 221
3. 노자에서 장자까지
4. 장자가 논한 정신적 자유와 초월
제9강 영생과 행복의 추구: 고대 중국의 도교
1. 외단과 그 근거
2. 내단과 양생
3. 도가 신선의 계보
4. 신선, 귀신과 사람의 소통 의식
5. 세속의 곤액 해결: 도교의 법술
소결: 중국의 종교인 도교
제10강 고대 중국에서 두 개의 신앙 세계
1. 대전통과 소전통
2. 유, 도, 불 및 그 외 각종 종교의 민중생활 속의 혼융 287
3. 민중 종교 신앙의 기본 관념
4. 민중 종교 관념의 전파 경로
결어 현대 중국을 이해하는 경로
1. 중국: ‘고대’에서 ‘현대’로의 궤적
2. 중국(한족) 문화의 몇몇 측면
3. 중국(한족) 문화의 몇몇 측면(계속)
4. 중국(한족) 문화의 몇몇 측면(다시 계속)
5. 중국의 문화 전통은 대체 어떤 것인가?
후기
찾아보기
책속에서
한대漢代 이래 한혈마·포도·유리·개자리(苜蓿)의 수입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하여 깊은 눈에 우뚝 솟은 코를 가진 이방인의 진입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당대唐代 장안에 이국인의 숫자가 많기로는 십만·수십만에 이르렀는데도 불구하고, 그것들이 결코 중국 고유 문명에 근본적인 충격을 일으키지는 못했다. 보통, 중국처럼 이렇게 문명의 역사가 유구한 국가는 또 다른 고도로 발달한, 화하문명과 대적할 수 있는 ‘문명’이 출현해야만 비로소 중국의 전통에 근본적인 영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인도에서 전해진 불교는 곧 중국에 근본적인 충격을 가져왔다. 바로 세상에는 2개 이상의 문명 중심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 35쪽, 제1강 고대 중국의 천하관
역사적으로 차츰 형태가 갖추어진 중국의 가치관 체계에서는 ‘국國’의 의미와 가치는 이미 오래전에 ‘가家’를 초월했다. 그러나 이런 ‘가’를 기초로 한 ‘국가’에 대한 가치관은 역사를 거듭하며 형성됐다. 역사학자의 연구에 따르면, 고대 중국은 뿔뿔이 흩어져 있던 부족연방으로부터 공동체가 형성되었고, 그 공동체로부터 대연맹이 구성되는 식으로 국가가 이루어졌다. 근본적으로 말하면 고대 사람들의 생활의 기초와 동질감의 단위도 최초에는 역시 가정과 가족이었다. 그러므로 매우 많은 윤리 가치 관념과 질서를 유지시키는 제도들은 이 가정, 가족, 종족으로부터 전의轉義되어 나온 것이다.
- 90쪽, 제3강 ‘국가와 유가 학설’
불교가 언제 중국으로 전해졌는지는 또 진일보된 고찰을 기다려야 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 있는 자료로 보면 대략 기원 1세기부터 시작하여 서역(중앙아시아와 신강新疆), 남해, 서남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불교 소식이 전해졌으며 무역상들 중에도 불교도가 여럿 있었을 것이다. 그들이 중국으로 와서 무역할 때 이미 불교 사상과 지식이 전해졌을지도 모른다. 2세기가 되어서는 불교가 이미 중국에서 보편적으로 널리 퍼졌음을 대단히 많은 자료가 보여주고 있다. 사서史書 기록에 동한東漢의 초왕楚王 유영劉英이 불가의 부처와 도가의 인물을 함께 모셔 제사 지냈다고 한 것은 불교가 이미 일종의 새로운 신앙이 되었음을 설명한다.
- 155쪽, 제5강 ‘불교의 동쪽 전래와 중국에 끼친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