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78653619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12-12-31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및 방법
1. 연구의 전제와 범위
2. 연구방법
제2장 고령화ㆍ저성장시대의 지역발전 환경변화
제1절 고령화ㆍ저성장의 추세와 특성
1. 고령화ㆍ저성장의 추세와 전망
2. 고령화ㆍ저성장시대의 특성
제2절 고령화ㆍ저성장의 지역발전 환경변화에 미치는 영향
1. 경제적 환경변화에 미치는 영향
2. 사회문화적 환경변화에 미치는 영향
3. 공간적 환경변화에 미치는 영향
제3장 지역발전의 정책체계 및 투자실태 분석
제1절 지역발전 정책체계의 구조
1. 이명박 정부의 지역발전정책 개요
2. 지역발전사업 및 광역ㆍ지역발전특별회계의 구조
3. 기초생활권 발전과 포괄보조금제
4. 연계협력사업과 창조지역사업 추진
제2절 지역발전사업의 투자실태 분석
1. 국가보조사업의 지역발전 투자실태
2. 광특회계의 지역발전 투자실태
제4장 지역발전사업의 지역투자실태 사례분석
제1절 분석의 개요
제2절 전라북도의 지역투자 실태분석
1. 전라북도의 광특회계 예산규모
2. 지역별 예산배분 현황
3. 사업내용분석
제3절 지역발전 투자실태의 문제점
제5장 고령화ㆍ저성장시대의 지역발전전략에 대한 인식조사
제1절 조사의 개요
제2절 지역발전전략 인식조사 결과
제3절 정책건 시사점
제6장 고령화ㆍ저성장 시대의 지역발전 투자전략
제1절 지역발전 투자전략의 구상
제2절 지역발전 투자목표의 재정립
제3절 지역발전 투자사업의 전환
1. 실질적 수요에 기초한 지역발전투자 유도
2. 소득ㆍ일자리에 직결된 성과지향적 사업으로 전환
3. 고령화ㆍ저성장 시대에 부응하는 신규사업 발굴
제4절 지역발전사업의 추진방식개선
1. 연계ㆍ협력을 통한 추진역량 보완
2. 지역격차 해소를 위한 낙후지역발전 자율공모사업 추진
3. 지역공동체 주도의 지역발전사업 추진
제5절 지역발전투자의 분권형 추진체계
1. 자치단체 중심의 예산과정
2. 성과연동의 평가제도 개선
제7장 요약 및 정책제언
제1절 요약
제2절 정책건의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